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베이커리카페 SNS정보특성이 정보만족과 구전의도, 지속적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 정보의존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1677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xposure of modern individuals on social media (SNS) plays a significant role in forming online relationships and enhancing users' emotional engagement, information experience, and trustworthiness. The development of SNS has become an influential medium affecting users' lifestyle patterns and consumption behaviors, significantly impacting corporate management, promotion, and marketing strategies.
      In the context of consumer sentiment and marketing positioning, the phenomenon known as FOMO (Fear of Missing Out) has led recent consumers to enjoy open runs and SNS certification shots. There is an analysis suggesting that if one does not follow the latest hot spots and trends, they may feel left behind and isolated. This has led to the term "photo restaurants" being used more frequently than "food restaurants," indicating that SNS-centered certification shots have become a trend and a powerful marketing tool.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SNS information related to bakery cafes, information satisfaction, word-of-mouth intention,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It also analyzes whether the moderating effect of information dependence varies between high and low dependency group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SNS information related to bakery cafes and information satisfaction, as well as word-of-mouth intent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SNS information encountered by users are crucial factors in their judgment of bakery cafes. Understanding the strategic perspective of how information characteristics influence information satisfac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in the rapidly changing and trend-sensitive online social network (SNS) is considered important. Furthermore, clear and vivid specific messages that are agreed upon by many users regarding SNS information characteristics are perceived as key attributes when users experience bakery cafes. The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information dependence is significant for establishing sustainable management strategies for bakery cafes and for building information systems in both online and offline contexts.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550 respondents resid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ho have experienced accessing information about bakery cafes online, ultimately using 517 valid samples for empirical analysis. To test the hypotheses, statistical programs SPSS 26.0 and AMOS 26.0 were utilized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employed to verify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and multiple 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s of information dependence.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SNS information related to bakery cafes, agreement, playfulness, trustworthiness, and interactivity significantly influence information satisfaction, while vividness and timeliness do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Second,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SNS information related to bakery cafes, vividness, agreement, trustworthiness, and interactivity significantly influence word-of-mouth intention, while timeliness and playfulness do not. Third, information satisfaction was found to influence word-of-mouth inten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garding the current use of SNS, multiple responses showed that sharing information and knowledge was a primary purpose, with 400 respondents indicating this as a high figure. This suggests that experiences of sharing information and knowledge through SNS contribute to information satisfaction, which in turn affects word-of-mouth intention.
      Fourth, information satisfaction was found to influence the intention for continuous use. Customer satisfaction with value derived from using bakery cafés via SNS plays a crucial role in increasing the brand trust and satisfaction of the respective businesses. Furthermore, satisfaction with SNS information can serve as a marketing tool that promotes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and continuous use intentions. Fifth, word-of-mouth intention influences continuous usage intention. The factors of information satisfac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experienced can be confirmed as determinants of re-visitation or re-usage intention.
      Sixth, through multiple group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SNS information related to bakery cafes and information satisfaction was partially accepted, indicating that the high dependency group had higher information satisfaction than the low dependency group. This suggests that the way information about bakery cafes is collected and conveyed is important to us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SNS information related to bakery cafes and word-of-mouth intention, the low dependency group had higher word-of-mouth intention than the high dependency group,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wo-way communication that resonates and shares information.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dentified the impact of the characteristics of SNS information related to bakery cafes on information satisfaction, word-of-mouth intention,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By deriving and analyzing the factors of SNS information characteristics, this paper differentiates itself from existing studies on bakery specialty stores or bakery cafes, providing a theoretical basis for the SNS information characteristics perceived by potential dining consumers. Second, SNS information characteristics are generally becoming an important factor in the marketing and promotion of the food service industry and bakery cafes. This research, which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information characteristics, information satisfaction, word-of-mouth intention, continuous usage inten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information dependence, is significant as it provides a foundation for future studies related to SNS in bakery cafes, an area that has not been extensively covered in previous research.
