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역의 찬공기 특성을 고려한 도시 바람길 활용 전략 - 경기도 의정부 및 과천 일대를 사례로 - = Strategies for utilizing Urban Ventilation Corridor considering Local Cold Air in Watershed Areas - A Case Study of Uijeongbu and Gwacheon -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찬공기 특성을 유역단위로 분석하고, 유역 내 생성되는 찬공기를 도시 바람길 계획에서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 지역의 북쪽에 위치한 ...

      본 연구는 찬공기 특성을 유역단위로 분석하고, 유역 내 생성되는 찬공기를 도시 바람길 계획에서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 지역의 북쪽에 위치한 중랑천 유역의 의정부시, 남쪽에 위치한 안양천 유역 및 양재천·탄천 유역의 과천시를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찬공기 특성 분석을 위해 독일에서 개발된 모형인 KALM(Kaltluftabflussmodell)을 활용하였으며, 야간 6시간 동안 생성되는 찬공기 흐름 및 찬공기층 높이를 파악하였다. 중랑천 유역의 주요 바람길이 흐르는 곳에 위치해 있는 의정부시는 남쪽 외곽에서부터 유입된 찬공기가 의정부시 전체 바람길 계획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서쪽의 사패산 일대에서 생성된 찬공기는 시청 인근의 중심상업지구까지 유입되고 있어 도심의 열환경을 조절하는 주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의정부시 동쪽지역은 바람길 이용이 원활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 되었다. 동쪽의 관악산과 서쪽의 청계산 등에서 생성된 찬공기 흐름은 과천시의 북쪽 지역에서 가장 활발하였는데, 이 흐름은 안양천 및 양재천·탄천 유역 전체에서도 주요한 바람길이다. 이에 비해, 찬공기 흐름이 원활하지 않은 남쪽지역에‘과천지식정보타운 공공주택지구’조성이 계획되어 있어 향후 이 지역의 주거환경이 저하될 가능성이 크다. 향후, 이 지역을 개발할 경우 상세한 바람길 분석을 통한 바람길 활용 계획을 추가적으로 수립할 것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cold air characteristics in the watershed areas and to suggest strategies for utilizing them in urban ventilation corridor plans. For this purpose, the Jungnangcheon watershed and Uijeongbu-si in the northern part of Gyeongg...

      This study aims to analyze cold air characteristics in the watershed areas and to suggest strategies for utilizing them in urban ventilation corridor plans. For this purpose, the Jungnangcheon watershed and Uijeongbu-si in the northern part of Gyeonggi province, and Anyangcheon watershed as well as Yangjaecheon·Tancheon watershed and Gwacheon-si in the southern part were selected as study areas. We used KALM (Kaltluftabflussmodell), a cold air simulation model developed in Germany and identified both the cold air flow and the height of cold air layer generated during 6 hours at night. Uijeongbu City is located on the main stream of the Jungnangcheon watershed, and the local cold air from the southern outskirts is an important part of Uijeongbu-si's overall ventilation corridor planning. In addition, the cold air generated in the vicinity of Mt. Sapae flows into the central business district near the city hall and plays a major role in regulating the thermal environment of the city. But, the cold air flows in the eastern part of Uijeongbu-si was not smoothly. The cold air flow generated in the east of Gwanak Mountain and in the west of Cheonggye Mountain was the most active in the northern part of Gwacheon-si. This flow is also a major ventilation corridor in Anyangcheon watershed as well as Yangjaecheon·Tancheon watershed. But, the southern part where the cold air flow is not smooth is planed to be developed as 'Gwacheon Knowledge Information Town Public Housing District', so rapid development is expected in the future. Hence, it is suggested that an additional ventilation corridor plan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the detailed local wind flow analysi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엄정희, "찬공기 특성을 고려한 낙동정맥 관리방안 연구 - 부산, 울산, 포항 인근을 대상으로 -" 한국조경학회 44 (44): 103-115, 2016

      2 정응호, "위성자료를 활용한 대구지역 바람길생성의 공간적 특성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 11 (11): 73-84, 2008

      3 서안선, "바람길을 고려한 아파트 단지계획"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4 엄정희, "바람길 활용을 위한 정맥의 찬공기 관리 방안 - 낙남정맥을 사례로 -" 한국지리정보학회 22 (22): 157-167, 2019

      5 이재은, "도시주거지역의 바람길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은평구 뉴타운 사례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6 엄정희, "도시녹지계획을 위한 바람통로 활용방안 연구 : 용인시를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00

