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문학 수업 성찰을 위해 구체적인 절차와 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실제로 적용하여 그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다. 문학 수업에서 교사는 자신과 학생, 그리고 텍스트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536582
청주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학위논문(석사)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국어교육학과초등국어교육전공 , 2020. 2
2020
한국어
372.4 판사항(22)
충청북도
ⅵ, 108 p; 26 cm
한국교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 김상한
참고문헌 : p.p.99-101
I804:43012-00000003811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문학 수업 성찰을 위해 구체적인 절차와 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실제로 적용하여 그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다. 문학 수업에서 교사는 자신과 학생, 그리고 텍스트 ...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문학 수업 성찰을 위해 구체적인 절차와 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실제로 적용하여 그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다. 문학 수업에서 교사는 자신과 학생, 그리고 텍스트 사이의 상호작용을 민감하게 알아차려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문학 수업의 여러 요소들에 대한 반성적 성찰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하여 먼저 수업 성찰의 개념과 원리를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수업 성찰이 교사의 교수행위 전반에 걸쳐 이루어질 수 있도록 문학 영역 내용교수지식을 성찰의 요소로 삼고 문학 영역 내용표상을 마련하였다. 마지막으로 수업 성찰의 절차와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연구자의 주관적인 경험과 생각을 주요 연구 자료로 삼아 사회 문화적인 현상을 탐구하는 자문화기술지를 탐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경력 4년차 교사 1명을 연구 참여교사로 선정하여 총 4번의 수업 성찰을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교사는 매 수업 전에 사전 질문지를 작성하며 문학 영역 내용표상을 작성하며 수업을 설계하고, 수업의 의도와 고민을 성찰하였다. 수업 후에 연구 참여교사는 자기 수업 영상을 보며 자기 수업 관찰 기록표를 작성하였다. 자기 수업 관찰 이후에 연구자와 연구 참여교사 간 인터뷰가 이루어졌다. 4번의 수업 성찰을 마치고 연구 참여교사는 자신의 성찰 과정을 돌아보며 반성적 글쓰기를 하였다.
연구 참여교사의 수업 성찰 과정을 분석한 결과는 초등 국어과 문학 영역 내용교수지식의 다섯 가지 요소에 대한 성찰 내용과 연구 참여교사의 변화로 제시하였다.
문학 영역 내용교수지식의 다섯 가지 요소에 대한 성찰 내용을 분석한 결과에서 특징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국어과 수업에 대한 지향에 대한 성찰이 활발하게 일어났으며, 수업 성찰이 진행될수록 연구 참여교사의 지향점이 구체적으로 발전하였다. 국어과 내용에 대한 지식의 성찰은 대부분 텍스트 수용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학생들의 이해에 대한 지식과 관련해서 연구 참여교사는 주로 학생들의 문학 지식보다 문학 경험에 대하여 성찰하였다. 국어과 수업을 위한 교수전략과 표상에 대한 지식의 성찰은 텍스트 수용을 위해 교사가 표상한 구체적 전략과 관련하여 이루어졌다. 국어과 학습 평가에 대한 지식의 성찰은 상대적으로 미비하게 이루어졌다.
다음으로 문학 수업 성찰을 통하여 연구 참여교사가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교사는 수업 성찰을 통해 학생들을 폭 넓게 이해하고 신뢰하는 태도가 향상되었다. 둘째, 텍스트 수용 공간의 확대와 내용 준거 사이의 균형을 탐색하고자 노력하였다. 셋째, 연구 참여교사가 학생의 텍스트 이해 활동을 이전보다 더 중요하게 인식하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밝힌 문학 수업 성찰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는 수업 성찰을 통해 문학 수업의 의미와 가치를 깨달을 수 있다. 둘째, 수업 성찰은 문학 수업의 질을 높여준다. 셋째, 수업 성찰은 교사의 자발적 변화와 성장을 가져온다. 넷째, 수업 성찰은 교사와 학생 간 관계를 성장시킨다.
본 연구에서 밝힌 문학 수업 성찰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는 수업 성찰을 통해 문학 수업의 의미와 가치를 깨달을 수 있다. 둘째, 수업 성찰은 문학 수업의 질을 높여준다. 셋째, 수업 성찰은 교사의 자발적 변화와 성장을 가져온다. 넷째, 수업 성찰은 교사와 학생 간 관계를 성장시킨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와 관련한 후속 연구를 위하여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학 수업 성찰에서 텍스트의 생산, 구조, 반영에 대한 성찰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돕는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교사가 스스로 자신의 수업 성찰을 진단하고 평가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 셋째, 더 많은 교사를 대상으로 수업 성찰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살피고 일반화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앞으로 교사가 주체적으로 자신의 수업을 성찰하고 개선하는 연구가 초등 교육 현장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