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축제 의도가 ESG 활동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950095

      • 저자
      • 발행사항

        수원 :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24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24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경기도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Effect of Festival Intention on ESG Activity Awareness

      • 형태사항

        xi, 183 p. ;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경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A Study on the Effect of Festival Intention on ESG Activity Awareness
        지도교수:이재곤
        참고문헌 : p. 135-174

      • UCI식별코드

        I804:41002-000000058249

      • 소장기관
        • 경기대학교 금화도서관(서울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수원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COVID-19 팬데믹(pandemic)은 산업,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영역에 걸쳐 다양한 변화를 몰고 왔다. 관광산업 분야에서도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른 급격한 침체를 겪었다.
      2023년 COVID-19 위기 경보 수준이 하향 조정되면서 점차 일상을 회복하는 가운데 각 지자체에서는 축제예산을 편성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문화관광축제 개최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에 한국관광공사의 조사 결과를 따르면, 2019년 대비 2022년은 축제 방문객이 20% 증가하였다. 전국적으로 문화관광축제의 개최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지역축제는 양적인 포화 상태에 이르렀기 때문에 지역 축제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차별화된 축제 기획, ESG 체험 강화 등 질적 향상이 필요하다.
      ESG 활동 인식이 산업 전반에 도입되면서 지역축제에서도 방문객의 ESG 활동 인식과 ESG 경험의 중요성 인식을 중요시하고 있으며, 환경적 책임과 사회적 책임의 실천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선행연구 분석 결과, 축제에 있어서 ESG 활동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는 연구가 부족한 상태로, 새로운 시대에 적합한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축제 의도에 따른 ESG 활동 인식이 지자체 신뢰, 지역경쟁력 및 개최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여 선행연구에 대한 이론적 확장은 물론 관광산업 분야의 ESG 도입을 촉진하고 관광산업의 특성을 반영한 축제의 활성화 및 융복합 산업으로의 발전을 기대한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서 선행연구 및 문헌 조사를 실시하고, 최종 도출된 측정항목을 설문의 내용으로 구성하였으며, 설문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한 전문가의 사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제14회 대전효문화뿌리축제 방문객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배포한 설문지 400부 중 350부를 회수하였으며, 이 중, 불성실한 응답이나 누락 항목 등으로 분석이 곤란한 설문과 대전지역에 거주하지 않는 타 지역의 방문객 55부를 제외한 유효 설문지 295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 처리는 데이터 코딩(data coding)과 데이터 크리닝(data cleaning) 과정을 거쳐, SPSS v.22.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표본의 일반적 특성에 필요한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 분석, 타당성 분석을 실시하였고. 또한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모형과 가설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축제 의도가 ESG 활동 인식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ESG 활동 인식이 지자체 신뢰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자체 신뢰는 지역경쟁력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자체 신뢰는 개최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검증의 결과로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축제 의도에서 기획의도, 특성의도, 운영의도가 지역축제를 성공으로 이끄는 중요한 요인임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최근 축제 방문객의 욕구도 새로운 경험적가치를 요구한다. 정형화된 프로그램, 독창성 및 차별성이 없는 축제는 재방문과 만족도를 기대할 수 없다. 축제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 주민의 주인의식이 필요하고, 축제 전문가 및 지역 관계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다양한 축제 프로그램 기획, 축제에 대한 공정하고 객관적인 평가 등 원활한 피드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축제 정책이 열린 구조로 다변화될 필요가 있으며, 축제 조직위원회의 구성에 있어서 지역 주민의 자발적 참여를 확대하여야 한다.
      둘째, 축제 의도에 따른 ESG 활동 인식은 친환경책임 분야에 편중되어 있고 사회적책임 및 합리적운영에 대한 인식은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대부분의 축제는 여전히 폐기물 최소화, 재활용, 플라스틱 제로 실천 및 다회용 용기나 컵 사용 등 친환경, 탄소중립의 친환경책임에만 초점을 두고 있다.
      이는 아직 ESG 관광산업 정책의 방문객 인식이 부족하기 때문으로 설명된다. 사회적책임에 대한 인식 부족과 경영철학 및 정책 기준에 따른 것으로 ESG 인식개선에 대해 적극적인 홍보와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축제의 수익구조나 축제 만족이 부족한 것은 지역축제의 주인인 지역 주민의 요구가 적절히 반영되지 않고 있으며, 미흡한 지역관광생태 구조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셋째 지자체 신뢰와 지역경쟁력은 축제 성과의 큰 영향을 미치며 지자체는 지역 주민과 이해관계자들과의 투명하고 정직한 파트너십이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지역축제의 성공 개최는 지역의 이해집단 간 소통과 교류를 활성화하고, 지자체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설명된다.
      본 연구 결과는 축제의 개최성과를 향상하기 위해 무엇보다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방정부주도형 축제의 유형에서 벗어나 지역 주민이 함께하는 지방 정부 및 주민협력주도형 축제로의 변형과 나아가 주민주도형 축제로 발전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로써 성공적인 축제는 지역의 이익 증대,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 및 지역경쟁력 강화라는 세 가지 목표를 달성할 것이다.
      번역하기

