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선왕릉 석물과 비석의 제작기법 연구 = A Study on the Fabrication Techniques of Stone Sculptures and Tombstone in Joseon Royal Tomb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7347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oyal tomb is a historical site concentrated national capacity from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to Joseon Dynasty and a monumental place stacking cultural and artistic value of those days. Binjeon and Gukjang-dogam are the place executed the fune...

      Royal tomb is a historical site concentrated national capacity from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to Joseon Dynasty and a monumental place stacking cultural and artistic value of those days. Binjeon and Gukjang-dogam are the place executed the funeral and memorial services of the king and Sanreung-dogam can be called as a crystal of sculptures and crafts stylized posthumous notions through royal tombs. In XianQin period, it was developed from burial pit to funeral arts and left every kinds of bronze utensils and jade products and in Han-Tang period, it formed a stereotype of sculpture style from underground tomb to ground mausoleum. So, it is required to investigate historical character and production process of stone sculptures in royal tomb in fusion and convergence as well as the type and style of past remains.
      This study is paying attention to the introduction and production method change according to the social recognition and ideal flow as well as systemic procedure based on existing style history of stone sculptures. The influence of China in the history of royal tomb in Korea was changed from imitation to hierarchy and creativity. In Unified Silla period, the royal tomb was expressed as the religious symbol accepting the culture of Tang and in early time of Joseon Dynasty, the system of a royal tomb was settled importing the system of Song and Ming. Also, compatible periodic layer aiming of native sino-centrism or defection from Cheng-zhu school can be classified in the tombstone in late time of Joseon Dynasty.
      In this process,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of sculptures is shown as largely two subjects and first one is the process of production in royal tomb and another one is change in sculpted words of tombstone. Four steps such as historic nature of sculpture and tomb, material and production method of sculpture, fusion of technology and idea and aesthetic consciousness of sculpture was used as the developing method of this thesis to consider on these two subjects. The purpose and study result can be summarized as below four kinds.
      Firstly, historic nature of sculpture was considered. The sculptures in Joseon royal tombs succeeded the type of Silla tombs in terms of diachronic view, however, also influenced by China at the same period. Especially, the installation of stone pagoda of Silla and stone lion of Seongdeok tombs is considered as realizing religion ideal on a royal tomb as well as the similarity in shape and function with imperial tombs of Tang Dynasty. It is worthy to notice that the gate keeping lion of Silla is replaced to the stone tiger in Goryeo Dynasty and Joseon Dynasty but the role and function to keep the gate had been continued.
      Secondly, the grinding type of sang-seok and stone monument in sculpture production method was analyzed. Honyu-seok in royal tomb is an only sculpture grinding before appearing of the tombstone and has similarity in production method. The grinding of honyu-seok was classified as three type as seok-sang, sang-seok and honyu-seok in name change and studied the relationship with grinding method. In functional point of view, the grinding of stone is a technical development to protect weathering phenomena and exfoliation and breakout and there was change in the word on honyu-seok in ideological point of view connected with social recognition and ancestral ritual change. The tombstone was converted from im-seok which writing the words at the front directly to the buk-chil technic which attaching the paper at back in the basis of grinding. The origin of this buk-chil is comes in the case of the color of stone material and cannot write on it directly. Buk-chil technic is a application from the painting and crafts and it has advantage that can express same effect with im-seok according to the dark and light of the word when attach it on grinded tombstone after moving the outline on thin paper and waxing and applying red lacquer.
      Thirdly, the fusion of technology and idea shows the influence to production and pattern of sculpture by ideological change. There was change on sculpture based on the influence of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grind the hyangro-seok and honyu-seok identifying the ancestral tablet with honyu-seok. Cloud form, three-legged crow and circle had been disappeared due to the use of gacheom-seok (tombstone roof) and the era name of yumyeong-joseonguk and sungjeong-giwonhu were put in as the mark to express the bright appearance and fidelity of the family after both wars. However, the neo-confucianism tendency intellectuals having critical consciousness suing era name used Korean era. Besides, the treatment for the master craftsman and worker producing sculpture at the dogam which is a temporary institution was reorganized centering original technology and increased the effectiveness.
