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할린 한인의 영주귀국과 새로운 경계의 형성과정 = Transnational Return Migration and the Processes of New Boundary Formation among Older Sakhalin Korean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글은 2000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한 사할린 한인의 영주귀국에 관한 문화기술지이다. 사할린 한인들은 1990년대 동북아시아의 냉전구조의 변화에 따라 이른바 그들의 ‘고향’인 한국으로...

      본 글은 2000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한 사할린 한인의 영주귀국에 관한 문화기술지이다. 사할린 한인들은 1990년대 동북아시아의 냉전구조의 변화에 따라 이른바 그들의 ‘고향’인 한국으로 입국할 수 있게 되었다. 그로부터 10년 후 한일정부가 실시하는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영주귀국사업이 시작되었다. 이 영주귀국은 일반적으로 소위 ‘사할린 한인문제’의 ‘해결’로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사할린 한인들이 실제 이 ‘해결’을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지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 있지 않다. 본 글은 사할린과 한국에서 실시한 현장조사를 바탕으로 사할린 한인들의 영주귀국 경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영주귀국의 경험은 사할린 한인의 삶 전반에 영향을 미쳤다. 본 글은 그 경험 중에서도 그들 속에서 새롭게 형성된 경계에 주목하였다. 이 경계의 등장은 영주귀국의 자격을 생년월일을 기준으로 구분한 영주귀국정책에 기인한다. 제한된 영주귀국자격으로 인해 귀국자와 귀국하지 않는 자 혹은 귀국을 하지 못한 자의 경계가 생겨났다. 그러나 본 글은 새로운 경계는 사할린한인들의 초국가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일상의 행위―소문, 한국 방문, 귀국자와 남은 자의 상호작용―를 통해 만들어지는 점을 고찰했다. 또한 사할린 한인들의 일상은 포스트사회주의 이행에 따른 사회경제적 변화라는 맥락과 연관이 있다. 이러한 지역적, 초국가적 공간과 특정 시간 속에서 사할린에 거주하는 한인들은 다양한 물질적 지원과 서비스를 제공받는 영주귀국자들의 생활을 매력적인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그 결과 영주귀국을 하지 않거나 할 자격이 없는 ‘남은 자’들은 영주귀국을 불공평한 지원사업으로 여겨 새로운 경계에 직면한다.
      본 글은 사할린 한인들의 영주귀국은 일종의 ‘종결’이나 ‘해결’로 보는 국가의 관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사할린 한인들에게 ‘해결’은 새로운 형태의 불평등의 시작으로 다가왔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offers an ethnography about the return migration among older Sakhalin Koreans. Since the 1990s, ethnic Koreans on Sakhalin Island in Russia have migrated to their ethnic homeland, now South Korea in times of post-Cold War and post-colonial ...

      This paper offers an ethnography about the return migration among older Sakhalin Koreans. Since the 1990s, ethnic Koreans on Sakhalin Island in Russia have migrated to their ethnic homeland, now South Korea in times of post-Cold War and post-colonial transformations. This paper explores why and how a new type of boundary has been produced among them in the transnational space.
      The new return migration policy limits the eligibility of return migration based on the birth year and date, as producing a new category of “the first generation of Sakhalin Koreans.” As a result, older Sakhalin Koreas are divided into returnees and stayees. However, I highlight that this new boundary has been also constructed through their everyday transnational practices including production and circulation of humors and interactions between returnees and stayees. Within the post-Soviet context in Russia where public services have been disappeared, various material and social support that the Japanese and South Korean governments provide for returnees have brought about a new sense of unfairness among stayees. Although the return migration program generally symbolizes “a solution” for and “the end” of so-called “the historical problem of Sakhalin Koreans,” this paper suggests that Sakhalin Koreans, especially stayees grapple with the new inequal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봉수, "포토텔링 기법을 활용한 영주귀국 사할린 한인 K씨의 생애사적 내러티브 탐색" 한국민족문화연구소 (66) : 335-362, 2018

      2 이연식, "책임과 변명의 인질극" 채륜 2018

      3 황현옥, "집단미술치료가 사할린 귀환 동포의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효과" 8 (8): 2008

      4 임성숙, "제국과 국민국가: 사람⋅이동⋅기억" 학고방 2021

      5 장석흥, "자료소개 - 사할린 지역 한인 귀환(Repatriation of Koreans from Sakhalin)" 한국근현대사학회 (43) : 210-275, 2007

