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Maltz. M. D., "‘Recidivism’,", http://www.uic.edu/depts/lib/forr/pdf/crimjust/ recidivism. pdf(검색일 2020. 2. 11)., 2001
2 법무부, "「법무연감」", 법무부 기획재정담당관실., 2020
3 법무부, ".「법무백서」", 법무연수원., 2020
4 윤백남, "「조선행형사」", 서울: 문예서림, 1948
5 양철우, "「한국어사전」", 서울: (주) 교학사, 2014
6 신경림, 조명옥, 양진향,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4
7 법무부, "「교정통계연보」", 법무부 교정본부., 2020
8 이은옥, 이인옥, "낙인(stigma) 개념분석", 류머티스건강학회지, 13(1) 53-66, 2006
9 공병혜, 신경림, "역「현상학적 연구」", 서울: (주) 현문사, 2001
10 김영석, 정종원, 유기웅, 김한별,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박영story, 2019
11 이경희, 이소우, "Resilience(회복력) 개념분석", 대한스트레스학회, 스트레스 연구 13(1) 9-18, 2005
12 이남인, "후설의 현상학과 현대철학", 서울: 풀빛미디어, 2007
13 김영식, "“회복적 교정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4 박영의, "“노인수형자의 회심체험 연구”", 백석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15 최영신, "“수형자 집중인성교육의 시행”",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5(겨울호). 28-30, 2015
16 Giorge, A.,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 Dr. A. P", Giorgi-2003년 Winter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Workshop, 2003
17 이준일, "“차별, 소수자, 국가인권위원회”", 헌법학연구 18권 177-222, 2012
18 민중서림, "민중서림(2018). 엣센스 국어사전」.", 엣센스 국어사전」, 2018
19 박장호, 이인재, "공역「윤리학사전(A. V.아도 외저)」", 서울: 백의, 1996
20 유병선, "“출소자의 재사회화에 관한 소고”", 법무부 한국갱생보호공단, 2001
21 경이민 , 홍현미라, 영우아영, 성장혜 , 권지 , "「사회복지 질적연구방법론의 실제」", 서울: 학지사, 2008
22 유동철, "“노동시장의 장애인 차별 영향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23 이윤호, "“출소자의 사회적 차별에 관한 연구”", 국가인권위원회(동국대학교 연구), 2007
24 홍성열, "“전과자와 범죄의 심각성에 대한 지각”", 한국교정학회, 교정연구 32호 7-30, 2006
25 이계경, "“출소자 사회적응제도 현황 및 실효성”", 국정감사 정책질의 자료집-2, 2007
26 배우순, "초기 후설에 있어서 현상학과 기술 심리학", 철학논총 70(4) 329-350, 2012
27 이남인, "현상학과 질적 연구: 응용현상학의 한 지평", 경기: 한길사, 2014
28 이규호, "“출소자 재범방지를 위한 캐나다의 동향”", 교정복지연구 2015(9) 173-193, 2015
29 권성연, "“4차원 영성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30 김영식, "“수형자 사회복귀제도의 실효성제고방안”", 한국교정학회, 교정연구42호, 2009
31 양혜경, "“수형자의 출소 후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교정연구 제63호 115-144, 2014
32 이나영, 조한익, "“청소년의 학업성취와 자아탄력성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7(6) 1-20, 2010
33 김민규, 신우열, 김주환, "“회복탄력성 검사지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한국 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청소년연구 20(4) 105-131, 2009
34 서미경, "중고령 여성의 취업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35 홍은숙, "탄력성 (Resilience) 의 개념적 이해와 교육적 방안", 특수교육학연구 41(2) 45-67, 2006
36 최옥채, "“보호관찰관의 사회복지적 역할에 관한 연구”", 보호관찰 2004(4), 2004
37 강호성, "“출소자 재범방지를 위한 효과적인 지원방안”", 한국보호관찰학회, 보호관찰 18(1) 209-252, 2018
38 홍영오, "“강력범죄의 재범률 및 재범예측에 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31, 2012
39 김재형, "“한센인의 격리제도와 낙인 차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40 Malterud, K., "Systematic text condensation : A strategy for qualitative analysis", Scandinavian Journal of Public Health, 40, 795-805, 2012
41 신영화, "“여성재소자의 인권 : 출소자 면접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0
42 이양희, 주소영, "“청소년용 탄력성(Resilience) 척도 개발 및 타당성”", 청소년학 연구 18(4) 103-139, 2011
43 권종희, 최형숙, 김희주, "“양육기혼모들의 차별경험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한국가족복지학 36권 121-155, 2017
44 이동훈, 오혜영, 신지영, 박성현, "출소자의 가정복원 과정에 관한 교정 전문가의 인식", 한국가족복지학 20(3) 499-530, 2015
45 홍봉선, "“출소자 복지증진과 갱생보호사업의 활성화 방안”", 교정연구 제14권 143-175, 2002