      COVID-19 팬데믹(pandemic)은 산업,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영역에 걸쳐 다양한 변화를 몰고 왔다. 관광산업 분야에서도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른 급격한 침체를 겪었다. 2023년 COVID-19 위...

      COVID-19 팬데믹(pandemic)은 산업,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영역에 걸쳐 다양한 변화를 몰고 왔다. 관광산업 분야에서도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른 급격한 침체를 겪었다.
      2023년 COVID-19 위기 경보 수준이 하향 조정되면서 점차 일상을 회복하는 가운데 각 지자체에서는 축제예산을 편성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문화관광축제 개최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에 한국관광공사의 조사 결과를 따르면, 2019년 대비 2022년은 축제 방문객이 20% 증가하였다. 전국적으로 문화관광축제의 개최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지역축제는 양적인 포화 상태에 이르렀기 때문에 지역 축제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차별화된 축제 기획, ESG 체험 강화 등 질적 향상이 필요하다.
      ESG 활동 인식이 산업 전반에 도입되면서 지역축제에서도 방문객의 ESG 활동 인식과 ESG 경험의 중요성 인식을 중요시하고 있으며, 환경적 책임과 사회적 책임의 실천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선행연구 분석 결과, 축제에 있어서 ESG 활동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는 연구가 부족한 상태로, 새로운 시대에 적합한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축제 의도에 따른 ESG 활동 인식이 지자체 신뢰, 지역경쟁력 및 개최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여 선행연구에 대한 이론적 확장은 물론 관광산업 분야의 ESG 도입을 촉진하고 관광산업의 특성을 반영한 축제의 활성화 및 융복합 산업으로의 발전을 기대한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서 선행연구 및 문헌 조사를 실시하고, 최종 도출된 측정항목을 설문의 내용으로 구성하였으며, 설문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한 전문가의 사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제14회 대전효문화뿌리축제 방문객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배포한 설문지 400부 중 350부를 회수하였으며, 이 중, 불성실한 응답이나 누락 항목 등으로 분석이 곤란한 설문과 대전지역에 거주하지 않는 타 지역의 방문객 55부를 제외한 유효 설문지 295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 처리는 데이터 코딩(data coding)과 데이터 크리닝(data cleaning) 과정을 거쳐, SPSS v.22.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표본의 일반적 특성에 필요한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 분석, 타당성 분석을 실시하였고. 또한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모형과 가설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축제 의도가 ESG 활동 인식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ESG 활동 인식이 지자체 신뢰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자체 신뢰는 지역경쟁력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자체 신뢰는 개최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검증의 결과로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축제 의도에서 기획의도, 특성의도, 운영의도가 지역축제를 성공으로 이끄는 중요한 요인임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최근 축제 방문객의 욕구도 새로운 경험적가치를 요구한다. 정형화된 프로그램, 독창성 및 차별성이 없는 축제는 재방문과 만족도를 기대할 수 없다. 축제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 주민의 주인의식이 필요하고, 축제 전문가 및 지역 관계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다양한 축제 프로그램 기획, 축제에 대한 공정하고 객관적인 평가 등 원활한 피드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축제 정책이 열린 구조로 다변화될 필요가 있으며, 축제 조직위원회의 구성에 있어서 지역 주민의 자발적 참여를 확대하여야 한다.
      둘째, 축제 의도에 따른 ESG 활동 인식은 친환경책임 분야에 편중되어 있고 사회적책임 및 합리적운영에 대한 인식은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대부분의 축제는 여전히 폐기물 최소화, 재활용, 플라스틱 제로 실천 및 다회용 용기나 컵 사용 등 친환경, 탄소중립의 친환경책임에만 초점을 두고 있다.
      이는 아직 ESG 관광산업 정책의 방문객 인식이 부족하기 때문으로 설명된다. 사회적책임에 대한 인식 부족과 경영철학 및 정책 기준에 따른 것으로 ESG 인식개선에 대해 적극적인 홍보와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축제의 수익구조나 축제 만족이 부족한 것은 지역축제의 주인인 지역 주민의 요구가 적절히 반영되지 않고 있으며, 미흡한 지역관광생태 구조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셋째 지자체 신뢰와 지역경쟁력은 축제 성과의 큰 영향을 미치며 지자체는 지역 주민과 이해관계자들과의 투명하고 정직한 파트너십이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지역축제의 성공 개최는 지역의 이해집단 간 소통과 교류를 활성화하고, 지자체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설명된다.
      본 연구 결과는 축제의 개최성과를 향상하기 위해 무엇보다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방정부주도형 축제의 유형에서 벗어나 지역 주민이 함께하는 지방 정부 및 주민협력주도형 축제로의 변형과 나아가 주민주도형 축제로 발전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로써 성공적인 축제는 지역의 이익 증대,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 및 지역경쟁력 강화라는 세 가지 목표를 달성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OVID-19 pandemic has driven a variety of changes across most areas, including industry, economy, society, and culture. In the tourism industry, there has also been a steep downturn due to 'social distancing'.
      As the level of the COVID-19 crisis warning level was downgraded and daily life was restored in 2023, each local government made effort to set a festival budget and to hold various cultural tourism festivals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Korea National Tourism Organization, the number of visitors to the festival increased by 20% in 2022 compared to 2019. As the competition to host cultural tourism festivals nationwide is intensifying, local festivals have reached a quantitative saturation state, so qualitative upgrades such as differentiated festival planning and strengthening ESG experiences are required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local festivals.
      As the ESG activity awareness is introduced throughout the industry, local festivals are also required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ESG activity awareness and ESG experience, and the practice of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nd social responsibility is emphasized.
