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식종원 및 유기물 농도 변화에 따른 평판형 외기환원전극 미생물 연료전지의 질소 제거 = Nitrogen Removal in Flat-Panel Air-Cathode Microbial Fuel Cell according to Various Inoculum Sources and Organic Concent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6794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미생물연료전지(MFC)는 하·폐수내의 유기물로부터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획기적인 기술이지만, 실용화를 위해서는 하·폐수 내의 질소를 제거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개의 대�...

      미생물연료전지(MFC)는 하·폐수내의 유기물로부터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획기적인 기술이지만, 실용화를 위해서는 하·폐수 내의 질소를 제거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개의 대면적 SEA (separator electrode assembly)로 구성된 평판형 외기환원전극 미생물연료전지(FA-MFC)를 이용하여 질산화 전배양의 유무와 식종원에 따른 총질소제거율을 평가하였다. 질산화 전배양 단계에서 FA-MFC의 질산화율은 식종원과는 무관하게 99% 이상을 나타냈다. 질산화 및 탈질 단계에서 300㎎-COD/L 이하의 낮은 유기물 농도에서는 전배양을 하지 않은 조건의 총질소제거율이 가장 높았다. 유기물 농도가 증가할수록 더 높은 총질소제거율을 나타냈으며, 유기물제거율은 모든 조건에서 95% 이상을 나타냈지만, 종속영양탈질에만 이용되지는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FA-MFC의 전기 발생량은 매우 낮았지만, 유기물과 질소를 동시에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획기적인 하·폐수처리공법으로 발전시킬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though microbial fuel cell (MFC) can produce electricity from organics in wastewater, nitrogen removal is required for application of process for wastewater treatment plant. This study developed flat-panel air-cathode MFCs (FA-MFCs) comprised of two...

      Although microbial fuel cell (MFC) can produce electricity from organics in wastewater, nitrogen removal is required for application of process for wastewater treatment plant. This study developed flat-panel air-cathode MFCs (FA-MFCs) comprised of two large separator electrode assemblies (SEAs) and evaluate total nitrogen removal according to three inoculum sources and prenitrification acclimation. The nitrification efficiencies were >99% regardless of inoculum sources under the phase for pre-nitrification acclimation. The total nitrogen removal efficiencies of FA-MFCs without pre-nitrification acclimation were the highest at the low organic conditions (<300 mg-COD/L) under the phase for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he increase of organic concentration influenced the total nitrogen removal efficiency, positively. The organics were removed >95% but were not used for heterotrophic denitrification tot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application of FA-MFC system for wastewater treatment can allow the simultaneous removal of organic and nitrogen compounds, although this affects the low electricity produc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실험 재료 및 방법
      • 3.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실험 재료 및 방법
      • 3. 결과 및 고찰
      • 4.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석희, "생물전기화학적 하폐수처리를 위한 미생물연료전지의 실용화" 한국도시환경학회 13 (13): 93-100, 2013

      2 천지은, "생물전기화학반응기를 이용한 생물학적 탈질반응의 촉진" 한국환경과학회 21 (21): 989-996, 2012

      3 Dosta, J., "Short- and long-term effects of temperature on the Anammox process" 154 (154): 688-693, 2008

      4 Kim, H., "Power generation response to readily biodegradable COD in single-chamber microbial fuel cells" 186 : 136-140, 2015

      5 Yan, H., "Nitrogen removal in a single-chamber microbial fuel cell with nitrifying biofilm enriched at the air cathode" 46 (46): 2215-2224, 2012

      6 Logan, B. E., "Microbial fuel cells: Methodology and technology" 40 (40): 5181-5192, 2006

      7 Lefebvre, O., "Microbial fuel cells for energy self-sufficient domestic wastewater treatment - a review and discussion from energetic consideration" 89 (89): 259-270, 2011

      8 Zhang, F., "Longterm performance of liter-scale microbial fuel cells treating primary effluent installed in a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47 (47): 4941-4948, 2013

      9 Cheng, S., "Increased performance of single-chamber microbial fuel cells using an improved cathode structure" 8 (8): 489-494, 2006

      10 Jung, J., "Factors affecting the activity of anammox bacteria during start up in the continuous culture reactor" 55 (55): 459-468, 2007

      1 정석희, "생물전기화학적 하폐수처리를 위한 미생물연료전지의 실용화" 한국도시환경학회 13 (13): 93-100, 2013

      2 천지은, "생물전기화학반응기를 이용한 생물학적 탈질반응의 촉진" 한국환경과학회 21 (21): 989-996, 2012

      3 Dosta, J., "Short- and long-term effects of temperature on the Anammox process" 154 (154): 688-693, 2008

      4 Kim, H., "Power generation response to readily biodegradable COD in single-chamber microbial fuel cells" 186 : 136-140, 2015

      5 Yan, H., "Nitrogen removal in a single-chamber microbial fuel cell with nitrifying biofilm enriched at the air cathode" 46 (46): 2215-2224, 2012

      6 Logan, B. E., "Microbial fuel cells: Methodology and technology" 40 (40): 5181-5192, 2006

      7 Lefebvre, O., "Microbial fuel cells for energy self-sufficient domestic wastewater treatment - a review and discussion from energetic consideration" 89 (89): 259-270, 2011

      8 Zhang, F., "Longterm performance of liter-scale microbial fuel cells treating primary effluent installed in a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47 (47): 4941-4948, 2013

      9 Cheng, S., "Increased performance of single-chamber microbial fuel cells using an improved cathode structure" 8 (8): 489-494, 2006

      10 Jung, J., "Factors affecting the activity of anammox bacteria during start up in the continuous culture reactor" 55 (55): 459-468, 2007

      11 Gao, C., "Enrichment of anodic biofilm inoculated with anaerobic or aerobic sludge in single chambered air-cathode microbial fuel cells" 167 : 124-132, 2014

      12 Yan, H., "Enhanced nitrogen removal in single-chamber microbial fuel cells with increased gas diffusion areas" 110 (110): 785-791, 2013

      13 Min, B., "Electricity generation from swine wastewater using microbial fuel cells" 39 (39): 4961-4968, 2005

      14 Yu, J., "Electricity generation and microbial community in a submerged-exchangeable microbial fuel cell system for low-strength domestic wastewater treatment" 117 : 172-179, 2012

      15 Yu, J., "Effect of separator and inoculum type on electricity generation and microbial community in single-chamber microbial fuel cells" 37 (37): 667-675, 2014

      16 Logan, B., "Conversion of wastes into bioelectricity and chemicals by using microbial electrochemical technologies" 337 (337): 686-690, 2012

      17 조경민, "CANON 공정에서 운전조건에 따른 질소 제거효율 및 미생물군집 변화" 대한환경공학회 37 (37): 332-339, 2015

      18 Kim, J., "Analysis of ammonia loss mechanisms in microbial fuel cells treating animal wastewater" 99 (99): 1120-1127,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2 0.604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