      Thirdly, in order to enhance user satisfaction with the information of a bakery café utilizing social media, it is necessary to promote more specific, accurate, and useful information about the bakery café on social media. This suggests that strengthening the promo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media information and increasing customer satisfaction with bakery café information is essential. Fourthly,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information dependenc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media information, information satisfaction, word-of-mouth intention,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It can be said that this study has practical value in that it provides a basis for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and an increase in continuous visits through social media information about bakery cafés.
      Fifth, in this study, the most preferred SNS platform is Instagram. To achieve positive information satisfaction on this image-based SNS, the information provided on the platform needs to be concise and succinct,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content delivery and convenience. Additionally, the information provided should possess inherent expertise.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re is a necessity to accurately convey reliable core content and objective information about businesses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usage experiences of various users.
      Sixth, at a time when the number of customers using bakery cafes through SNS is increasing, this study analyzed the information exchange and satisfaction among users who share and empathize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SNS information. The perception of reliable and beneficial information on SN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accurate and trustworthy SNS information, which can serve as a marketing strategy for bakery cafes by enhancing the image of the establishment.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ing services (SNS) related to users' search for bakery café information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factors and the validation of the research model provide a significant foundation for future studie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SNS information.
      번역하기

      The exposure of modern individuals on social media (SNS) plays a significant role in forming online relationships and enhancing users' emotional engagement, information experience, and trustworthiness. The development of SNS has become an influential ...

      The exposure of modern individuals on social media (SNS) plays a significant role in forming online relationships and enhancing users' emotional engagement, information experience, and trustworthiness. The development of SNS has become an influential medium affecting users' lifestyle patterns and consumption behaviors, significantly impacting corporate management, promotion, and marketing strategies.
      In the context of consumer sentiment and marketing positioning, the phenomenon known as FOMO (Fear of Missing Out) has led recent consumers to enjoy open runs and SNS certification shots. There is an analysis suggesting that if one does not follow the latest hot spots and trends, they may feel left behind and isolated. This has led to the term "photo restaurants" being used more frequently than "food restaurants," indicating that SNS-centered certification shots have become a trend and a powerful marketing tool.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SNS information related to bakery cafes, information satisfaction, word-of-mouth intention,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It also analyzes whether the moderating effect of information dependence varies between high and low dependency group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SNS information related to bakery cafes and information satisfaction, as well as word-of-mouth intent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SNS information encountered by users are crucial factors in their judgment of bakery cafes. Understanding the strategic perspective of how information characteristics influence information satisfac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in the rapidly changing and trend-sensitive online social network (SNS) is considered important. Furthermore, clear and vivid specific messages that are agreed upon by many users regarding SNS information characteristics are perceived as key attributes when users experience bakery cafes. The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information dependence is significant for establishing sustainable management strategies for bakery cafes and for building information systems in both online and offline contexts.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550 respondents resid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ho have experienced accessing information about bakery cafes online, ultimately using 517 valid samples for empirical analysis. To test the hypotheses, statistical programs SPSS 26.0 and AMOS 26.0 were utilized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employed to verify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and multiple 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s of information dependence.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SNS information related to bakery cafes, agreement, playfulness, trustworthiness, and interactivity significantly influence information satisfaction, while vividness and timeliness do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Second,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SNS information related to bakery cafes, vividness, agreement, trustworthiness, and interactivity significantly influence word-of-mouth intention, while timeliness and playfulness do not. Third, information satisfaction was found to influence word-of-mouth inten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garding the current use of SNS, multiple responses showed that sharing information and knowledge was a primary purpose, with 400 respondents indicating this as a high figure. This suggests that experiences of sharing information and knowledge through SNS contribute to information satisfaction, which in turn affects word-of-mouth intention.
      Fourth, information satisfaction was found to influence the intention for continuous use. Customer satisfaction with value derived from using bakery cafés via SNS plays a crucial role in increasing the brand trust and satisfaction of the respective businesses. Furthermore, satisfaction with SNS information can serve as a marketing tool that promotes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and continuous use intentions. Fifth, word-of-mouth intention influences continuous usage intention. The factors of information satisfac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experienced can be confirmed as determinants of re-visitation or re-usage intention.