      In this situation,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prior research, it is confirmed that a lack of research to indentify the importance of ESG activities in the festival so that suitable research for changed era is neede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ESG activity awareness according to festival intentions on local government trust, regional competitiveness, and hosting performance, thereby theoretically expand the previous research, boost the introduction of ESG in tourism culture area, enable the festival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ourism industry and look forward to development into a convergence industr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inally derived measurement items after review of previous research and literature surveys were composed of the contents of survey, a preliminary survey by experts was conducted to ensu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urvey, and an online and off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visitors of Daejeon Hyo Culture -Ppuri Festival. Of the 400 distributed questionnaires, 350 were collected, and 295 valid questionnaires, excluding those that were difficult to analyze due to insincere responses or missing items and 55 questionnaires from foreign visitors who do not live in the Daejeon area,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Statistical processing of the collected data went through data coding and data cleaning processes, and was analyzed using the SPSS v.22.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and was analyzed as follow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validity analysis necessary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were conducted. Additionally,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hypothesis verificatio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festival inten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ESG activity awareness.
      Second, ESG activity awarenes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rust in local governments.
      Third, trust in local government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regional competitiveness.
      Fourth, trust in local governmen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hosting performance.
        The implications derived as a result of hypothesis testing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planning intention, characteristic intention, and operational intention from the intention of festival are important factors that lead to the success of local festivals.
      Recently, the desires of festival visitors also require a new experimental value. Standardized programms, festival without originality and differenciation cannot expect repeated visit and satisfaction.
      In order to revitalize the festival, local residents’ sense of ownership and various festival program planning which festival experts and local officials actively praticipate in are necessary. Additionally, festival policy is needed to be varied as opened structure for active feedback such as fair and objective judgement of the festival and voluntary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should be expanded in forming festival organizing committees.
      Second, ESG activity awareness according to festival intentions is concentrated in the field of eco-friendly responsibility, and awareness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rational operation is still insufficient. Most festivals still focus only on eco-friendly and carbon-neutral environmental responsibilities such as minimizing waste, recycling, practicing zero plastic, and using reusable containers or cups.
      This is explained by the lack of visitor awareness in ESG tourism industry policies. It was analyzed that due to lack of awareness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following the management philosophy and policy standards, so that active promotion and education to improve ESG awareness is necessary.
      The lack of festival profit structure or festival satisfaction was explained as the needs of local residents, who are the owners of local festival are not reflected properly and being influenced by the insufficient local tourism ecological structure.
      Third, local government trust and regional competitivenes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festival performance, and local governments must form transparent and honest partnerships with local residents and stakeholders.
      Fourth, the successful hosting of a local festival is explained as activating communication and exchange between local interest groups and having a positive impact on local government tru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festiva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ove out from the type of local government-led festival and transform it into a local government and resident cooperation-led festival with local residents, and further develop into a resident-led festival. As a result, a successful festival will achieve three goals: increasing local profits,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and strengthening local competitiveness.
      번역하기