46 이창한, "“미국의 출소자 사회복귀 연계제도의 성과와 과제”", 교정담론 3(2) 아시아교정포럼, 2009
47 김주환, "회복탄력성 :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마음 근력의 힘", 고양: 위즈덤하우스, 2019
48 최영신, "“우리나라 수형자 사회복귀과정의 단계와 지원방안”", 형사정책 연구. 20(1), 2009
49 진재근, "조직회복탄력성이 혁신행동과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50 조윤오, "“GPS전자감시 성범죄자의 사회복귀 의지에 대한 연구”", 경찰학 논총 2013(5).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3
51 박미숙, 이민식, "“여성출소자 취업실태와 취업지원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1
52 김정호, 주상호, "“출소자의 고용창출형 사회적 기업의 지속가능 연구”", 교정담론 2015(12) 127-157, 2015
53 이신숙, "중학생의 회복탄력성이 학교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54 남순현, "“노인의 일과 여가 의미에 대한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55 박지훈, "“성격 다양성이 삶의 만족과 직무 수행에 미치는 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56 남상철, "「재범요인 경로 분석을 통한 교정복지 증진 방안 연구」", 신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57 박성수, "“마약류범죄 분석을 통한 마약중독자 사회복귀 방향성”", 아시아교정포럼 교정담론 13(2), 2019
58 이준길, "“장애인 운동선수의 차별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연구”", 상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59 안리라, "“은행업 성차별의 복합구조와 인지적 배제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60 박미희, "“장애인의 취업에 미치는 인적자본 및 차별 요인의 영향”", 경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61 정진수, "“재범방지를 위한 범죄자처우의 과학화에 관한 연구(Ⅱ)”", 한국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9-85, 2011
62 신연희, "“출소 후 재범 예방에 관한 연구 : 사회 자본을 중심으로”", 한국형사정책 연구원, 19(1) 191-213, 2008
63 김상곤, 정연경, "“교육복지실천에서 낙인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29(2) 97-124, 2009
64 조미애, "“수형자의 성공적인 사회복귀를 위한 취업알선 방안 연구”", 경운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65 김민정, 김순석, "비공식낙인이 청소년의 지위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찰학논총 9(3) 127-147, 2014
66 정구철, 한수연, "남성 수형자와 일반인의 회복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 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4) 763-781, 2013
67 박준식, "“사회적지지가 교정위원의 봉사활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68 배임호, "“출소자 재범방지를 위한 갱생보호사업의 실태와 발전방향”", 한국 교정학회, 교정연구 60호 113-134, 2013
69 박현선, 이채원, 이상균, "공역「근거이론의 구성(질적분석의 실천지침)」. Kathy Charmaz 저", 서울: 학지사, 2013
70 김수정, 허찬희, 이지연, "“구치소 재소자가 지각하는 낙인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20(11): 65-81, 2017
71 김혜미, "“사회적응을 위한 출소자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72 강병철, "“사회적 낙인 인식이 성소수자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과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73 이인곤, "“출소자의 사회복귀를 위한 가족지원(복지)사업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연구학회, 한국경찰연구 14(3) 153-180, 2015
74 배임호, "“남성수형자와 일반인의 회복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 한국심리학회, 건강 18(4) 763-781, 2008
75 공정식, "낙인에 대한 출소자의 인식이 대인관계에서 신뢰에 미치는 영 향", 한국경호경비학회, 제57호 57-84, 2018
76 박선영, "“수형자 사회복귀를 지원하는 공생의 사회구현 실현방안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2
77 박길태, 안윤숙, "“시설보호 비행청소년의 사호복귀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교정복지학회, 교정복지연구 43, 2016
78 류병관, "“가석방제도의 운영현황과 발전방향 : 회복적 사법을 중심으로”", 한국교정학회, 교정연구 84호 3-39, 2019
79 허경미, "“미국의 성범죄자 등록 공개 취업제한 제도에 대한 비판적 쟁점”",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8(1) 271-298, 2019
80 Schuman, H., "Ste또, C., & Bobo, L. Racial Attitudes in America : Trends and Interpretation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85
