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자영업에 종사하는 이주민 청년들의 자영업 선택 과정과 어려움 및 대처 경 험을, 질적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에 참여한 사례자는 이주민 청년 자영업자 7명 을 대상으로 합...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321029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67-107(4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자영업에 종사하는 이주민 청년들의 자영업 선택 과정과 어려움 및 대처 경 험을, 질적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에 참여한 사례자는 이주민 청년 자영업자 7명 을 대상으로 합...
본 연구는 자영업에 종사하는 이주민 청년들의 자영업 선택 과정과 어려움 및 대처 경 험을, 질적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에 참여한 사례자는 이주민 청년 자영업자 7명 을 대상으로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CQR)을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자영 업 선택 영향 및 계기(영역 1)’, ‘자영업 운영 과정에서의 어려움(영역 2)’, ‘자영업을 하 면서 경험한 어려움에 대한 대처(영역 3)’, ‘자영업의 만족도와 기대(영역 4)’ 4개의 영 역과 31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이주민 청년 자영업자의 문화적·직업적 특 수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이주민 청년 자영업자의 노동시장 이행 및 안정적 정주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결과를 바탕으로 이주민 청년 자영업자의 한국 정주를 돕기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돌봄의 공간과 소속감 형성: 한부모 이주여성 역량강화 지원 프로그램 참여 경험을 중심으로
국내 이주민 밀집지역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이해관계자들의 문제의식과 실태, 대안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