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마강래, "지방도시 살생부", 개마고원, 2017
2 해리 덴트, "2018 인구절벽이 온다", 청림출판, 2015
3 야하기 히로시, "“도시축소의 시대”", 기문당, 2013
4 김명환, "원주시 도심기능의 쇠퇴원인", 한국도시행정학회 도시행정학 보, 23(2), 55-83, null
5 김광중, "한국 도시쇠퇴의 원인과 특성",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3(2), 43-58, 2010
6 임재현, "우리 나라의 도시별 도시화 단계", 주택연구, 7(2), 139-164, 1999
7 구동회, "도시발전단계에 관한 이론적 검토", 국토지리학회지, 52(4), 481-497, 2018
8 정환용, "한국의 도시성장단계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5(2), 205-228, 2003
9 이희연, 한수경, "길 잃은 축소도시 어디로 가야 하나", 국토연구원 창조적 도시재생 시리즈 52, 2014
10 송창식, 채성주, 원광희, "인구감소시대 축소도시 활성화 전략", 충북 연구원, 2010
11 최은영, "지역간 인구이동의 공간적 특성 분석", 서울도시연구, 5(3), 49-66, 2004
12 채성주, "지역 유형에 따른 인구이동 특성 분석", 지역정책연구, 26(2), 1-21, 2015
13 강인호, 이영철, 염대봉, "도시 수축 : 도시재생의 새로운 패러다임",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6(3), 25-50, 2015
14 이관률, 황재혁, 임준홍, "충청권 도시쇠퇴의 특성과 영향구조분석", 국토연구, 123-139, 2009
15 서준교, "도시쇠퇴와 수축의 원인과 대응전략 연구", 한국지방자치학 회보, 26(1), 97-115, 2014
16 고은정, 서수정, "공공공간을 매개로 한 원도심 활성화 방안", 건축도 시공간연구소, 2008
17 임동일, "강원도 3대 도시의 인구이동 결정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 회논문지, 11(1), 411-421, 2011
18 송상열, 장희순, "비성장형도시의 쇠퇴원인 분석과 활성화 방안", 국토 연구, 39-57, 2006
19 손정렬, "새로운 도시성장 모형으로서의 네트워크 도시", 대한지리학 회지, 46(2), 181-196, 2015
20 김성환, 이정섭, "단계적 인구이동에 따른 출산력 변화와 과소화", 대 한지리학회지, 49(5), 728-746, 2014
21 김혜천, "도심공동화 문제의 이해와 도심재생의 접근방법", 도시행정 학보, 16(2), 79-99, 2003
22 전유신, "경기도 개발사업 유형별 인구이동 실태분석 연구", 국토계획, 44(5), 113-123, 2009
23 권오규, 마강래, "변이할당모형을 이용한 수도권 인구 유출입 분석", 국토계획, 49(8), 5-19, 2014
24 강은택, "지역별 수도권으로의 인구이동 결과에 관한 연구", 대한부동 산학회지, 32(2), 35-46, 2014
25 남진, 윤병훈, 박관우, "도시성장단계평가를 통한 도시재생의 타당성 분석", 국토계획, 50(3), 153-177, 2015
26 구형수, 이승욱, 민범식, 김태환, "“저성장 시대의 축소도시 실태와 정책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016
27 이봉조, 임석회, "상호작용 지수를 이용한 수도권 도시 네트워크 분 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0(1), 30-48, 2014
28 배민기, 채성주, 백기영, "지역 낙후도 유형에 따른 인구이동 특성과 이동 요인", 국토연구, 91-103, 2014
29 권오규, 마강래, "“대학진학이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지식연구,28(4), 65-77, 2012
30 이창무, 최성호, "“연령대별 지역간 인구이동 특성의 시계열적 변화”", 부동산학연구, 19(2), 87-102, 2013
31 이세규, "주민지향적 도시재개발 및 재생정책을 위한 실증연구", 지방 행정연구, 25(2), 389-412, 2011
32 이연경, "지방정부의 정책지향과 인구이동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 대학교 정책학박사학위논문, 2017
33 김병섭, 서순탁, "구조화이론을 통한 도심쇠퇴 분석, 공간과 사회 제 30권", 한국공간환경학회, 213-250, 2008
34 유수영, 홍성효, "세대별 시군구 간 인구이동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 분석", 서울도시연구, 13(1), 1-19, 2012
35 김병섭, 박성현, "지방 중소도시 원도심의 쇠퇴와 예측 그리고 대응 방안", 한국지방행정학보, 14(3), 175-192, 2017
36 성은영, 임유경, 윤주선, 심경미, "“지역특성을 고려한 스마트 축소 도시재생 전략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5
37 우명제, 황의정, "전국 도시권의 도시스프롤 측정을 통한 유형 및 특 성 분석", 국토계획, 51(5), 21-42, 2016
38 이민관, "중소도시 인구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특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박사학위 논문, 2011
