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독일의 초등 지리교육과정 변화 특성 및 그 함의 고찰 = Study on Changing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Elementary Geography Curriculum of Germ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285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elucidate recent changing features and implications of elementary geography curriculum of German. In 2004 curriculum the geography education has been realized in 「Integrated Subject」for 1st-4th grades with ‘understanding of spat...

      This study is to elucidate recent changing features and implications of elementary geography curriculum of German. In 2004 curriculum the geography education has been realized in 「Integrated Subject」for 1st-4th grades with ‘understanding of spatial’ theme as the center, and in high level in 「Geography」for 5th-6th as an independent subject. In company with 2017/18 curriculum geography education of Germen has an experience a great changes. The 2017/18 curriculum pursues competence development of learners on the bases of integrated themes. Thus theme of Earth of 「Integrated Subject」 takes on a main role as geographical contents, 「Social Science」replaces 「Geography」for upper grades.
      The contents of 「Social Science」are composed of 6 mandatory themes, i.e. food, and 7 optional themes, i.e. world of children. The themes of this subject bear a close parallel to traditional geographical themes, and the contents have stereo-structures to understand phenomena from a geographical, historical and social perspective. These features have significant implication to reorganize our elementary social studies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지리교육 강국인 독일의 최근 초등 지리교육의 변화 특성을 분석하고, 우리 초등사회과에 주는 함의를 고찰하였다. 독일의 2004 교육과정 체제에서 지리교육은 1-4학...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지리교육 강국인 독일의 최근 초등 지리교육의 변화 특성을 분석하고, 우리 초등사회과에 주는 함의를 고찰하였다. 독일의 2004 교육과정 체제에서 지리교육은 1-4학년의 「통합교과」에서는 8가지 대주제 중에서 ‘공간 이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5-6학년에서는 「지리」라는 독립 교과로서 매우 체계적이고높은 수준에서 이루어졌었다. 그렇지만 2017/18 교육과정의 도입으로 지리교육은 큰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이교육과정의 가장 큰 특징은 통합적 주제를 바탕으로 한 역량 계발을 지향한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지리교육은저학년 「통합교과」에서는 새로 선정된 8가지 대주제 중에서 ‘지구’ 주제를 중심으로, 고학년에서는 신설된 「사회과학」에서 통합적 주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통합적 주제는 ‘식량’ 비롯한 6가지 필수 주제와 ‘어린이들의 세계’를 비롯한 7개의 선택 주제로 구성된다. 이 「사회과학」교육과정은 내용 면에서 전통적인 지리적 주제와유사성이 높고, 장소나 지역 사례를 토대로 과거와 현재 사회를 이해하도록 하는 입체적 구성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특성은 장치 우리의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진정한 통합을 추구하고자 할 때, 하나의 수범적 사례가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간용, "캘리포니아 주 초등 사회과 지리영역 교육과정의 특성 및 변화 분석"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8 (18): 207-219, 2010

      2 조철기, "캐나다 퀘벡 주 지리교육과정과 지리과의 핵심역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1 (21): 61-73, 2013

      3 이상균, "최근 프랑스 지리 교육과정 개정 동향과 지리과 핵심역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2 (22): 45-56, 2014

      4 김다원, "지리교육의 기본개념 분석 연구: 국내외 지리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학회 6 (6): 319-337, 2017

      5 강창숙, "중국의 지리교육과정 변천과 지리과정표준의 구성체계" 한국지역지리학회 18 (18): 217-231, 2012

      6 김현미, "오스트레일리아의 핵심역량 기반 국가 수준 지리 교육과정 탐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2 (22): 33-43, 2014

      7 조철기,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 주 지리교육과정과 내러티브 지리교과서의 특징"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1 (21): 49-63, 2013

      8 조철기, "오스트레일리아 NSW 주 지리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개발교육 특징" 한국지역지리학회 19 (19): 551-565, 2013

      9 심승희, "영국의 2014 개정 지리교육과정의 특징과 그 시사점"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1 (21): 17-31, 2013

      10 조철기, "영국 국가교육과정의 개정과 새로운 지리 학습프로그램의 특징" 한국지역지리학회 18 (18): 232-251, 2012

      1 이간용, "캘리포니아 주 초등 사회과 지리영역 교육과정의 특성 및 변화 분석"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8 (18): 207-219, 2010

      2 조철기, "캐나다 퀘벡 주 지리교육과정과 지리과의 핵심역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1 (21): 61-73, 2013

      3 이상균, "최근 프랑스 지리 교육과정 개정 동향과 지리과 핵심역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2 (22): 45-56, 2014

      4 김다원, "지리교육의 기본개념 분석 연구: 국내외 지리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학회 6 (6): 319-337, 2017

      5 강창숙, "중국의 지리교육과정 변천과 지리과정표준의 구성체계" 한국지역지리학회 18 (18): 217-231, 2012

      6 김현미, "오스트레일리아의 핵심역량 기반 국가 수준 지리 교육과정 탐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2 (22): 33-43, 2014

      7 조철기,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 주 지리교육과정과 내러티브 지리교과서의 특징"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1 (21): 49-63, 2013

      8 조철기, "오스트레일리아 NSW 주 지리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개발교육 특징" 한국지역지리학회 19 (19): 551-565, 2013

      9 심승희, "영국의 2014 개정 지리교육과정의 특징과 그 시사점"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1 (21): 17-31, 2013

      10 조철기, "영국 국가교육과정의 개정과 새로운 지리 학습프로그램의 특징" 한국지역지리학회 18 (18): 232-251, 2012

      11 김현주, "역량 기반 대만 지리 교육과정의 특징"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1 (21): 45-59, 2013

      12 임은진, "싱가포르의 교육 정책과 지리 교육과정"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2 (22): 15-32, 2014

      13 김다원, "세계시민교육에서 지리교육의 역할과 기여 - 호주 초등 지리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4 (24): 13-28, 2016

      14 최정순, "사회과 교육과정 개선 방향 모색을 위한 독일 베를린과 브란덴브르크 주 교육과정 사례 탐색"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5 (25): 63-76, 2018

      15 주독일한국교육원, "베를린-브란덴부르크 새 교육과정"

      16 김민성,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교육과정- 핵심역량 관점에서의 해석과 지리교육적 함의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2 (22): 1-14, 2014

      17 주함부르크대한민국총영사관, "독일의 교육 제도"

      18 주독일한국교육원, "독일 교육 현황 및 개혁"

      19 이경한, "뉴질랜드 지리교육과정의 핵심역량과 주요 특성 분석"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1 (21): 33-43, 2013

      20 이간용,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지리 평가 특성 고찰 - NSC 지리 시험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7 (57): 153-170, 2018

      21 LISUM, "Teil C Sachunterricht jahrgangsstufen 1-4"

      22 LISUM, "Teil C Gesellschaftswissenschaften jahrgangsstufen 5/6"

      23 Gryl, I., "Spatial citizenship: the concept of competence" 282-293, 2013

      24 LISUM, "Rahmenlehrplan grundschule sachunterricht"

      25 LISUM, "Rahmenlehrplan grundschule geografie"

      26 LISUM, "Rahmenlehrplan 1-10 kompakt themen und inhalte des Berliner Unterrichts im Überblick"

      27 NCSS,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for social studies: chapter 2–the themes of social studies"

      28 김현미, "21세기 핵심역량과 지리 교육과정 탐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1 (21): 1-16,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6 0.86 0.9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1.01 1.112 0.6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