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출소자의 사회복귀경험에 관한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 - 낙인. 차별. 편견 및 회복탄력성을 중심으로 - = A Phenomenological Study based on the Giorgi’s theory on the Reintegration of Criminals into society : Focusing on stigma, discrimination, prejudice and resili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9027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prevent and avoid social problems or disturbances caused by crime based on the research of which is scrutinized by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studying the people who released from prisons, detention centers, and medical treatment and custody centers has experienced social malfeasance or their negative attitude
      The author has interested in the matter that how ex-convicts have overcome and recovered from ‘stigma’,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experienced during their rehabilitation, and tried to answer the following four questions.
      First, what is the ‘stigma’ experienced while living as an ex-convict?
      Second, what is the ‘discrimination’ experienced while living as an ex-convict?
      Third, what is the ‘prejudice’ experienced while living as an ex-convict?
      Fourth, how to overcome and recover the ‘stigma’,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experienced while living as an ex-convict?
      The six people who released from prison, detention center, and medical treatment and custody center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who were preparing for employment or successfully employed among those who completed the psychotherapy program course at correctional facil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Data was collected through two or three times in-depth interview and several semi-interview from February 2019 to March 2020, and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four scientific steps of the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of Giorgi.
      As a result of the research analysis, 124 semantic units were used for the analysis in the statement of the ex-convict's rehabilitation experience, and the semantic units were grouped into 34 sub-elements common to all participants, and finally 13 components were derived considered as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released prisoner's rehabilitation experience.
      The 13 components (elements?) derived from the experience of returning to society of the released prisoners were ‘release without preparation’, ‘return to a desolate society’, ‘back to family’, ‘relationship with friends who can not come near’, ‘stigma that can not get overcome’, prejudice implanted in the mind’, ‘discrimination by law’, ‘childhood without happiness’, ‘toward recovery’, ‘endure with a life of faith’, ‘little wishes’, ‘recoil elasticity’, and ‘stand up again’.
      The 13 components derived from the analysis showe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of all participants in one unified structure without diluting the meaning of the unique experiences of each participant. The practical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family is in a state of broken up or disconnection as family relations are not smooth. In the case of the released prisoner who had invited to the meeting between families of bride and the bridegroom of his younger brother, he could not join and turned his steps even though he arrived at appointment place. Other cases showed that released prisoners couldn’t ask family to help their needy situation because they had caused trouble and harm to their family. They want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own family, but a repeated prison life from their own faults made them hard to come closer easily to their family. They think their family does not recognize themselves as a family member or consider them burdensome, and do self-stigmatizing.
      Second, it is difficult to get an economic independence foundation and stable employment. Prisoners who have repeatedly been in prison for a habitual crime did not have the opportunity to establish an economic foundation such as money, housing, and work to live independently due to frequent prison life. Even after release, added to the society's negative perception of ex-convicts, low self-esteem made them hard to challenge themselves despite their personal competencies and qualities. Most of them get daily work through manpower offices, so they can not find stable workplace that can lead a planned life.
      Third, the social support system is not sufficient. There is no proper way to solve the problems when faced with difficulties due to the absence of a family support system which is the strongest support of the individual. The Ministry of Justice Protection and Welfare Corporation and private protection facilities exist for the protection of released prisoners, but the released prisoners feel reluctant to use those governmental support and private facilities by limitation of accommodation of those facilities and perception of another restriction after release and trauma.
      Fourth, their goals for their lives are not clear and they lack confidence. Due to the long-term prison life, they fell into the subculture of correction, were stricken with a victim mentality, lacked self-confidence, and didn’t have clear goals of life.
      Above implications show what is needed each part. The released prisoners need to make an effort to overcome self-stigmatizing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Local community need to change the perception that the vicious circle of crime can not be prevented if the released prisoners are not embraced and accepted by the community. Case management of correctional social welfare is needed to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and link resources so that they can return to society mentally soundly with resilience to neighbors who should live with us as one of the citizen.
      This dissertation is to understand the released prisoners and help them by developing various programs and training practitioners with professional knowledge. And the author expects it extends understanding prisoners and providing basic data to develop and apply practical intervention methods in correctional social welfare site.
      번역하기

      This study is to prevent and avoid social problems or disturbances caused by crime based on the research of which is scrutinized by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studying the people who released from prisons, det...