81 김성숙, "“장애인의 차별경험이 직업유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82 기경희, 김광수, "회복탄력성 연구 동향과 과제: 회복탄력성 개념과 척도를 중심으로.", 초등상담연구 17(2) 157-175, 2018
83 김현경, "“난민으로서의 새터민의 외상(trauma)회복경험에대한현상학적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84 김현수, 조미애, 김효진, "“수형자의 성공적인 사회복귀를 위한 취업알선 방안에 관한 소고”", 한국치안행정논집 16(2) 2-17, 2019
85 박정연, "“장애차별담론 연구 : 장애차별의 미세화 현상에 대한 진단과 대안”",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86 신연희, 최관, 이동훈, "“출소자 가정 복원을 위한 가족 실태조사 및 중장기 지원방안 연구”",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2014
87 김기갑, "경찰관의 직무스트레스가 회복탄력성에 따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88 임미영, "노인 자살 시도 경험에 관한 연구–Giorgi의 현상학적 방법 론을 통하여-", 한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89 이동훈, "“출소자 가정 복원을 위한 모델 유형에 따른 심리치료 프로그램 개발”",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연구용역 과제, 2014
90 송미경, 이은경, 이건화, 양난미, "“출소자 취업지원관의 경험에 대한 연구 : 출소자의 취업과 취업유지”",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17(3) 통권63호 477-502, 2016
91 김은라, "“지체장애 청소년의 장애수용과 회복탄력성, 사회참여의 구조적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92 이소영, "위기청소년에게 회복탄력성이 갖는 의미 : 영성적 탄력성과 전 인적 성장",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93 김계정, "청소년의 위기요인과 학교적응과의 관계에서 탄력성과 학교 문화의 영향", 강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94 최기숙, "“노인의 차별경험 및 역할상실, 절망감과 자살생각과의 구조관계 연구”", 위덕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95 김정민, 이정숙, 유안진, "“신체상, 부모와 또래애착, 탄력성이 청소년의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5) 123-132, 2005
96 연성진, "“출소자 사회복귀를 위한 지역사회회복 모델 : 사회적 기업을 중심으로”", 아시아교정포럼 교정담론 7(1) 35-62, 2013
97 이신영, "“출소자의 재범방지를 위한 지역사회중심의 갱생보호사업에 관한 연구”", 교정연구 38호 149, 2008
98 박영균, 최상열, "성폭력 가해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미술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예술심리치료연구 13(1) 31-56, 2017
99 박은혜 , 전셋별, "“유치원교사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탐색”.",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교원교육연구 27(1) 253-276, 2010
100 김안식, "“수형자의 종교 활동 및 성향이 정신건강과 수용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101 이신영, "“시설에 구금된 소년범의 사회복귀를 위한 집중적 사후지도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32(2). 109-130, 2013
102 나호견, "“출소자의 사회적응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교정복지센터 모델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03 유숙자, "노인의 차별경험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노화불안 의 매개효과 연구",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04 박명숙, 한인영, "“성폭력 가해자의 가족통합 및 지역사회 복귀를 위한 통합적 지원 프로그램”", 법무부, 2009
105 박춘희, "사회정의 관심과 실천 모형 검증: 공동체 의식과 장애 인권 감수 성을 중심으로", 인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106 김수안, 민경환, "“사회 및 성격, 탄력성 척도의 비교 및 탄력성과 정서적 특성과의 관계 탐색 ”", 한국심리학회지, 25(2) 223-243, 2011
107 심혜인, 홍송이 , 조윤오 , "“교정프로그램 참여가 재복역에 미치는 영향 : 노인 수형자 유형을 중심으로”.", 한국치안행정학회. 한국치안행정논집 15(2) 465-490, 2018
108 정주호,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사회적 차별경험이 학교 폭력범죄 피해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109 이은주, "“심리상담에서 낙인에 대한 인지적 재평가가 전문적 도움추구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10 김이철, "“노인의 차별경험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상실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11 신성만, "“출소자지역사회재활서비스의국내외현황과시사점: 정신사회재활모델의 적용”", 보호관찰 14(2) 149-189, 2014
112 최관, "출소자의 취업경험인식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낙인, 차별, 편견, 인권을 중심으로", 『교정담론』9(2), 2015