      Fourthly, there was a change in sanreung building due to frequent big and small mourning and epidemic. Especially, the simplification of ceremony and sculpture of Sungreung reflects the trend of sanreung building at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The folding screen of peony was expressed on the folding screen stone at Yeongjo and Jeongjo period and the elaboration of sculpture and standardization of tombstone expressed new aesthetic consciousness on royal tomb. This change could not continued due to reuse of sculpture and lack of finances.
      To sum up, the symbolism of royal tomb sculpture was changed based on the social recognition and ideology. Constant discussion according to periodic values have been continued and reflected on the pattern and production method through the comparison of ceremony part in the law books and reality. In this sense, the study on historic character and production technology of sculpture will contribute to investigate essential meaning and ideal world of royal tomb.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왕릉은 삼국시대부터 조선에 이르기까지 국가적 역량이 집중된 역사적 현장이며 당대의 문화예술적인 가치를 집적한 기념적인 장소다. 빈전·국장도감은 국왕의 상장례가 시행된 장소며 산...

      왕릉은 삼국시대부터 조선에 이르기까지 국가적 역량이 집중된 역사적 현장이며 당대의 문화예술적인 가치를 집적한 기념적인 장소다. 빈전·국장도감은 국왕의 상장례가 시행된 장소며 산릉도감은 왕릉석물을 통해 사후 관념을 양식화한 조각과 공예의 결정체다. 선진시대에는 지하묘광에서 장의미술(葬儀美術)로 발전해 각종 청동제기와 옥 제품을 남겼으며, 한·당시대에는 지하분묘에서 지상의 능묘로 나와 조각 양식의 한 전형을 이루고 있다. 이에 과거 유물의 형태와 양식뿐만 아니라 능침석물의 역사적 성격과 제작과정을 융·복합적으로 규명할 필요가 요구되는 것이다.
      본고는 석물의 기존 양식사를 토대로 제도적 절차뿐만 아니라 사회적 인식과 사상의 흐름에 따른 석물의 도입과 제작방식 변화에 주목하고 있다. 우리나라 왕릉의 역사에서 중국의 영향은 모방(模倣)에서 위계(位階)로 이어지고 독자적인 형식으로 정립되었다. 통일신라 때는 당의 문화를 수용해 종교적 상징으로 왕릉을 표현했고, 조선 전기에는 송·명의 제도를 수입해 산릉제도를 정착시켰다. 또한 조선 후기의 비석에서 소중화 혹은 탈주자학의 지향이란 양립된 시대적 층위를 구분할 수 있다.
      이런 과정에서 조각의 도상, 제작기술의 발전은 크게 두 가지 주제로 나타나는데 하나는 능침석물의 제작 양상이며, 다른 하나는 비석의 각자(刻字) 기법의 변화다. 이 두 주제를 고찰하기 위해 석물과 비석의 역사성, 석물의 재료와 제작기법, 기술과 관념의 융합, 석물의 미의식이란 4단계를 논문의 전개방식으로 활용했다. 이에 따라 본고의 목표와 연구결과는 모두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석물 조성의 역사성을 고찰했다. 조선왕릉의 석물은 통시적(通時的) 관점에서는 신라왕릉의 형식을 계승했으나 동 시대 중국의 영향을 수용한 것이다. 특히 신라의 석탑과 성덕왕릉 석사자의 설치는 당나라 제릉(帝陵)과의 조형과 기능상의 유사점 외에 종교적 이상을 능침에 실현한 것으로 보고 있다. 신라의 수문사자(守門獅子)는 고려와 조선에서 석호로 대체된 후에도 수문의 역할과 기능이 이어진 사실은 주목할 만하다.