      This study is to prevent and avoid social problems or disturbances caused by crime based on the research of which is scrutinized by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studying the people who released from prisons, detention centers, and medical treatment and custody centers has experienced social malfeasance or their negative attitude
      The author has interested in the matter that how ex-convicts have overcome and recovered from ‘stigma’,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experienced during their rehabilitation, and tried to answer the following four questions.
      First, what is the ‘stigma’ experienced while living as an ex-convict?
      Second, what is the ‘discrimination’ experienced while living as an ex-convict?
      Third, what is the ‘prejudice’ experienced while living as an ex-convict?
      Fourth, how to overcome and recover the ‘stigma’,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experienced while living as an ex-convict?
      The six people who released from prison, detention center, and medical treatment and custody center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who were preparing for employment or successfully employed among those who completed the psychotherapy program course at correctional facil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Data was collected through two or three times in-depth interview and several semi-interview from February 2019 to March 2020, and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four scientific steps of the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of Giorgi.
      As a result of the research analysis, 124 semantic units were used for the analysis in the statement of the ex-convict's rehabilitation experience, and the semantic units were grouped into 34 sub-elements common to all participants, and finally 13 components were derived considered as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released prisoner's rehabilitation experience.
      The 13 components (elements?) derived from the experience of returning to society of the released prisoners were ‘release without preparation’, ‘return to a desolate society’, ‘back to family’, ‘relationship with friends who can not come near’, ‘stigma that can not get overcome’, prejudice implanted in the mind’, ‘discrimination by law’, ‘childhood without happiness’, ‘toward recovery’, ‘endure with a life of faith’, ‘little wishes’, ‘recoil elasticity’, and ‘stand up again’.
      The 13 components derived from the analysis showe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of all participants in one unified structure without diluting the meaning of the unique experiences of each participant. The practical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family is in a state of broken up or disconnection as family relations are not smooth. In the case of the released prisoner who had invited to the meeting between families of bride and the bridegroom of his younger brother, he could not join and turned his steps even though he arrived at appointment place. Other cases showed that released prisoners couldn’t ask family to help their needy situation because they had caused trouble and harm to their family. They want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own family, but a repeated prison life from their own faults made them hard to come closer easily to their family. They think their family does not recognize themselves as a family member or consider them burdensome, and do self-stigmatizing.
      Second, it is difficult to get an economic independence foundation and stable employment. Prisoners who have repeatedly been in prison for a habitual crime did not have the opportunity to establish an economic foundation such as money, housing, and work to live independently due to frequent prison life. Even after release, added to the society's negative perception of ex-convicts, low self-esteem made them hard to challenge themselves despite their personal competencies and qualities. Most of them get daily work through manpower offices, so they can not find stable workplace that can lead a planned life.
      Third, the social support system is not sufficient. There is no proper way to solve the problems when faced with difficulties due to the absence of a family support system which is the strongest support of the individual. The Ministry of Justice Protection and Welfare Corporation and private protection facilities exist for the protection of released prisoners, but the released prisoners feel reluctant to use those governmental support and private facilities by limitation of accommodation of those facilities and perception of another restriction after release and trauma.
      Fourth, their goals for their lives are not clear and they lack confidence. Due to the long-term prison life, they fell into the subculture of correction, were stricken with a victim mentality, lacked self-confidence, and didn’t have clear goals of life.
      Above implications show what is needed each part. The released prisoners need to make an effort to overcome self-stigmatizing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Local community need to change the perception that the vicious circle of crime can not be prevented if the released prisoners are not embraced and accepted by the community. Case management of correctional social welfare is needed to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and link resources so that they can return to society mentally soundly with resilience to neighbors who should live with us as one of the citizen.
      This dissertation is to understand the released prisoners and help them by developing various programs and training practitioners with professional knowledge. And the author expects it extends understanding prisoners and providing basic data to develop and apply practical intervention methods in correctional social welfare sit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 중의 하나인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구치소 및 교도소에 수감된 후 해당 처분을 모두 마치고 다시 사회로 돌아온 출소자들의 사회복귀경험을 연구함으로서 범죄로 인한 사회문제를 예방하고 사회분위기를 안정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연구자는 ‘출소자들이 사회복귀를 하면서 겪게 되는 ‘낙인’, ‘차별’, ‘편견’을 어떻게 대처하며 극복하고, 회복해 나아가는지를 살펴보며 다음 네 가지에 대한 답을 얻고자 하였다.

      첫째, 출소자로 살아가면서 경험하는 ‘낙인’은 무엇인가?
      둘째, 출소자로 살아가면서 경험하는 ‘차별’은 무엇인가?
      셋째, 출소자로 살아가면서 경험하는 ‘편견’은 무엇인가?
      넷째, 출소자로 살아가면서 경험한 ‘낙인’, ‘차별’, ‘편견’을 어떻게 대처하며 극복하고 회복해 나아가는가?