      The COVID-19 pandemic has driven a variety of changes across most areas, including industry, economy, society, and culture. In the tourism industry, there has also been a steep downturn due to 'social distancing'. As the level of the COVID-19 crisis...

      The COVID-19 pandemic has driven a variety of changes across most areas, including industry, economy, society, and culture. In the tourism industry, there has also been a steep downturn due to 'social distancing'.
      As the level of the COVID-19 crisis warning level was downgraded and daily life was restored in 2023, each local government made effort to set a festival budget and to hold various cultural tourism festivals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Korea National Tourism Organization, the number of visitors to the festival increased by 20% in 2022 compared to 2019. As the competition to host cultural tourism festivals nationwide is intensifying, local festivals have reached a quantitative saturation state, so qualitative upgrades such as differentiated festival planning and strengthening ESG experiences are required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local festivals.
      As the ESG activity awareness is introduced throughout the industry, local festivals are also required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ESG activity awareness and ESG experience, and the practice of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nd social responsibility is emphasized.
      In this situation,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prior research, it is confirmed that a lack of research to indentify the importance of ESG activities in the festival so that suitable research for changed era is neede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ESG activity awareness according to festival intentions on local government trust, regional competitiveness, and hosting performance, thereby theoretically expand the previous research, boost the introduction of ESG in tourism culture area, enable the festival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ourism industry and look forward to development into a convergence industr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inally derived measurement items after review of previous research and literature surveys were composed of the contents of survey, a preliminary survey by experts was conducted to ensu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urvey, and an online and off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visitors of Daejeon Hyo Culture -Ppuri Festival. Of the 400 distributed questionnaires, 350 were collected, and 295 valid questionnaires, excluding those that were difficult to analyze due to insincere responses or missing items and 55 questionnaires from foreign visitors who do not live in the Daejeon area,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Statistical processing of the collected data went through data coding and data cleaning processes, and was analyzed using the SPSS v.22.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and was analyzed as follow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validity analysis necessary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were conducted. Additionally,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hypothesis verificatio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festival inten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ESG activity awareness.
      Second, ESG activity awarenes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rust in local governments.
      Third, trust in local government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regional competitiveness.
      Fourth, trust in local governmen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hosting performance.
        The implications derived as a result of hypothesis testing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planning intention, characteristic intention, and operational intention from the intention of festival are important factors that lead to the success of local festivals.
      Recently, the desires of festival visitors also require a new experimental value. Standardized programms, festival without originality and differenciation cannot expect repeated visit and satisfaction.