      Sixth, through multiple group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SNS information related to bakery cafes and information satisfaction was partially accepted, indicating that the high dependency group had higher information satisfaction than the low dependency group. This suggests that the way information about bakery cafes is collected and conveyed is important to us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SNS information related to bakery cafes and word-of-mouth intention, the low dependency group had higher word-of-mouth intention than the high dependency group,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wo-way communication that resonates and shares information.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dentified the impact of the characteristics of SNS information related to bakery cafes on information satisfaction, word-of-mouth intention,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By deriving and analyzing the factors of SNS information characteristics, this paper differentiates itself from existing studies on bakery specialty stores or bakery cafes, providing a theoretical basis for the SNS information characteristics perceived by potential dining consumers. Second, SNS information characteristics are generally becoming an important factor in the marketing and promotion of the food service industry and bakery cafes. This research, which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information characteristics, information satisfaction, word-of-mouth intention, continuous usage inten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information dependence, is significant as it provides a foundation for future studies related to SNS in bakery cafes, an area that has not been extensively covered in previous research.
      Thirdly, in order to enhance user satisfaction with the information of a bakery café utilizing social media, it is necessary to promote more specific, accurate, and useful information about the bakery café on social media. This suggests that strengthening the promo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media information and increasing customer satisfaction with bakery café information is essential. Fourthly,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information dependenc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media information, information satisfaction, word-of-mouth intention,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It can be said that this study has practical value in that it provides a basis for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and an increase in continuous visits through social media information about bakery cafés.
      Fifth, in this study, the most preferred SNS platform is Instagram. To achieve positive information satisfaction on this image-based SNS, the information provided on the platform needs to be concise and succinct,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content delivery and convenience. Additionally, the information provided should possess inherent expertise.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re is a necessity to accurately convey reliable core content and objective information about businesses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usage experiences of various users.
      Sixth, at a time when the number of customers using bakery cafes through SNS is increasing, this study analyzed the information exchange and satisfaction among users who share and empathize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SNS information. The perception of reliable and beneficial information on SN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accurate and trustworthy SNS information, which can serve as a marketing strategy for bakery cafes by enhancing the image of the establishment.