      연구 참여자의 선정은 교정시설에서 심리치료프로그램 과정을 이수한 사람 중에서 출소 후 취업준비 중이거나 취업에 성공한 경험이 있는 12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장기간에 걸친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끝까지 참여한 6명을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9년 2월부터 2020년 3월까지 2~3차의 심층 인터뷰와 수차례의 면담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의 과학적 4단계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출소자의 사회복귀 경험의 진술에서 124개의 의미 단위가 분석에 사용되었고, 의미 단위는 연구 참여자 모두에게 공통되는 34개의 하위구성요소로 묶은 다음 최종적으로 출소자의 사회복귀 경험의 본질적 의미로 간주하는 13개의 구성요소를 도출해 내었다.
      출소자의 사회복귀 경험에 대해 도출된 13개의 구성요소는 ‘행복 없는 어린 시절’, ‘준비 없는 출소’, ‘막막한 사회로의 복귀’, ‘다가서지 못하는 친구와의 관계’, ‘벗어나지 못하는 낙인’, ‘마음에 자리 잡은 편견’, ‘법이 주는 차별’, ‘다시 가족으로’, ‘회복을 향하여’, ‘신앙생활로 견딤’, ‘움트는 회복탄력성’, ‘작은 바램들’, ‘다시 일어서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도출된 13개의 구성요소는 연구 참여자 각자의 독특한 경험의 의미가 희석되지 않으면서 전체 참여자들의 경험 의미가 하나의 통합된 구조로 나타내 주었는데, 실천적인 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관계가 원만하지 못한 가운데 가족이 해체되거나 단절된 상태에 처해 있다. 출소자들은 가족들과 원만한 관계회복을 바라지만 지금까지 자신의 잘못으로 인한 반복된 수용생활 때문에 가족들이 자신을 가족의 일원으로 인정하지 않고 부담스럽게 여기고 있다고 생각(자기낙인)하고 편안하게 접근을 못하고 있다.
      둘째, 자립할 수 있는 경제적 기반과 안정적인 취업이 어렵다. 상습적인 범죄로 수용생활을 반복해 온 출소자는 잦은 수용생활로 인하여 스스로 자립하여 생활할 수 있는 자금, 주택, 직장 등 경제적 기반을 마련할 기회가 없었고 출소 후에도 전과자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인 인식과 더 나아가 본인 스스로가 느끼는 자존감이 낮다 보니 개인적인 역량(자격증 등)과 자질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스로 도전(이력서 제출 등)을 못하고 대부분이 단순노동이나 생산기능직 혹은 서비스직에 종사하고 있어 계획적이고 안정적인 생활을 할 수 있는 직장에 취업하기가 어렵다.
      셋째, 사회적인 지지체계가 미약하다. 수용생활로 인한 가족과의 소원함은 개인의 가장 든든한 지지원이었던 가족 및 친지들이 거리를 둠으로써 가족 지지체계가 부재하여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문제를 해결할 적절한 방법이 없다. 출소자 보호를 위한 법무부보호복지공단과 민간보호시설이 있으나 수용인원의 제한과 출소를 통하여 자유의 몸이 되었는데 출소 후에도 누군가로부터 또 다시 구속받는다는 인식과 트라우마로 공단과 시설 이용에 대한 부담감을 느끼고 있는 실정이다.
      넷째, 자신의 삶에 대한 목표가 명확하지 않고 자신감이 결여되어 있다. 장기적인 수용생활로 인한 교정의 환경과 문화에 대한 적응으로 심리적으로 많이 위축되어 있고 또, 사회에 대한 막연한 피해의식이 있어 스스로에 대한 자신감의 결여로 삶에 대한 목표가 분명하지 못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출소자들은 가족관계가 원만하지 못한 가운데 가족이 해체되거나 단절된 상태에 처해 있으며, 자립할 수 있는 경제적 기반과 안정적인 취업이 어렵고, 사회적인 지지체계가 미약하며, 자신의 삶에 대한 목표가 명확하지 않고 자신감이 결여되어 있어 스스로 자기 안에 갇혀 있는 낙인, 차별, 편견에서 벗어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또 지역사회에서도 출소한 이들을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포용하고 수용하지 않으면 범죄의 악순환은 막을 수 없다는 인식으로 이들을 받아들이는 인식전환이 필요하고, 이들도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우리와 함께 살아가야 할 이웃으로 인정하므로 회복탄력성을 가지고 정신적으로 건전하게 사회복귀 할 수 있도록 필요한 정보 제공과 지역 자원들을 연계하는 교정사회복지 사례관리가 요구된다.
      이러한 것은 결국 출소자를 이해하고 사회복귀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으로써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전문 소양을 갖춘 교정 전문 실천가의 양성이 필요하며 수용자에 대한 이해와 교정사회복지 현장에서도 실질적인 개입방법을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 중의 하나인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구치소 및 교도소에 수감된 후 해당 처분을 모두 마치고 다시 사회로 돌아온 출소자들의 사회복귀경험을 연구함으로서 ...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 중의 하나인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구치소 및 교도소에 수감된 후 해당 처분을 모두 마치고 다시 사회로 돌아온 출소자들의 사회복귀경험을 연구함으로서 범죄로 인한 사회문제를 예방하고 사회분위기를 안정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연구자는 ‘출소자들이 사회복귀를 하면서 겪게 되는 ‘낙인’, ‘차별’, ‘편견’을 어떻게 대처하며 극복하고, 회복해 나아가는지를 살펴보며 다음 네 가지에 대한 답을 얻고자 하였다.

      첫째, 출소자로 살아가면서 경험하는 ‘낙인’은 무엇인가?
      둘째, 출소자로 살아가면서 경험하는 ‘차별’은 무엇인가?
      셋째, 출소자로 살아가면서 경험하는 ‘편견’은 무엇인가?
      넷째, 출소자로 살아가면서 경험한 ‘낙인’, ‘차별’, ‘편견’을 어떻게 대처하며 극복하고 회복해 나아가는가?