      In order to revitalize the festival, local residents’ sense of ownership and various festival program planning which festival experts and local officials actively praticipate in are necessary. Additionally, festival policy is needed to be varied as opened structure for active feedback such as fair and objective judgement of the festival and voluntary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should be expanded in forming festival organizing committees.
      Second, ESG activity awareness according to festival intentions is concentrated in the field of eco-friendly responsibility, and awareness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rational operation is still insufficient. Most festivals still focus only on eco-friendly and carbon-neutral environmental responsibilities such as minimizing waste, recycling, practicing zero plastic, and using reusable containers or cups.
      This is explained by the lack of visitor awareness in ESG tourism industry policies. It was analyzed that due to lack of awareness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following the management philosophy and policy standards, so that active promotion and education to improve ESG awareness is necessary.
      The lack of festival profit structure or festival satisfaction was explained as the needs of local residents, who are the owners of local festival are not reflected properly and being influenced by the insufficient local tourism ecological structure.
      Third, local government trust and regional competitivenes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festival performance, and local governments must form transparent and honest partnerships with local residents and stakeholders.
      Fourth, the successful hosting of a local festival is explained as activating communication and exchange between local interest groups and having a positive impact on local government tru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festiva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ove out from the type of local government-led festival and transform it into a local government and resident cooperation-led festival with local residents, and further develop into a resident-led festival. As a result, a successful festival will achieve three goals: increasing local profits,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and strengthening local competitivenes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문제 제기와 연구 목적 1
      • 1. 문제의 제기 1
      • 2. 연구의 목적 4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문제 제기와 연구 목적 1
      • 1. 문제의 제기 1
      • 2. 연구의 목적 4
      • 제 2 절 연구범위와 연구방법 5
      • 1. 연구의 범위 5
      • 2. 연구의 방법 6
      • 3. 연구의 흐름 8
      • 제 2 장 이론적 배경 9
      • 제 1 절 축제 의도 9
      • 1. 축제 의도의 개념 9
      • 2. 축제 의도의 구성요소 22
      • 3. 축제 의도의 측정 28
      • 제 2 절 ESG 활동 인식 31
      • 1. ESG 활동 인식의 개념 31
      • 2. ESG 활동 인식의 구성요소 45
      • 3. ESG 활동 인식의 측정 47
      • 4. 축제 의도와 ESG 활동 인식의 관계 52
      • 제 3 절 지자체 신뢰 55
      • 1. 지자체 신뢰의 개념 55
      • 2. 지자체 신뢰의 구성요소 57
      • 3. 지자체 신뢰의 측정 57
      • 4. ESG 활동 인식과 지자체 신뢰의 관계 61
      • 제 4 절 지역경쟁력 62
      • 1. 지역경쟁력의 개념 62
      • 2. 지역경쟁력의 구성요소 및 측정 68
      • 3. 지자체 신뢰와 지역경쟁력의 관계 72
      • 제 5 절 개최성과 72
      • 1. 개최성과의 개념 72
      • 2. 개최성과의 구성요소 및 측정 77
      • 3.. 지자체 신뢰와 개최성과의 관계 82
      • 제 3 장 연구모형과 분석방법 85
      • 제 1 절 연구모형과 가설설정 85
      • 1. 연구모형 85
      • 2. 가설의 설정 86
      • 3. 변수의 조작적 정의 88
      • 제 2 절 조사의 설계 90
      • 1. 조사 목적 90
      • 2. 조사 대상과 기간 90
      • 제 3 절 설문지 구성 및 분석방법 93
      • 1. 설문지 구성 93
      • 2. 분석 방법 95
      • 제 4 장 실증분석 96
      • 제 1 절 조사 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96
      • 1.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96
      • 제 2 절 측정 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 97
      • 1. 신뢰도 검증 97
      • 2. 타당성 검증 104
      • 제 3 절 상관관계 분석과 연구가설 검증 111
      • 1. 상관관계 분석 111
      • 2. 가설의 검증 113
      • 제 4 절 연구결과 요약 123
      • 1. 연구 요약 123
      • 2. 연구의 시사점 126
      • 제 5 장 결 론 131
      • 참고문헌 135
      • 부 록 175
      • Abstract 18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