      둘째, 석물의 제작기법에 있어 혼유석(魂遊石)과 석비(石碑)의 탁마(琢磨) 유형을 분석했다. 왕릉 혼유석은 표석(表石)이 출현하기 이전에 마정(磨正)을 한 유일한 석물로 제작방식의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 석상의 탁마는 세 가지 형식으로 구분해 석상, 상석, 혼유석의 명칭과 의식의 변화를 연구했다. 기능적인 관점에서 마정은 풍화현상과 박리·박락을 막기 위한 기술적 진전이며, 사상적 관점에서의 혼유석은 사회 인식과 제례 변화와 연계되어 용어의 변화가 있음을 밝혔다. 비석은 마정을 바탕으로 하여, 글을 직접 쓰는 임석(臨石)에서 북칠(北漆)기법으로 전환했다. 이 북칠의 유래는 석재의 색과 글을 직접 쓸 수 없는 경우에서 기인한 방식이다. 북칠기법은 회화와 공예에서 응용된 것으로 얇은 죽청지에 윤곽을 옮겨 뒷면에 백랍과 주칠을 한 후 마정한 비석에 붙이면 글씨의 윤곽과 농담(濃淡)에 따라 임석과 동일한 효과를 표현하는 장점을 가졌다.
      셋째, 기술과 관념의 융합은 사상적 변화가 석물의 제작과 문양에 미친 영향을 말한다. 예학의 영향은 석물에 변화를 가져와 위패를 혼유석과 동일시 여겨 향로석과 혼유석을 마정한다. 가첨석(加檐石)의 사용으로 운문(雲紋), 삼족오(三足烏)와 원륜(圓輪)은 사라지고, 양란 이후 가문의 현창과 충절을 나타내는 표식으로 ‘유명조선국(有明朝鮮國)’과 ‘숭정기원후(崇禎紀元後)’의 연호가 들어가게 된다. 반면 연호사용에 비판적인 의식을 가진 탈주자학적 경향의 지식인은 ‘今上之○年’과 같은 본국기년(本國紀年)을 사용하기도 했다. 이외 도감에서 석물을 만드는 장인과 역군들의 처우는 원천기술을 중심으로 재편되어 효율성을 높이게 되었다.
      넷째, 조선 후기는 잦은 대소상(大小喪)과 역병(疫病)으로 인해 산릉 조성에 변화가 일어난다. 특히 숭릉의 전례(前例)와 후릉을 모본으로 한 석물간소화는 조선 후기 산릉조성의 경향을 잘 반영하고 있다. 영·정조 때는 병풍석에 모란병(牧丹屛)을 표현했으며 석물의 정교함, 비석의 표준화는 새로운 미의식을 왕릉에 표현했다. 이 같은 변화는 석물의 재활용과 재정의 부족으로 이어지지 못했다.
      요컨대 왕릉석물의 상징성은 사회적 인식과 사상성에 기반하여 변화되었다. 시대적 가치관에 따른 끊임없는 논의가 이어졌고, 전례(典例)와 현실과의 대비를 통해 조각의 문양과 제작기법에 투영되었다. 이런 의미에서 석물 조각의 역사적 성격과 제작기술의 연구는 왕릉의 본질적인 의미와 이상적 세계를 규명하는데 일조할 것으로 본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배경 및 목적 1
      • 2. 연구사 개관 3
      • 3. 연구범위 및 방법 6
      • 1) 연구범위 8
      • Ⅰ. 서론 1
      • 1. 연구배경 및 목적 1
      • 2. 연구사 개관 3
      • 3. 연구범위 및 방법 6
      • 1) 연구범위 8
      • 2) 연구방법 10
      • Ⅱ. 한·중 석물과 석비의 기원 및 전개 12
      • 1. 중국 능묘(陵墓)의 석물 12
      • 1) 한대(漢代) 능묘 석물의 출현과 전개 12
      • 2) 당대(唐代) 능묘 석물 제도의 정립 15
      • 3) 송대(宋代) 능묘 석물과 장식성 18
      • 4) 명대(明代) 능묘 석물의 변화 22
      • 5) 중국 석물의 제작방식과 도구 26
      • 2. 중국 석비(石碑)의 출현과 문양 28
      • 1) 석비의 기원 29
      • 2) 제액부의 전서(篆書)와 상징성 33