113 최영신, "“미국 수형자 사회복귀 협력체계(Reentry partnership initiatives)의 사회복귀과정 모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형사정책연구소식 통권104호 5-8, 2007
114 박성훈, 정혜원, 박현수, "“청소년비행에 있어 낙인의 효과에 대한 경험적 연구 : 비공식 낙인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청소년연구 20(1) 227-251, 2009
115 김서현, "“이혼한 남성 출소자들의 가족관계 단절 경험 : 한 줌 모래로 무너진 탑 다시 쌓기”", 한국사회복지학 71(4) 67-96, 2019
116 신지영, 전지열, 이동훈, "“수감생활 및 출소 후 과정에서 여성출소자의 자녀양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1(3) 327-364, 2016
117 김나리, 유재영, 라광현, "“출소자 취업지원 실태 및 시사점 : 한국법무보호 복지공단 기술교육원을 중심으로”", 보호관찰 19(2), 2019
118 최보윤, 유성경, 홍세희, "가정의 위험요소와 적응의 관계에서 자아 탄 력성, 애착, 실존적 영성의 매개효과 검증", 교육심리연구 18(1) 393-408, 2004
119 공정식, 방진희, "“출소자의 낙인이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 : 회복탄력성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정학회, 교정연구 29(2) 133-158, 2019
120 김소희, "“학교 내 공식처벌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 자아낙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한범죄학회 9(3) 103-129, 2015
121 박희균, "“경찰의 범죄예방활동에서 집합효율성과 범죄두려움의 관계 : 차별적 효과집단 비교”",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122 이영란, "“고령 장애인의 차별경험과 삶의 만족도에서 자아효능감과 장애수용의 이중매개효과”", 한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123 좌현숙, "“빈곤 청소년의 적응유연성 영역 간 종단적 상호관계: 심리, 사회, 학교 영역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124 최기남, "“지역주민 여가활동이 사회활동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자아효능감, 회복탄력성을 매개변수”", 칼빈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125 공정식, 권준성, "“출소자의 가족관계가 직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 낙인의 매개 효과와 사회적지지 조절효과”", 한국범죄심리연구 15(3) 11-26, 2019
126 공정식, 현문정, 김정현, "“출소자의 가족믿음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와 자존감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범죄학회지, 13(1) 5-26, 2019
127 공정식, 김정현, "출소자의 삶의 질과 낙인이 지역사회적응에 미치는 영 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 한국경찰학회보 20(5) 통권72호 3-32, 2018
128 전 별, "“고용형태를 이유로 하는 차별의 합리성에 관한 판단 법리 : 비 정규직, 무기계약직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129 법무부 교정본부, "“출소자의 안정적 사회복귀 위한 대화를 나누다 : 교정처우 지원 및 민간갱생보호 법인 대표자 간담회”", 교정 59(3) 통권466호 40-43, 2015
130 박광원, "“출소자의 직업적 재사회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한국법무보호 복지공단 출소자 보호사업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131 김정현, "“출소자의 가족관계회복이 재범방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회복탄력성과 공격성의 연속다중매개모형 검증”",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132 남현희, "“위치추적 전자장치 부착 성폭력범죄자의 사회복귀 경험에 관한 연구 :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론을 중심으로”", 대한신학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19
133 김지훈, "“프랑스와 스위스의 교정을 들여다 본다 : 성공적인 사회복귀를 장려하는 다양하면서도 실질적인 교육프로그램이 필요”", 교정 59(8) 48-51, 2015
134 이민화, "“정신장애인의 자기낙인이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차별상황에 대한 정당성 인식, 집단동일시의 조절효과”",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19
135 박인혜, 정민주, 이현정,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고객관련 사회적 스트레스 요인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자기회복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항공경영학회지, 11(4) 173-192., 2013
136 배임호, "회복적 사법정의(Restorative Justice)에 근거한 프로그램 참여자에 대한 교정복지실천 개입에 관한 연구 下, 17년동안 교정복지실천 케이스를 중심으로", 교정 세상을 지키는 따뜻한 사람들 63(6) 통권 제517호 48-53.,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