      연구 참여자의 선정은 교정시설에서 심리치료프로그램 과정을 이수한 사람 중에서 출소 후 취업준비 중이거나 취업에 성공한 경험이 있는 12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장기간에 걸친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끝까지 참여한 6명을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9년 2월부터 2020년 3월까지 2~3차의 심층 인터뷰와 수차례의 면담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의 과학적 4단계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출소자의 사회복귀 경험의 진술에서 124개의 의미 단위가 분석에 사용되었고, 의미 단위는 연구 참여자 모두에게 공통되는 34개의 하위구성요소로 묶은 다음 최종적으로 출소자의 사회복귀 경험의 본질적 의미로 간주하는 13개의 구성요소를 도출해 내었다.
      출소자의 사회복귀 경험에 대해 도출된 13개의 구성요소는 ‘행복 없는 어린 시절’, ‘준비 없는 출소’, ‘막막한 사회로의 복귀’, ‘다가서지 못하는 친구와의 관계’, ‘벗어나지 못하는 낙인’, ‘마음에 자리 잡은 편견’, ‘법이 주는 차별’, ‘다시 가족으로’, ‘회복을 향하여’, ‘신앙생활로 견딤’, ‘움트는 회복탄력성’, ‘작은 바램들’, ‘다시 일어서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도출된 13개의 구성요소는 연구 참여자 각자의 독특한 경험의 의미가 희석되지 않으면서 전체 참여자들의 경험 의미가 하나의 통합된 구조로 나타내 주었는데, 실천적인 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관계가 원만하지 못한 가운데 가족이 해체되거나 단절된 상태에 처해 있다. 출소자들은 가족들과 원만한 관계회복을 바라지만 지금까지 자신의 잘못으로 인한 반복된 수용생활 때문에 가족들이 자신을 가족의 일원으로 인정하지 않고 부담스럽게 여기고 있다고 생각(자기낙인)하고 편안하게 접근을 못하고 있다.
      둘째, 자립할 수 있는 경제적 기반과 안정적인 취업이 어렵다. 상습적인 범죄로 수용생활을 반복해 온 출소자는 잦은 수용생활로 인하여 스스로 자립하여 생활할 수 있는 자금, 주택, 직장 등 경제적 기반을 마련할 기회가 없었고 출소 후에도 전과자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인 인식과 더 나아가 본인 스스로가 느끼는 자존감이 낮다 보니 개인적인 역량(자격증 등)과 자질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스로 도전(이력서 제출 등)을 못하고 대부분이 단순노동이나 생산기능직 혹은 서비스직에 종사하고 있어 계획적이고 안정적인 생활을 할 수 있는 직장에 취업하기가 어렵다.
      셋째, 사회적인 지지체계가 미약하다. 수용생활로 인한 가족과의 소원함은 개인의 가장 든든한 지지원이었던 가족 및 친지들이 거리를 둠으로써 가족 지지체계가 부재하여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문제를 해결할 적절한 방법이 없다. 출소자 보호를 위한 법무부보호복지공단과 민간보호시설이 있으나 수용인원의 제한과 출소를 통하여 자유의 몸이 되었는데 출소 후에도 누군가로부터 또 다시 구속받는다는 인식과 트라우마로 공단과 시설 이용에 대한 부담감을 느끼고 있는 실정이다.
      넷째, 자신의 삶에 대한 목표가 명확하지 않고 자신감이 결여되어 있다. 장기적인 수용생활로 인한 교정의 환경과 문화에 대한 적응으로 심리적으로 많이 위축되어 있고 또, 사회에 대한 막연한 피해의식이 있어 스스로에 대한 자신감의 결여로 삶에 대한 목표가 분명하지 못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출소자들은 가족관계가 원만하지 못한 가운데 가족이 해체되거나 단절된 상태에 처해 있으며, 자립할 수 있는 경제적 기반과 안정적인 취업이 어렵고, 사회적인 지지체계가 미약하며, 자신의 삶에 대한 목표가 명확하지 않고 자신감이 결여되어 있어 스스로 자기 안에 갇혀 있는 낙인, 차별, 편견에서 벗어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또 지역사회에서도 출소한 이들을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포용하고 수용하지 않으면 범죄의 악순환은 막을 수 없다는 인식으로 이들을 받아들이는 인식전환이 필요하고, 이들도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우리와 함께 살아가야 할 이웃으로 인정하므로 회복탄력성을 가지고 정신적으로 건전하게 사회복귀 할 수 있도록 필요한 정보 제공과 지역 자원들을 연계하는 교정사회복지 사례관리가 요구된다.
      이러한 것은 결국 출소자를 이해하고 사회복귀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으로써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전문 소양을 갖춘 교정 전문 실천가의 양성이 필요하며 수용자에 대한 이해와 교정사회복지 현장에서도 실질적인 개입방법을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목적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6
      • 제2절 연구 질문 7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목적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6
      • 제2절 연구 질문 7
      • 제2장 이론적 배경 9
      • 제1절 출소자에 대한 이해 9
      • 1. 출소자의 정의 및 현황 9
      • 1) 출소자의 정의 9
      • 2) 출소자의 현황 11
      • 3) 출소자의 재복역률 현황 13
      • 2. 교정시설의 사회복귀제도의 이해 14
      • 1) 사회복귀제도의 정의 14
      • 2) 사회복귀제도의 연혁 16
      • 3) 교정시설의 사회복귀제도의 유형 18
      • 제2절 관련변수에 관한 정의 및 선행연구 42
      • 1. 사회복귀경험의 정의 및 선행연구 42
      • 1) 사회복귀경험의 정의 42
      • 2) 사회복귀경험에 대한 선행연구 44
      • 2. 낙인의 정의 및 선행연구 49
      • 1) 낙인의 정의 49
      • 2) 낙인에 관한 선행연구 52
      • 3. 차별의 정의 및 선행연구 56
      • 1) 차별의 정의 56
      • 2) 차별경험에 대한 선행연구 59
      • 4. 편견의 정의 및 선행연구 65
      • 1) 편견의 정의 65
      • 2) 편견에 관한 선행연구 68
      • 5. 회복탄력성의 정의 및 선행연구 72
      • 1) 회복탄력성의 정의 72
      • 2) 회복탄력성에 대한 선행연구 76
      • 제3장 연구방법 81
      • 제1절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81
      • 1.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의 역사적인 배경 81
      • 2.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의 정의 84
      • 3.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의 특징 86
      • 제2절 연구 참여자 선정 및 자료수집 방법 88
      • 1. 연구 참여자 선정과정 88
      • 2. 자료수집절차 89
      • 3. 연구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91
      • 제3절 연구 참여자에 대한 윤리적 고찰 97
      • 제4절 자료의 분석과정 98
      • 제5절 질적 연구의 엄격성과 사례적용 101
      • 제4장 연구결과 105
      • 제1절 출소자의 사회복귀경험의 구성요소 105
      • 1. 행복 없는 어린 시절 111
      • 2. 준비 없는 출소 114
      • 3. 막막한 사회로의 복귀 115
      • 4. 다가서지 못하는 친구와의 관계 118
      • 5. 벗어나지 못하는 낙인감 120
      • 6. 마음에 자리 잡은 편견 123
      • 7. 법이 주는 차별 127
      • 8. 다시 가족의 자리로 131
      • 9. 회복을 향하여 135
      • 10. 신앙생활로 견딤 138
      • 11. 움트는 회복탄력성 141
      • 12. 작은 바램들 144
      • 13. 다시 일어서기 146
      • 제2절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150
      • 제5장 결론 및 제언 152
      • 제1절 연구결과 요약 및 논의 152
      • 제2절 연구의 함의 153
      • 1. 교정시설 내 교정교화 단계 155
      • 2. 교정시설 내 출소 전 준비 단계 155
      • 3. 지역사회로의 전환 단계 156
      • 4. 출소 후 사회복귀 단계 156
      • 제3절 교정사회복지 실천 158
      • 제4절 연구의 한계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162
      • 참고문헌 164
      • 부록 1. 면담지 185
      • 부록 2. 연구 참여 및 면담 동의서 186
      • 부록 3. 심리치료프로그램 수료자 소감문 187
      • ABSTRACT 194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Maltz. M. D., "‘Recidivism’,", http://www.uic.edu/depts/lib/forr/pdf/crimjust/ recidivism. pdf(검색일 2020. 2. 11)., 2001