      7 홍성수, "남한강 유역의 침수예상지역에 대한 홍수범람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 19 (19): 106-119, 2016

      8 김덕환, "기후변화에 따른 홍천강 유역의 수질 변화 분석" 한국습지학회 17 (17): 348-358, 2015

      9 김덕환, "기후변화에 따른 한강유역의 기상학적 가뭄지수 분석" 한국습지학회 18 (18): 432-447, 2016

      10 강지윤, "기후변화에 따른 남강유역의 수문환경의 변화가 하천수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자원학회 46 (46): 873-884, 2013

      1 엄정희, "찬공기 특성을 고려한 낙동정맥 관리방안 연구 - 부산, 울산, 포항 인근을 대상으로 -" 한국조경학회 44 (44): 103-115, 2016

      2 정응호, "위성자료를 활용한 대구지역 바람길생성의 공간적 특성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 11 (11): 73-84, 2008

      3 서안선, "바람길을 고려한 아파트 단지계획"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4 엄정희, "바람길 활용을 위한 정맥의 찬공기 관리 방안 - 낙남정맥을 사례로 -" 한국지리정보학회 22 (22): 157-167, 2019

      5 이재은, "도시주거지역의 바람길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은평구 뉴타운 사례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6 엄정희, "도시녹지계획을 위한 바람통로 활용방안 연구 : 용인시를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00

      7 홍성수, "남한강 유역의 침수예상지역에 대한 홍수범람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 19 (19): 106-119, 2016

      8 김덕환, "기후변화에 따른 홍천강 유역의 수질 변화 분석" 한국습지학회 17 (17): 348-358, 2015

      9 김덕환, "기후변화에 따른 한강유역의 기상학적 가뭄지수 분석" 한국습지학회 18 (18): 432-447, 2016

      10 강지윤, "기후변화에 따른 남강유역의 수문환경의 변화가 하천수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자원학회 46 (46): 873-884, 2013

      11 정진호, "기후변화에 따른 금강 유역의 어류 종분포 변화 예측" 응용생태공학회 2 (2): 198-205, 2015

      12 Verein Deutscher Ingenieure, "VDI Guideline 3787(Part 5)" Beuth Verlag 85-, 2003

      13 Korea Forest Service, "The First Basic Plan for Forestland Management" 96-, 2012

      14 신형진, "Terra MODIS 위성영상을 이용한 봄 가뭄 연구 - 소양강댐유역을 대상으로 -" 한국지리정보학회 18 (18): 145-157, 2015

      15 Ministerium fuer Wirtschaft, "Staedtebauliche Klimafibel: Hinweise fuer di Bauleitplanung"

      16 Schaedler, G., "Simulation of nocturnal drainage flows on personal computers" 3 : 167-171, 1994

      17 김병식, "RCP 기후변화시나리오를 이용한 기후변화가 미호천 유역의 설계홍수량에 미치는 영향평가" 한국습지학회 15 (15): 105-114, 2013

      18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Policy Directions for Rational Classification and Management of Forestland by Considering the Mountain Ridge and Valley Networks" 161-, 2010

      19 Eum, J.H., "Integration of climate information into spatial planning in Seoul, South Korea" Technische Universitaet Berlin 2008

      20 조명희, "GIS 및 공간통계를 활용한 낙동강 유역 수생태계의 건강성 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 18 (18): 174-189, 2015

      21 Gyeonggi Research Institute, "Establishment of Master plan for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Urban Forest in Gyeonggi-Province" 122-, 2017

      22 Eum, J.H., "Development of an urban landcover classification scheme suitable for representing climatic conditions in a densely built-up Asian megacity" 103 (103): 362-371, 2011

      23 Kim, S.B., "Basic study on introduction of the wind road for eco-friendly city construction" Daegu Gyeongbuk Development Institute 145-, 2005

      24 Choi. J.H., "Application of Small Watershed Management System for Effective Water Quality Control" 28 (28): 820-825, 2006

      25 Kim, W.S., "An experimental study for considering climates as a factor in urban design" 2 (2): 1-21, 2001

      26 Eum J.H., "A study on the urban open space planning using the ventilation path: a case study of Yong-In city" 36 (36): 231-241, 2001

      27 Son, J.M.,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cold air for improving thermal environment in urban areas: a cast study of Cheongju, Jeongju and Jinju" Keimyung University 2019

      28 Shin. D.H., "A study on Urban planning application for wind corridor for low carbon green city" Gwangju Jeonnam Reasearch Institute 78-,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2 0.82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8 0.8 0.98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