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ing services (SNS) related to users' search for bakery café information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factors and the validation of the research model provide a significant foundation for future studie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SNS inform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인들의 SNS(Social Network Service) 노출은 온라인으로 관계를 형성하고 필요한 정보의 경험은 이용자의 감성 몰입과 정보성, 신뢰성이 상승하게 되는 요인이 되며, SNS의 발달은 사용자의 생활패턴과 소비행동에 영향력이 있는 도구로 홍보, 마케팅 전략에도 많은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aT한국농수산식품공사에서는 소비감성&마케팅 포지션으로 포모 신드롬(FOMO Syndrome)감정에 대해 분석 하였는데 최근 소비자들은 오픈런이나 SNS 인증샷을 즐겨하며, 요즘 핫하다는 곳과 핫한 트렌드를 따라 하지 않으면 뒤처지고 소외된다는 분석으로 음식 맛집이란 표현보다 사진 맛집이라고 할 정도로 SNS 중심의 인증샷이 트렌드가 되며 이용자들이 강력하게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베이커리카페 SNS정보특성이 정보만족과 구전의도, 지속적 이용의도의 영향관계를 규명 하였으며, 베이커리카페 SNS정보특성과 정보만족, 구전의도 사이의 정보의존성을 고집단, 저집단에 따라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SNS 정보를 접하는 이용자들이 베이커리카페를 판단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되며, 빠르게 변화하고 유행에 민감한 온라인 소셜네트워크(SNS)에서 정보특성이 정보만족과 구전의도의 전략적인 관점 파악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소비자에게 분명하고 생동감 있는 구체적인 메시지를 다수가 동의하는 SNS정보특성은 SNS상에서 이용자들이 베이커리 카페를 경험할 때 지각하는 주요 속성 요인으로 인식하며, 정보의존성의 조절효과 분석은 베이커리 카페의 지속 가능한 경영전략과 기초자료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정보를 구축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이용자들로 베이커리 카페에 대한 정보를 온라인상에서 접해 본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550부의 자료를 수집하여 517부의 유효 표본을 실증분석에 이용 하였다. 가설을 검정하기 SPSS 26.0과 AMOS 26.0의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SEM)과 정보의존성의 조절효과 분석을 위하여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가설을 검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커리카페 SNS정보특성 중 동의성, 유희성, 신뢰성, 상호작용성은 정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동성, 최신성은 정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베이커리카페 SNS정보특성 중 생동성, 동의성, 신뢰성 상호작용성은 구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신성, 유희성은 구전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보만족은 구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SNS이용현황 결과에서 SNS를 이용하는 목적에 대한 복수응답으로 정보와 지식공유가 400명으로 높은 수치를 확인한 결과로 SNS를 이용한 정보와 지식공유 경험은 정보만족으로 구전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넷째, 정보만족은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SNS를 활용하여 베이커리카페를 이용한 고객 가치 만족은 된 해당 업체의 브랜드 신뢰도와 만족도 상승의 중요한 요인이 되며, SNS정보 만족은 마케팅의 도구로 소비자의 구매행동과 지속이용의도를 촉진하게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다섯째, 구전의도는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타났다. 경험한 정보만족, 구전의도는 재방문이나 재이용의도의 결정요인으로 정보만족은 구전의도로 지속가능한 이용을 입증 할 수 있는 요인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여섯째, 다중집단 분석을 통한 베이커리카페 SNS 정보특성이 정보만족과, 구전의도와의 영향관계에서 부분채택 되는 분석으로 베이커리카페 SNS정보특성과 정보만족 관계에서 정보의존성 고집단이 저집단 보다 정보만족을 높이는 분석으로 SNS에서 제공되는 베이커리 카페에 대한 정보는 수집과 전달 방식의 흥미 요인인 유희성을 중요시 한다는 의견이다. 베이커리카페 SNS정보특성과 구전의도의 관계에서 정보의존성 저집단이 고집단 보다 구전의도를 높이는 분석으로 인식한 정보 공유는 정보에 대한 의존도가 낮더라도 전달 할 정보의 공감은 공유하려는 양방향 소통이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커리카페 SNS정보특성의 정보만족, 구전의도에 따른 지속적 이용의도 간의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였으며, SNS정보특성의 요인을 도출하여 분석한 본 논문은 기존 베이커리전문점이나 베이커리카페의 일반적인 연구와는 차별화가 있으며, 잠재적인 외식 소비자들이 인지하는 SNS정보특성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 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둘째, SNS정보특성은 전반적으로 외식업과 베이커리카페의 마케팅과 홍보 역할로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SNS정보특성과 정보만족, 구전의도와 지속적 이용의도, 정보의존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연구로 기존 선행연구에서 많이 다뤄지지 않았던 베이커리카페에 대한 SNS의 관련된 연구로써 베이커리카페에 대한 SNS에 대한 후 속 연구의 기반을 제공 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셋째, SNS를 활용하여 베이커리카페의 정보를 이용하려는 이용자의 정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해당 베이커리카페의 대한 SNS상 정보가 보다 구체적이며 정확하고 유익한 정보의 홍보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이를 통해 SNS 정보특성의 대한 홍보 강화와 베이커리카페 정보에 대한 고객 만족을 높이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것을 시사한다. 넷째, SNS정보특성과 정보만족, 구전의도와 지속적 이용의도에 따른 정보의존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의 영향 관계를 구조적 관계로 실증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베이커리카페 SNS 정보를 통하여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 제시와 지속적인 방문 증대의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 가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의 가장 선호하는 SNS 플랫폼(platform)은 인스타그램으로 이미지기반의 SNS로 긍정적인 정보만족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SNS에 제공되는 정보는 함축적이고 간결한 내용으로 내용전달의 중요성과 간편함이 필요하며 제공되는 정보도 전문성이 내제되어 있는 정보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다양한 이용자들에 대해 정보경험과 이용경험을 기반으로 보다 신뢰할 수 있는 핵심중심의 내용과 업체에 대한 객관적 정보를 정확히 전달해야 할 필요성을 확인 하였다. 여섯째, SNS를 활용하여 베이커리카페를 이용하는 고객이 증가하는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결과 SNS정보특성을 통해 공유하고 공감하는 이용자들 간의 정보 교류와 정보만족에 대하여 분석 하였다. SNS상에서 믿을만하고 유익한 정보의 지각은 정확하고 신뢰 할 수 있는 SNS 정보 중요성으로 해당 매장의 이미지 활성화가 되며, 베이커리카페의 마케팅 전략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들의 베이커리카페 정보를 검색하는 SNS특성 요인에 대하여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요인들에 대한 영향관계와 연구모형 검증이 추후에 연구되는 SNS정보특성과 관련된 수행 연구에 의미 있는 초석을 제공하였다는 점이 의미가 있다.