      2 법무부, "「법무연감」", 법무부 기획재정담당관실., 2020

      3 법무부, ".「법무백서」", 법무연수원., 2020

      4 윤백남, "「조선행형사」", 서울: 문예서림, 1948

      5 양철우, "「한국어사전」", 서울: (주) 교학사, 2014

      6 신경림, 조명옥, 양진향,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4

      7 법무부, "「교정통계연보」", 법무부 교정본부., 2020

      8 이은옥, 이인옥, "낙인(stigma) 개념분석", 류머티스건강학회지, 13(1) 53-66, 2006

      9 공병혜, 신경림, "역「현상학적 연구」", 서울: (주) 현문사, 2001

      10 김영석, 정종원, 유기웅, 김한별,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박영story, 2019

      1 Maltz. M. D., "‘Recidivism’,", http://www.uic.edu/depts/lib/forr/pdf/crimjust/ recidivism. pdf(검색일 2020. 2. 11)., 2001

      2 법무부, "「법무연감」", 법무부 기획재정담당관실., 2020

      3 법무부, ".「법무백서」", 법무연수원., 2020

      4 윤백남, "「조선행형사」", 서울: 문예서림, 1948

      5 양철우, "「한국어사전」", 서울: (주) 교학사, 2014

      6 신경림, 조명옥, 양진향,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4

      7 법무부, "「교정통계연보」", 법무부 교정본부., 2020

      8 이은옥, 이인옥, "낙인(stigma) 개념분석", 류머티스건강학회지, 13(1) 53-66, 2006

      9 공병혜, 신경림, "역「현상학적 연구」", 서울: (주) 현문사, 2001

      10 김영석, 정종원, 유기웅, 김한별,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박영story, 2019

      11 이경희, 이소우, "Resilience(회복력) 개념분석", 대한스트레스학회, 스트레스 연구 13(1) 9-18, 2005

      12 이남인, "후설의 현상학과 현대철학", 서울: 풀빛미디어, 2007

      13 김영식, "“회복적 교정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4 박영의, "“노인수형자의 회심체험 연구”", 백석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15 최영신, "“수형자 집중인성교육의 시행”",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5(겨울호). 28-30, 2015

      16 Giorge, A.,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 Dr. A. P", Giorgi-2003년 Winter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Workshop, 2003

