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내 숲과 공원의 조성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도시의 경제적 건강과 도시민의 삶의 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취지에서 최근 서울시가 대대적으로 추진해온 도시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620879
2006
-
KCI등재
학술저널
225-250(26쪽)
1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도시 내 숲과 공원의 조성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도시의 경제적 건강과 도시민의 삶의 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취지에서 최근 서울시가 대대적으로 추진해온 도시균...
도시 내 숲과 공원의 조성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도시의 경제적 건강과 도시민의 삶의 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취지에서 최근 서울시가 대대적으로 추진해온 도시균형개발사업의 하나인 서울숲 조성사업을 대상으로 경제적 편익을 추정하고자 한다. 이러한 평가를 위한 적합한 틀로서 조건부 가치측정법을 선택하였다. 뿐만 아니라, 지불의사액 추정에 있어서 분포에 관한 가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비모수적 추정법을 적용하여 모수적 추정법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모수적 방식으로 추정된 연평균 WTP는 2,183원인 반면, 비모수적 방식으로 추정된 연평균 WTP는 2,965원으로 큰 차이를 보여 서울숲 조성사업의 경우 모수적 방식의 추정은 다소 문제가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비모수적 추정치를 바탕으로 한 비용편익분석 결과, 서울숲 조성의 경제적 순 편익은 약 168억 원에서 약 192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정량적 정보는 향후 비슷한 규모의 도시개발계획에 대한 경제성 평가에 활용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for evaluation on the provision of a seoul forest in terms of urban planning. To this end, we apply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in assessing the non-market benefits derived from the provision of a new urban forests in Seoul. Also c...
This paper aims for evaluation on the provision of a seoul forest in terms of urban planning. To this end, we apply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in assessing the non-market benefits derived from the provision of a new urban forests in Seoul. Also conducting our study, we used both parametric and non-parametric approaches, which yielded saliently different results. That is, our main finding is that a representative household would be willing to pay 1,941 Korean won annually for constructing Seoul Forests, according to the parametric approach and 2,965 Korean won by the non-parametric approach. Finally net economic benefits based on non-parametric estimation results would amount to approximately 16.8 to 19.2 billion Korean won.
해외 구 산업지역의 지역혁신 정책에 대한 비교연구 - 독일 루르지역과 프랑스 로렌주의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
지니계수 요인분해(Gini decomposition)를 이용한 문화산업의 불균등 기여도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4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9 | 0.59 | 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5 | 0.72 | 0.923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