      • 3) 비수(碑首)의 문양 35
      • 4) 중국 비석의 제작과 각자방식의 변화 40
      • 3. 신라·고려 왕릉 제도의 변화와 전개 42
      • 1) 신라왕릉의 변화양상 42
      • 2) 신라하대·고려 탑비(塔碑)의 출현과 형태 53
      • 3) 고려의 능침조성 방식과 특징 57
      • Ⅲ. 조선왕릉 석물과 비석의 제작기법 61
      • 1. 조선왕릉의 석물제도와 장인 61
      • 1) 조선왕릉의 석물제도 62
      • 2) 석장(石匠)의 신분과 협업체계 64
      • 2. 왕릉석물의 탁마(琢磨)방식 변화 68
      • 1) 비석의 재료변화와 정간 68
      • 2) 석재의 부출(浮出)과 마정의 필요성 76
      • 3) 조선후기 석물의 탁마방식과 형식 구분 84
      • 3. 조선 후기 북칠기법(北漆技法)과 입각(入刻) 91
      • 1) 중국의 쌍구법(雙鉤法)과 조선의 북칠(北漆) 91
      • 2) 북칠의 제작방식과 대두법(擡頭法) 94
      • 4. 신도비의 중건과정과 석재의 변화 99
      • 1) 신도비의 중단과 석재의 변화 99
      • 2) 신도비의 중건 102
      • 3) 왕릉표석과 석물의 설치 106
      • Ⅳ. 석재 기술자집단의 변화와 사회적 변동 117
      • 1. 조선 전기 사회적 변화와 신도비 제작 117
      • 1) 주자가례의 수용과 신도비의 입비(立碑) 양상 117
      • 2) 비지(碑誌)에 나타난 ‘有明朝鮮國’의 등장 119
      • 2. 조선 후기 제례인식의 변화와 ‘有明朝鮮國’의 명분론 124
      • 1) 신도비와 혼유석의 보편화 과정 124
      • 2) ‘崇禎紀元後’ 각자(刻字)의 유행과 쇠퇴 128
      • 3. 좌·우 부석소의 통합과 장인의 분화 132
      • 1) 대동법의 영향과 임금노동자 132
      • 2) 사저취용(私儲取用)의 확산 136
      • 3) 장색(匠色)의 분화와 연장의 종류 138
      • 4. 석재의 산지(産地)와 특성 145
      • 1) 강화석 147
      • 2) 북한산 조계동과 중흥동 150
      • 3) 충주석 153
      • 4) 해주 강음(江陰) 금천석(金川石) 154
      • 5) 남포 오석(烏石) 155
      • Ⅴ. 석물 조각의 미의식과 사회적 기반 158
      • 1. 비석의 공예적 성취 158
      • 1) 용생구자설(龍生九子說)과 삼족오(三足烏) 문양 158
      • 2) 조선 신도비에 나타난 문양 변화 164
      • 3) 조선시대 하엽귀부(荷葉龜趺)의 출현과 문양의 변화 170
      • 2. 조선 후기 병풍석(屛風石)의 회화적 요소 176
      • 1) 인조장릉 병풍석 조성과 협업 176
      • 2) 능묘 조성의 회화적 성격과 사실성 182
      • 3) 별간역(別看役)의 역할 변화와 왕릉 석물의 복고적 성격 189
      • 3. 비각의 변화와 사회적 인식 확산 191
      • 1) 비지(碑誌)의 유행과 양상 191
      • 2) 석각과 종중묘역에 대한 박물관학적 시선 195
      • Ⅵ. 결론 203
      • [참고문헌] 209
      • [Abstract] 221
      • [부록] 225
      • 1) 석상(혼유석) 마정 일람표 225
      • 2) 조선왕릉 신도비·표석 일람표 227
      • 3) 용어해설 23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