      17 이준일, "“차별, 소수자, 국가인권위원회”", 헌법학연구 18권 177-222, 2012

      18 민중서림, "민중서림(2018). 엣센스 국어사전」.", 엣센스 국어사전」, 2018

      19 박장호, 이인재, "공역「윤리학사전(A. V.아도 외저)」", 서울: 백의, 1996

      20 유병선, "“출소자의 재사회화에 관한 소고”", 법무부 한국갱생보호공단, 2001

      21 경이민 , 홍현미라, 영우아영, 성장혜 , 권지 , "「사회복지 질적연구방법론의 실제」", 서울: 학지사, 2008

      22 유동철, "“노동시장의 장애인 차별 영향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23 이윤호, "“출소자의 사회적 차별에 관한 연구”", 국가인권위원회(동국대학교 연구), 2007

      24 홍성열, "“전과자와 범죄의 심각성에 대한 지각”", 한국교정학회, 교정연구 32호 7-30, 2006

      25 이계경, "“출소자 사회적응제도 현황 및 실효성”", 국정감사 정책질의 자료집-2, 2007

      26 배우순, "초기 후설에 있어서 현상학과 기술 심리학", 철학논총 70(4) 329-350, 2012

      27 이남인, "현상학과 질적 연구: 응용현상학의 한 지평", 경기: 한길사, 2014

      28 이규호, "“출소자 재범방지를 위한 캐나다의 동향”", 교정복지연구 2015(9) 173-193, 2015

      29 권성연, "“4차원 영성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30 김영식, "“수형자 사회복귀제도의 실효성제고방안”", 한국교정학회, 교정연구42호, 2009

      31 양혜경, "“수형자의 출소 후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교정연구 제63호 115-144, 2014

      32 이나영, 조한익, "“청소년의 학업성취와 자아탄력성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7(6) 1-20, 2010

      33 김민규, 신우열, 김주환, "“회복탄력성 검사지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한국 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청소년연구 20(4) 105-131, 2009

      34 서미경, "중고령 여성의 취업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35 홍은숙, "탄력성 (Resilience) 의 개념적 이해와 교육적 방안", 특수교육학연구 41(2) 45-67, 2006

      36 최옥채, "“보호관찰관의 사회복지적 역할에 관한 연구”", 보호관찰 2004(4), 2004

      37 강호성, "“출소자 재범방지를 위한 효과적인 지원방안”", 한국보호관찰학회, 보호관찰 18(1) 209-252, 2018

      38 홍영오, "“강력범죄의 재범률 및 재범예측에 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31, 2012

      39 김재형, "“한센인의 격리제도와 낙인 차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40 Malterud, K., "Systematic text condensation : A strategy for qualitative analysis", Scandinavian Journal of Public Health, 40, 795-805, 2012

      41 신영화, "“여성재소자의 인권 : 출소자 면접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0

      42 이양희, 주소영, "“청소년용 탄력성(Resilience) 척도 개발 및 타당성”", 청소년학 연구 18(4) 103-139, 2011

      43 권종희, 최형숙, 김희주, "“양육기혼모들의 차별경험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한국가족복지학 36권 121-155, 2017

      44 이동훈, 오혜영, 신지영, 박성현, "출소자의 가정복원 과정에 관한 교정 전문가의 인식", 한국가족복지학 20(3) 499-530, 2015

      45 홍봉선, "“출소자 복지증진과 갱생보호사업의 활성화 방안”", 교정연구 제14권 143-175, 2002

      46 이창한, "“미국의 출소자 사회복귀 연계제도의 성과와 과제”", 교정담론 3(2) 아시아교정포럼, 2009

      47 김주환, "회복탄력성 :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마음 근력의 힘", 고양: 위즈덤하우스, 2019

      48 최영신, "“우리나라 수형자 사회복귀과정의 단계와 지원방안”", 형사정책 연구. 20(1), 2009

      49 진재근, "조직회복탄력성이 혁신행동과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50 조윤오, "“GPS전자감시 성범죄자의 사회복귀 의지에 대한 연구”", 경찰학 논총 2013(5).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3

      51 박미숙, 이민식, "“여성출소자 취업실태와 취업지원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1

      52 김정호, 주상호, "“출소자의 고용창출형 사회적 기업의 지속가능 연구”", 교정담론 2015(12) 127-157, 2015

      53 이신숙, "중학생의 회복탄력성이 학교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54 남순현, "“노인의 일과 여가 의미에 대한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55 박지훈, "“성격 다양성이 삶의 만족과 직무 수행에 미치는 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56 남상철, "「재범요인 경로 분석을 통한 교정복지 증진 방안 연구」", 신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57 박성수, "“마약류범죄 분석을 통한 마약중독자 사회복귀 방향성”", 아시아교정포럼 교정담론 13(2), 2019

      58 이준길, "“장애인 운동선수의 차별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연구”", 상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59 안리라, "“은행업 성차별의 복합구조와 인지적 배제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60 박미희, "“장애인의 취업에 미치는 인적자본 및 차별 요인의 영향”", 경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61 정진수, "“재범방지를 위한 범죄자처우의 과학화에 관한 연구(Ⅱ)”", 한국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9-85, 2011

      62 신연희, "“출소 후 재범 예방에 관한 연구 : 사회 자본을 중심으로”", 한국형사정책 연구원, 19(1) 191-213, 2008

      63 김상곤, 정연경, "“교육복지실천에서 낙인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29(2) 97-124, 2009

