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관계에서의 친밀감 형성은 청소년시기에 겪는 중요한 과제들 가운데 하나이다. 청소년들은 친구들과의 적절하고도 친밀한 관계를 통해 정서적인 유대를 맺고 지지를 얻으며, 그것은 곧...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368030
서울 :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 2011
학위논문(석사) --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 상담심리학과 (집단상담) , 2011.2
2011
한국어
371.4 판사항(21)
서울
49 p. ; 30 cm
지도교수: 심수명
참고문헌:p.38-4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친구관계에서의 친밀감 형성은 청소년시기에 겪는 중요한 과제들 가운데 하나이다. 청소년들은 친구들과의 적절하고도 친밀한 관계를 통해 정서적인 유대를 맺고 지지를 얻으며, 그것은 곧...
친구관계에서의 친밀감 형성은 청소년시기에 겪는 중요한 과제들 가운데 하나이다. 청소년들은 친구들과의 적절하고도 친밀한 관계를 통해 정서적인 유대를 맺고 지지를 얻으며, 그것은 곧 정서적 안정에 큰 영향을 미친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부모애착과 자아정체감이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의 친구관계에서의 친밀감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과제는 첫째, 고등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부모의 애착, 자아정체감, 친밀감의 정도, 둘째, 고등학생의 부모애착과 자아정체감과 친밀감과의 관계, 셋째, 고등학생의 부모애착과 자아정체감이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등이다.
연구결과, 애착은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자아정체감과 친밀감은 성별에 따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다. 친밀애착과 의존애착은 친밀감과 정적상관관계를 보였고, 불안 애착은 부적상관관계를 보였다. 부모애착과 자아정체감이 고등학생의 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어린 시절 부모와의 애착이 잘 형성된 청소년들은 친밀한 친구관계를 형성하기가 쉽고, 반면 애착이 잘 형성되지 않은 청소년들은 친밀한 친구관계를 맺기 어렵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어린 시절 부모와의 안정애착은 이후 대인관계에서 친밀감형성에 많은 영향을 준다는 존 볼비(John Bolby)의 이론과 일치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 의하면, 부모의 애착과 자아정체감이 고등학생의 친구 관계에서의 친밀감에 영향을 주는 것은 사실이지만, 자아정체감의 영향은 크지 않았다. 이는 아마도 많은 고등학생들이 자아정체감 형성을 위한 위기를 겪고 있는 과정에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