      번역하기

      현대인들의 SNS(Social Network Service) 노출은 온라인으로 관계를 형성하고 필요한 정보의 경험은 이용자의 감성 몰입과 정보성, 신뢰성이 상승하게 되는 요인이 되며, SNS의 발달은 사용자의 생활...

      현대인들의 SNS(Social Network Service) 노출은 온라인으로 관계를 형성하고 필요한 정보의 경험은 이용자의 감성 몰입과 정보성, 신뢰성이 상승하게 되는 요인이 되며, SNS의 발달은 사용자의 생활패턴과 소비행동에 영향력이 있는 도구로 홍보, 마케팅 전략에도 많은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aT한국농수산식품공사에서는 소비감성&마케팅 포지션으로 포모 신드롬(FOMO Syndrome)감정에 대해 분석 하였는데 최근 소비자들은 오픈런이나 SNS 인증샷을 즐겨하며, 요즘 핫하다는 곳과 핫한 트렌드를 따라 하지 않으면 뒤처지고 소외된다는 분석으로 음식 맛집이란 표현보다 사진 맛집이라고 할 정도로 SNS 중심의 인증샷이 트렌드가 되며 이용자들이 강력하게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베이커리카페 SNS정보특성이 정보만족과 구전의도, 지속적 이용의도의 영향관계를 규명 하였으며, 베이커리카페 SNS정보특성과 정보만족, 구전의도 사이의 정보의존성을 고집단, 저집단에 따라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SNS 정보를 접하는 이용자들이 베이커리카페를 판단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되며, 빠르게 변화하고 유행에 민감한 온라인 소셜네트워크(SNS)에서 정보특성이 정보만족과 구전의도의 전략적인 관점 파악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소비자에게 분명하고 생동감 있는 구체적인 메시지를 다수가 동의하는 SNS정보특성은 SNS상에서 이용자들이 베이커리 카페를 경험할 때 지각하는 주요 속성 요인으로 인식하며, 정보의존성의 조절효과 분석은 베이커리 카페의 지속 가능한 경영전략과 기초자료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정보를 구축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이용자들로 베이커리 카페에 대한 정보를 온라인상에서 접해 본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550부의 자료를 수집하여 517부의 유효 표본을 실증분석에 이용 하였다. 가설을 검정하기 SPSS 26.0과 AMOS 26.0의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SEM)과 정보의존성의 조절효과 분석을 위하여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가설을 검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커리카페 SNS정보특성 중 동의성, 유희성, 신뢰성, 상호작용성은 정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동성, 최신성은 정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베이커리카페 SNS정보특성 중 생동성, 동의성, 신뢰성 상호작용성은 구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신성, 유희성은 구전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보만족은 구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SNS이용현황 결과에서 SNS를 이용하는 목적에 대한 복수응답으로 정보와 지식공유가 400명으로 높은 수치를 확인한 결과로 SNS를 이용한 정보와 지식공유 경험은 정보만족으로 구전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넷째, 정보만족은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SNS를 활용하여 베이커리카페를 이용한 고객 가치 만족은 된 해당 업체의 브랜드 신뢰도와 만족도 상승의 중요한 요인이 되며, SNS정보 만족은 마케팅의 도구로 소비자의 구매행동과 지속이용의도를 촉진하게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다섯째, 구전의도는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타났다. 