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SCIE KCI등재

      변연융선평면을 계측기준으로 한 정상교합자의 구치부 치관경사도에 관한 연구 = Crown angulations of posterior teeth of normal occlusion measured from marginal ridge plan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9901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전의 preadjusted appliance 개발을 위한 치관경사도의 계측에 있어서는 교합평면을 계측기준으로 사용했는데, 교합평면은 Spee 만곡으로 인해 브라켓 부착점들을 연결하는 선(Andrews' plane)에 평...

      이전의 preadjusted appliance 개발을 위한 치관경사도의 계측에 있어서는 교합평면을 계측기준으로 사용했는데, 교합평면은 Spee 만곡으로 인해 브라켓 부착점들을 연결하는 선(Andrews' plane)에 평행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pee 만곡에 영향받지 않으며, Andrews' plane에 보다 평행한 계측기준으로 각각의 구치의 근, 원심측 변연융선을 잇는 가상선을 설정하고, 이를 변영융선평면으로 명명하였다. 교합평면과 변연융선평면으로부터 각각 정상교합자의 구치부 치관경사도를 계측하여 비교한 결과 교합평면을 기준으로 한 치관경사도가 특히 상, 하악 제 1소구치(P<0.05) 및 제 2대구치(P<0.01)에서 Spee 만곡의 영향을 받음을 발견하였다.
      구치부 치아들의 치관경사도는 Spee 만곡의 양에 따라 변해야만 인접치간 변연융선의 불일치가 생기지 않는다. 이전의 연구들에서는 다소의 Spee 만곡을 갖는 정상교합자 표본에서 교합평면을 기준으로 계측한 치관경사도를 Spee 만곡이 없는 교합평면이 치료 목표의 일부인 bracket system에 적용하는 오류가 있었다. 이러한 치관경사도와 Spee 만곡 사이의 부조화는 Spee 만곡이 straight wire에 의해 완전히 leveling되었을 때 변연융선 불일치를 초래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구치부 브라켓 slot이 변연융선평면에 평행하도록 브라켓 경사도를 결정하는 것이 추천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previous studies about prescription of preadjusted appliance, occlusal plane was used as a reference plane for crown angulation (tip) measurement. But this reference plane is not parallel to the line connecting the facial axis points at which t...

      In the previous studies about prescription of preadjusted appliance, occlusal plane was used as a reference plane for crown angulation (tip) measurement. But this reference plane is not parallel to the line connecting the facial axis points at which the centers of brackets are positioned (Andrews' plane), due to the curve of Spee. Therefore, we developed a new reference plane unaffected by the curve of Spee and more parallel to the Andrew's plane. It is an imaginary line connecting mesial and distal marginal ridges of each posterior tooth, and we named it 'marginal ridge plane'. In this study, crown angulations of posterior teeth or 29 normal occlusion samples were measured and measurements from both reference planes were compared. Crown angulation measurements measured from occlusal plane were different from crown angulation measurements from marginal ridge plane in the upper and lower 2nd molars (p<0.01), and 1st premolars (p<0.05). These results were analyzed as the crown angulation measurements from occusal plane were affected by the curve of Spee.
      Crown angulations should be vari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curve of Spee to maintain the continuity of marginal ridges. To solve this problem, determining bracket angulation as the bracket slot is parallel to the marginal ridge plane of each posterior teeth is recommende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