      6 방일권, "이루어지지 못한 귀환: 소련의 귀환 정책과 사할린한인" 동북아역사재단 (46) : 277-314, 2014

      7 보건복지부, "영주귀국 사할린한인 지원 사업 안내"

      8 배수한, "영주귀국 사할린동포의 거주실태와 개선방향 : 부산 정관 신도시 이주자 대상으로"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13 (13): 279-308, 2010

      9 김경운, "영주귀국 사할린동포 노인의 우울과 삶의 질 관계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6 (16): 151-170, 2015

      10 김영순, "영주귀국 사할린 한인의한국어 교사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2 (12): 55-81, 2016

      1 박봉수, "포토텔링 기법을 활용한 영주귀국 사할린 한인 K씨의 생애사적 내러티브 탐색" 한국민족문화연구소 (66) : 335-362, 2018

      2 이연식, "책임과 변명의 인질극" 채륜 2018

      3 황현옥, "집단미술치료가 사할린 귀환 동포의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효과" 8 (8): 2008

      4 임성숙, "제국과 국민국가: 사람⋅이동⋅기억" 학고방 2021

      5 장석흥, "자료소개 - 사할린 지역 한인 귀환(Repatriation of Koreans from Sakhalin)" 한국근현대사학회 (43) : 210-275, 2007

      6 방일권, "이루어지지 못한 귀환: 소련의 귀환 정책과 사할린한인" 동북아역사재단 (46) : 277-314, 2014

      7 보건복지부, "영주귀국 사할린한인 지원 사업 안내"

      8 배수한, "영주귀국 사할린동포의 거주실태와 개선방향 : 부산 정관 신도시 이주자 대상으로"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13 (13): 279-308, 2010

      9 김경운, "영주귀국 사할린동포 노인의 우울과 삶의 질 관계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6 (16): 151-170, 2015

      10 김영순, "영주귀국 사할린 한인의한국어 교사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2 (12): 55-81, 2016

      11 임채완, "영주귀국 사할린 한인의 생활환경과 정책적 욕구" 한국세계지역학회 33 (33): 145-175, 2015

      12 김경숙, "사할린귀환 시설노인의 자아통합감을 위한 집단원예치료 효과"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0 (40): 394-422, 2012

      13 진 율리아, "사할린 한인 디아스포라: 본국 귀환문제 그리고 소비에트와 러시아 사회로의 통합" 선인 2020

      14 박경용, "사할린 한인 김옥자의 삶과 디아스포라 생활사- ‘기억의 환기’를 통한 구술생애사 방법을 중심으로 -"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7 (7): 163-196, 2013

      15 한혜인, "사할린 한인 귀환을 둘러싼 배제와 포섭의 정치 - 해방 후∼1970년대 중반까지의 사할린 한인 귀환 움직임을 중심으로" 한국사학회 (102) : 157-198, 2011

      16 이영수, "사할린 영주귀국 노인의 건강상태와 자아통합감" 한국보건간호학회 30 (30): 5-16, 2016

      17 문현아, "사할린 디아스포라 한인의 초국적 경험과 의미 분석" 한국구술사학회 7 (7): 137-186, 2016

      18 이순형, "사할린 귀환자"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4

      19 안미정, "부산 사할린 영주귀국자의 이주와 가족" 부경역사연구소 (34) : 317-359, 2014

      20 손영화, "법률용어에 대한 영주귀국 사할린 한인들의 인식과어려움 해결방안" 교육연구소 22 (22): 405-426, 2016

      21 홍웅호, "구술을 통해 본 사할린 한인의 역사와 삶" 전북사학회 (53) : 303-328, 2018

      22 中山大将, "北東アジアのコリアンディアスポラーサハリン⋅樺太を中心に" 小樽大学出版会 2012

      23 玄武岩, "北東アジアのコリアンディアスポラーサハリン⋅樺太を中心に" 小樽大学出版会 2012

      24 サハリン残留韓国⋅朝鮮人問題議員懇談会, "サハリン残留韓国⋅朝鮮人問題と日本の政治" サハリン残留韓国⋅朝鮮人問題議員懇談会 1994

      25 Verdery, K, "What was Socialism and What Comes Next?"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6

      26 Humphrey, C., "Unmaking Soviet Life: Everyday Economies after Socialism" Cornell University Press 2002

      27 Ries, N., "Russian Talk: Culture and Conversation during Perestroika" Cornell University Press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1 0.51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47 1.021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