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립준비청년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와 사회 망 지향의 조절된 매개효과 본 연구의 목적은 자립준비청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심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120960
포천 :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상담심리대학원, 2024
학위논문(석사) --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상담심리대학원 , 임상및상담심리 , 2024. 8
2024
한국어
경기도
117 ; 26 cm
지도교수: 김하나
I804:41065-20000080821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자립준비청년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와 사회 망 지향의 조절된 매개효과 본 연구의 목적은 자립준비청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심리...
자립준비청년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와 사회 망 지향의 조절된 매개효과
본 연구의 목적은 자립준비청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고, 나아가 이러한 매개 효과를 사회 망 지향이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살펴보는 데 있다. 원가정 내 아동 양육이 어려워져 시설 입소, 그룹홈 양육 또는 가정위탁 등의 국가 가정외보호 체계에서 성장한 아동은 만 18세 또는 최 장 만 24세가 되면 보호종료된다. 자립준비 청년이란 보호 종료 후 세상에 나와 홀로서기를 해야 하는 이 청년들을 지칭한다. 연구를 위해 2024년 2월 기준 보호종료된 만 18세 이상 만 25세 이 하의 남녀 자립준비청년 28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및 모바일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주요 변인 측정을 위해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 한국형 회복탄력성 척도, 사회 망 지향 척도 및 심리적 안녕감 척도 를 사용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립준비청년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심리적 안녕감에 부적 영향을 미치며 회복탄력성은 그 관계에 서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립준비청년의 일상적 스트레 스와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에서 사회 망 지향의 조절효과는 부분적으로 유 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일상적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간 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완전매개효과에 대한 사회 망 지향의 조건부 간 접 조절효과는 사회 망 지향 수준이 중간인 경우에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사회 망 지향이 낮거나 높은 수준에서는 유의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 의 시사점 및 자립준비청년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하기 위한 실천적 함 의를 논의하였다.
핵심되는 말 : 자립준비청년, 보호종료아동, 일상적 스트레스, 심리적 안녕 감, 회복탄력성, 사회 망 지향, 조절된 매개효과.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