      64 조미애, "“수형자의 성공적인 사회복귀를 위한 취업알선 방안 연구”", 경운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65 김민정, 김순석, "비공식낙인이 청소년의 지위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찰학논총 9(3) 127-147, 2014

      66 정구철, 한수연, "남성 수형자와 일반인의 회복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 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4) 763-781, 2013

      67 박준식, "“사회적지지가 교정위원의 봉사활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68 배임호, "“출소자 재범방지를 위한 갱생보호사업의 실태와 발전방향”", 한국 교정학회, 교정연구 60호 113-134, 2013

      69 박현선, 이채원, 이상균, "공역「근거이론의 구성(질적분석의 실천지침)」. Kathy Charmaz 저", 서울: 학지사, 2013

      70 김수정, 허찬희, 이지연, "“구치소 재소자가 지각하는 낙인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20(11): 65-81, 2017

      71 김혜미, "“사회적응을 위한 출소자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72 강병철, "“사회적 낙인 인식이 성소수자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과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73 이인곤, "“출소자의 사회복귀를 위한 가족지원(복지)사업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연구학회, 한국경찰연구 14(3) 153-180, 2015

      74 배임호, "“남성수형자와 일반인의 회복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 한국심리학회, 건강 18(4) 763-781, 2008

      75 공정식, "낙인에 대한 출소자의 인식이 대인관계에서 신뢰에 미치는 영 향", 한국경호경비학회, 제57호 57-84, 2018

      76 박선영, "“수형자 사회복귀를 지원하는 공생의 사회구현 실현방안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2

      77 박길태, 안윤숙, "“시설보호 비행청소년의 사호복귀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교정복지학회, 교정복지연구 43, 2016

      78 류병관, "“가석방제도의 운영현황과 발전방향 : 회복적 사법을 중심으로”", 한국교정학회, 교정연구 84호 3-39, 2019

      79 허경미, "“미국의 성범죄자 등록 공개 취업제한 제도에 대한 비판적 쟁점”",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8(1) 271-298, 2019

      80 Schuman, H., "Ste또, C., & Bobo, L. Racial Attitudes in America : Trends and Interpretation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85

      81 김성숙, "“장애인의 차별경험이 직업유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82 기경희, 김광수, "회복탄력성 연구 동향과 과제: 회복탄력성 개념과 척도를 중심으로.", 초등상담연구 17(2) 157-175, 2018

      83 김현경, "“난민으로서의 새터민의 외상(trauma)회복경험에대한현상학적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84 김현수, 조미애, 김효진, "“수형자의 성공적인 사회복귀를 위한 취업알선 방안에 관한 소고”", 한국치안행정논집 16(2) 2-17, 2019

      85 박정연, "“장애차별담론 연구 : 장애차별의 미세화 현상에 대한 진단과 대안”",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86 신연희, 최관, 이동훈, "“출소자 가정 복원을 위한 가족 실태조사 및 중장기 지원방안 연구”",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2014

      87 김기갑, "경찰관의 직무스트레스가 회복탄력성에 따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88 임미영, "노인 자살 시도 경험에 관한 연구–Giorgi의 현상학적 방법 론을 통하여-", 한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89 이동훈, "“출소자 가정 복원을 위한 모델 유형에 따른 심리치료 프로그램 개발”",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연구용역 과제, 2014

      90 송미경, 이은경, 이건화, 양난미, "“출소자 취업지원관의 경험에 대한 연구 : 출소자의 취업과 취업유지”",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17(3) 통권63호 477-502, 2016

      91 김은라, "“지체장애 청소년의 장애수용과 회복탄력성, 사회참여의 구조적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92 이소영, "위기청소년에게 회복탄력성이 갖는 의미 : 영성적 탄력성과 전 인적 성장",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93 김계정, "청소년의 위기요인과 학교적응과의 관계에서 탄력성과 학교 문화의 영향", 강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94 최기숙, "“노인의 차별경험 및 역할상실, 절망감과 자살생각과의 구조관계 연구”", 위덕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95 김정민, 이정숙, 유안진, "“신체상, 부모와 또래애착, 탄력성이 청소년의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5) 123-132, 2005

      96 연성진, "“출소자 사회복귀를 위한 지역사회회복 모델 : 사회적 기업을 중심으로”", 아시아교정포럼 교정담론 7(1) 35-62, 2013

      97 이신영, "“출소자의 재범방지를 위한 지역사회중심의 갱생보호사업에 관한 연구”", 교정연구 38호 149, 2008

      98 박영균, 최상열, "성폭력 가해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미술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예술심리치료연구 13(1) 31-56, 2017

      99 박은혜 , 전셋별, "“유치원교사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탐색”.",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교원교육연구 27(1) 253-276, 2010

      100 김안식, "“수형자의 종교 활동 및 성향이 정신건강과 수용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101 이신영, "“시설에 구금된 소년범의 사회복귀를 위한 집중적 사후지도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32(2). 109-130, 2013

      102 나호견, "“출소자의 사회적응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교정복지센터 모델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03 유숙자, "노인의 차별경험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노화불안 의 매개효과 연구",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04 박명숙, 한인영, "“성폭력 가해자의 가족통합 및 지역사회 복귀를 위한 통합적 지원 프로그램”", 법무부, 2009