경험한 정보만족, 구전의도는 재방문이나 재이용의도의 결정요인으로 정보만족은 구전의도로 지속가능한 이용을 입증 할 수 있는 요인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여섯째, 다중집단 분석을 통한 베이커리카페 SNS 정보특성이 정보만족과, 구전의도와의 영향관계에서 부분채택 되는 분석으로 베이커리카페 SNS정보특성과 정보만족 관계에서 정보의존성 고집단이 저집단 보다 정보만족을 높이는 분석으로 SNS에서 제공되는 베이커리 카페에 대한 정보는 수집과 전달 방식의 흥미 요인인 유희성을 중요시 한다는 의견이다. 베이커리카페 SNS정보특성과 구전의도의 관계에서 정보의존성 저집단이 고집단 보다 구전의도를 높이는 분석으로 인식한 정보 공유는 정보에 대한 의존도가 낮더라도 전달 할 정보의 공감은 공유하려는 양방향 소통이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커리카페 SNS정보특성의 정보만족, 구전의도에 따른 지속적 이용의도 간의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였으며, SNS정보특성의 요인을 도출하여 분석한 본 논문은 기존 베이커리전문점이나 베이커리카페의 일반적인 연구와는 차별화가 있으며, 잠재적인 외식 소비자들이 인지하는 SNS정보특성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 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둘째, SNS정보특성은 전반적으로 외식업과 베이커리카페의 마케팅과 홍보 역할로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SNS정보특성과 정보만족, 구전의도와 지속적 이용의도, 정보의존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연구로 기존 선행연구에서 많이 다뤄지지 않았던 베이커리카페에 대한 SNS의 관련된 연구로써 베이커리카페에 대한 SNS에 대한 후 속 연구의 기반을 제공 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셋째, SNS를 활용하여 베이커리카페의 정보를 이용하려는 이용자의 정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해당 베이커리카페의 대한 SNS상 정보가 보다 구체적이며 정확하고 유익한 정보의 홍보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이를 통해 SNS 정보특성의 대한 홍보 강화와 베이커리카페 정보에 대한 고객 만족을 높이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것을 시사한다. 넷째, SNS정보특성과 정보만족, 구전의도와 지속적 이용의도에 따른 정보의존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의 영향 관계를 구조적 관계로 실증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베이커리카페 SNS 정보를 통하여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 제시와 지속적인 방문 증대의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 가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의 가장 선호하는 SNS 플랫폼(platform)은 인스타그램으로 이미지기반의 SNS로 긍정적인 정보만족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SNS에 제공되는 정보는 함축적이고 간결한 내용으로 내용전달의 중요성과 간편함이 필요하며 제공되는 정보도 전문성이 내제되어 있는 정보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다양한 이용자들에 대해 정보경험과 이용경험을 기반으로 보다 신뢰할 수 있는 핵심중심의 내용과 업체에 대한 객관적 정보를 정확히 전달해야 할 필요성을 확인 하였다. 여섯째, SNS를 활용하여 베이커리카페를 이용하는 고객이 증가하는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결과 SNS정보특성을 통해 공유하고 공감하는 이용자들 간의 정보 교류와 정보만족에 대하여 분석 하였다. SNS상에서 믿을만하고 유익한 정보의 지각은 정확하고 신뢰 할 수 있는 SNS 정보 중요성으로 해당 매장의 이미지 활성화가 되며, 베이커리카페의 마케팅 전략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들의 베이커리카페 정보를 검색하는 SNS특성 요인에 대하여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요인들에 대한 영향관계와 연구모형 검증이 추후에 연구되는 SNS정보특성과 관련된 수행 연구에 의미 있는 초석을 제공하였다는 점이 의미가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연구배경 및 문제제기 1