39 박성진, 천상현, 임이정, 이연수, "주택의 매매 및 전세가격 증감률 이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49(5), 151-172, 2014
40 이정록, "“기업도시 인구이동과 인구구조의 변화: 광양시를 사례로”", 대한지리학회지, 대한지리학회지,51(6), 837-851, 2016
41 문제철, 이찬영, "광주전남 지역의 연령별이동지역별 인구이동 결정 요인 분석", 산업경제연구, 29(6), 2239-2266, 2016
42 이승민, 이희연, "수도권 신도시 개발이 인구이동과 통근통행패턴에 미친 영향", 대한지리학회지, 43(4), 561-579, 2008
43 김지소, 장훈, 임업, "통근자료와 GIS를 이용한 서울대도시권 도시 간 상호작용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9(2D), 267-273, 2009
44 윤병훈, "“도시성장 영향요인을 고려한 도시성장단계 평가기법 개발”",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7
45 이상림, "연령이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최초이동, 계속이동, 귀환이 동", 한국인구학, 32(3), 43-72, 2009
46 이영성, "쇠퇴하는 곳은 계속 쇠퇴하고, 번성하는 곳은 계속 번성하 는가?", 지역연구, 32(1), 51-66, 2016
47 노승철, 이희연, "지역의 교육환경이 인구이동 시 비동거가족 형성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46(4), 19-30, 2011
48 이상일, 조대헌, "지역간 인구이동의 예측을 통한 우리나라 시도별 장래 인구 추계", 대한지리학회지, 47(1), 98-120, 2012
49 박선주, 이호준, 이수기, "세종시 개발이 주변지역 및 수도권 인구이 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국토계획, 53(2), 85-105, 2018
50 제현정, "“인구감소지역의 유형별 실태와 지방의 도시계획적 대응 비 교”",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51 최진호, "한국 지역 간 인구이동의 선별성과 이동 이유: 수도권을 중 심으로", 한국인구학회지, 31(3), 159-178, 2008
52 손동글, "“공공기관 이전 정책의 수도권 인구집중 완화 효과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8
53 형시영,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도심쇠퇴 현상의 영향요인에 관 한 연구", 한국거버넌스학회보, 13(2), 1-22, 2006
54 김선덕, 이만형, 성태영, "세종특별자치시 출범이 인접지역 인구이동 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7(5), 283-301, 2015
55 강은택, "수도권으로 인구이동에 따른 경제력의 세대 간 이동성에 관 한 연구", 대한부동산학회지, 32(1), 75-91, 2014
56 Andreas Piederstorfer, "제9장 통독 후 독일의 인구이동과 농촌 붕 괴로 인한 사회 문제 연구", 통일전략, 11(3), 281-323, 2011
57 전경구, 전형준, "“인구감소지역의 스마트 쇠퇴를 위한 축소도시계획 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8(1), 2016
58 박현병, 임준홍, 이정수, "신도시 개발예정지 인근 소도시의 중심시가 지 현황분석 및 의식조사", 국토계획, 43(7), 161-173, 2008
59 박진희, 이재영,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도심쇠퇴요인과 도심이미 지간 영향관계 연구", 국토계획, 49(6), 145-158, 2014
60 박이택, "저출산고령화 시대의 광역권 인구이동 : 변이-할당 분석으 로부터의 접근", 아세아연구, 55(2), 168-200, 2012
61 권기철, "“부산광역권의 제조업 고용 변동과 인구이동의 관계 및 인 구이동의 균형화 효과”", 경제연구, 24(3), 97-123, 2006
62 심재헌, 이희연, "네트워크의 공간 의존성과 외부효과를 고려한 인구이동 흐름모델 구축 및 실증 분석", 지역연구, 27(3), 81-99, 2011
63 권상철, "한국 대도시의 도시화 특성 : 이동, 통근자 자료 분석을 통 한 도시화 단계의 실증적 검토",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7(5), 536-553, 2011
64 권상철, "우리나라 수도권으로의 인구이동:시기별 유출지역 특성과 이주자 선별성의 상대적 중요도 평가",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1(6), 571-584, 2005
65 박제인, 최낙훈, 장훈, "인구 및 통근자 자료 분석을 통한 도시확산현 상 및 지역 간 상호작용 검증 : 서울 대도시권을 중심으로", 한국 지형공간정보학회지,14(2), 77-88, 2006
66 우명제, 윤국빈, "대도시와의 상호작용이 교외도시 성장 및 쇠퇴에미 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전국 5대 광역대도시권을 중심으로", 한국 지역개발,31(1), 141-160,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