      105 박춘희, "사회정의 관심과 실천 모형 검증: 공동체 의식과 장애 인권 감수 성을 중심으로", 인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106 김수안, 민경환, "“사회 및 성격, 탄력성 척도의 비교 및 탄력성과 정서적 특성과의 관계 탐색 ”", 한국심리학회지, 25(2) 223-243, 2011

      107 심혜인, 홍송이 , 조윤오 , "“교정프로그램 참여가 재복역에 미치는 영향 : 노인 수형자 유형을 중심으로”.", 한국치안행정학회. 한국치안행정논집 15(2) 465-490, 2018

      108 정주호,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사회적 차별경험이 학교 폭력범죄 피해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109 이은주, "“심리상담에서 낙인에 대한 인지적 재평가가 전문적 도움추구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10 김이철, "“노인의 차별경험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상실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11 신성만, "“출소자지역사회재활서비스의국내외현황과시사점: 정신사회재활모델의 적용”", 보호관찰 14(2) 149-189, 2014

      112 최관, "출소자의 취업경험인식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낙인, 차별, 편견, 인권을 중심으로", 『교정담론』9(2), 2015

      113 최영신, "“미국 수형자 사회복귀 협력체계(Reentry partnership initiatives)의 사회복귀과정 모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형사정책연구소식 통권104호 5-8, 2007

      114 박성훈, 정혜원, 박현수, "“청소년비행에 있어 낙인의 효과에 대한 경험적 연구 : 비공식 낙인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청소년연구 20(1) 227-251, 2009

      115 김서현, "“이혼한 남성 출소자들의 가족관계 단절 경험 : 한 줌 모래로 무너진 탑 다시 쌓기”", 한국사회복지학 71(4) 67-96, 2019

      116 신지영, 전지열, 이동훈, "“수감생활 및 출소 후 과정에서 여성출소자의 자녀양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1(3) 327-364, 2016

      117 김나리, 유재영, 라광현, "“출소자 취업지원 실태 및 시사점 : 한국법무보호 복지공단 기술교육원을 중심으로”", 보호관찰 19(2), 2019

      118 최보윤, 유성경, 홍세희, "가정의 위험요소와 적응의 관계에서 자아 탄 력성, 애착, 실존적 영성의 매개효과 검증", 교육심리연구 18(1) 393-408, 2004

      119 공정식, 방진희, "“출소자의 낙인이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 : 회복탄력성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정학회, 교정연구 29(2) 133-158, 2019

      120 김소희, "“학교 내 공식처벌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 자아낙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한범죄학회 9(3) 103-129, 2015

      121 박희균, "“경찰의 범죄예방활동에서 집합효율성과 범죄두려움의 관계 : 차별적 효과집단 비교”",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122 이영란, "“고령 장애인의 차별경험과 삶의 만족도에서 자아효능감과 장애수용의 이중매개효과”", 한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123 좌현숙, "“빈곤 청소년의 적응유연성 영역 간 종단적 상호관계: 심리, 사회, 학교 영역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124 최기남, "“지역주민 여가활동이 사회활동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자아효능감, 회복탄력성을 매개변수”", 칼빈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125 공정식, 권준성, "“출소자의 가족관계가 직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 낙인의 매개 효과와 사회적지지 조절효과”", 한국범죄심리연구 15(3) 11-26, 2019

      126 공정식, 현문정, 김정현, "“출소자의 가족믿음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와 자존감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범죄학회지, 13(1) 5-26, 2019

      127 공정식, 김정현, "출소자의 삶의 질과 낙인이 지역사회적응에 미치는 영 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 한국경찰학회보 20(5) 통권72호 3-32, 2018

      128 전 별, "“고용형태를 이유로 하는 차별의 합리성에 관한 판단 법리 : 비 정규직, 무기계약직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129 법무부 교정본부, "“출소자의 안정적 사회복귀 위한 대화를 나누다 : 교정처우 지원 및 민간갱생보호 법인 대표자 간담회”", 교정 59(3) 통권466호 40-43, 2015

      130 박광원, "“출소자의 직업적 재사회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한국법무보호 복지공단 출소자 보호사업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131 김정현, "“출소자의 가족관계회복이 재범방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회복탄력성과 공격성의 연속다중매개모형 검증”",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132 남현희, "“위치추적 전자장치 부착 성폭력범죄자의 사회복귀 경험에 관한 연구 :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론을 중심으로”", 대한신학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19

      133 김지훈, "“프랑스와 스위스의 교정을 들여다 본다 : 성공적인 사회복귀를 장려하는 다양하면서도 실질적인 교육프로그램이 필요”", 교정 59(8) 48-51, 2015

      134 이민화, "“정신장애인의 자기낙인이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차별상황에 대한 정당성 인식, 집단동일시의 조절효과”",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19

      135 박인혜, 정민주, 이현정,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고객관련 사회적 스트레스 요인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자기회복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항공경영학회지, 11(4) 173-192., 2013

      136 배임호, "회복적 사법정의(Restorative Justice)에 근거한 프로그램 참여자에 대한 교정복지실천 개입에 관한 연구 下, 17년동안 교정복지실천 케이스를 중심으로", 교정 세상을 지키는 따뜻한 사람들 63(6) 통권 제517호 48-53.,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