      • 제 2 절 연구의 목적 5
      • 제 3 절 연구의 방법 및 대상 6
      • 제 4 절 연구의 구성 7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연구배경 및 문제제기 1
      • 제 2 절 연구의 목적 5
      • 제 3 절 연구의 방법 및 대상 6
      • 제 4 절 연구의 구성 7
      • 제 2 장 이론적 배경 9
      • 제 1 절 베이커리카페에 이론적 고찰 9
      • 제 1 항 베이커리카페에 개념 9
      • 제 2 항 베이커리카페에 특성 11
      • 제 3 항 베이커리카페에 선행연구 12
      • 제 2 절 SNS정보특성의 이론적 고찰 15
      • 제 1 항 SNS 정보특성의 개념 및 중요성 15
      • 제 2 항 SNS정보특성의 유형 및 특성 17
      • 제 3 항 SNS 정보특성의 선행연구 23
      • 제 3 절 정보만족의 이론적 고찰 26
      • 제 1 항 정보만족의 개념 26
      • 제 2 항 정보만족의 특성 28
      • 제 3 항 정보만족의 선행연구 29
      • 제 4 절 구전의도의 이론적 고찰 32
      • 제 1 항 구전의도의 개념 32
      • 제 2 항 구전의도의 특성 34
      • 제 3 항 구전의도의 선행연구 35
      • 제 5 절 지속적 이용의도의 이론적 고찰 38
      • 제 1 항 지속적 이용의도의 개념 38
      • 제 2 항 지속적 이용의도의 특성 39
      • 제 3 항 지속적 이용의도의 선행연구 41
      • 제 6절 정보 의존성의 이론적 고찰 43
      • 제 1 항 정보 의존성의 개념 43
      • 제 2 항 정보 의존성의 특성 43
      • 제 3 항 정보 의존성의 선행연구 44
      • 제 3 장 연구의 설계 46
      • 제 1 절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46
      • 제 1 항 연구모형 46
      • 제 2 항 가설의 설정 47
      • 제 2 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도구 54
      • 제 1 항 변수의 조작적 정의 54
      • 제 2 항 설문지 구성 58
      • 제 3 절 연구 방법 60
      • 제 1 항 연구대상 자료수집 60
      • 제 2 항 자료 분석 방법 60
      • 제 4 장 실증분석 62
      • 제 1 절 조사 대상자 일반적인 특성 62
      • 제 1 항 인구 통계학적 특성 62
      • 제 2 항 SNS정보 이용형태 특성 64
      • 제 3 항 기술통계 분석 67
      • 제 2 절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신뢰도분석 68
      • 제 1 항 SNS정보특성의 탐색적 요인분석 68
      • 제 2 항 정보만족의 탐색적 요인분석 70
      • 제 3 항 구전의도의 탐색적 요인분석 71
      • 제 4 항 지속적 이용의도의 탐색적 요인분석 72
      • 제 5 항 정보의존성의 탐색적 요인분석 73
      • 제 6 항 측정변수 신뢰성 분석 74
      • 제 3 절 측정모형 확인적 요인분석 75
      • 제 1 항 측정항목 확인적 요인분석 76
      • 제 2 항 상관관계 및 판별 타당성 79
      • 제 4 절 구조모형 가설 검증 81
      • 제 1 항 구조모형 적합도 검증 81
      • 제 2 항 가설 검증 82
      • 제 5 장 결론 95
      • 제 1 절 연구 결과 95
      • 제 1 항 연구 요약 96
      • 제 2 절 연구 시사점 105
      • 제 1 항 학문적 시사점 105
      • 제 2 항 실무적 시사점 107
      • 제 3 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 109
      • 참고문헌 110
      • 부 록 125
      • Abstract 13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