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취약계층 노인의 부양실태 비교분석 = Living Status of Disprivileged Elderly Person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305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人口老齡化 과정의 성숙과 더불어 노인인구집단도 多樣化·階層化되면서, 後期老人,女性老人,農村老人이 脆弱階層 老人으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제적, 신체적 그리고 정서�...

      人口老齡化 과정의 성숙과 더불어 노인인구집단도 多樣化·階層化되면서, 後期老人,女性老人,農村老人이 脆弱階層 老人으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제적, 신체적 그리고 정서적 부양의 세 가지 측면에서 脆弱階層 노인과 非脆弱階層 노인의 실태를 對數線形模型을 이용하여 비교하여 보았다. 분석결과는, 첫째로 經濟的 扶養의 측면에서 前期老人에 비하여 後期老人은 자녀에게 경제적으로 의존하는 비율은 높지만, 경제적으로 어렵다고 느끼는 비율은 낮게 나타났다. 女子老人(男子老人에 비하여)은 경제적으로 자녀에 의존하는 경향이 높으면서도 경제적으로 어렵다고 느끼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群部老人(市部老人에 비하여)은 자녀에 대한 경제적 의존이 약한 편이지만 경제적으로 더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身體的 扶養者가 있는 비율은 後期老人이 前期老人에 비하여 滿足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女子老人은 男子老人에 비하여 제공되고 있는 부양에 대하여 만족하는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로는 情緖的 扶養者가 있는 비율은 前期老人(後期老人에 비하여), 男子老人(女子老人에 비하여), 市部老人 (群部老人에 비하여)에서 높게 나타났다. 제공되고 있는 정서적 부양에 대하야 만족하는 비율은 女子老人이 男子老人보다 낮은데, 이러한 男 ·女 老人간의 차이는 後期老人인 경우에 더욱 두드러졌다. 따라서 보다 적절하고 효과있는 老人福祉政策을 위해 우선적인 도움을 필요로 하는 階層을 選別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sing the 1994 Survey on the Living Status of Korean Elderly,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for those aged 60 and over sampled from the whole country, the paper explores the living status of disprivileged groups among ...

      Using the 1994 Survey on the Living Status of Korean Elderly,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for those aged 60 and over sampled from the whole country, the paper explores the living status of disprivileged groups among the aged. Three aspects of living status, economic condition, health status and emotional status, are compared by age, sex and residence. A series of loglinear models is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 shows that; (1) the likelihood to be economically dependent on their children is higher for older aged (aged 70 and over) and females but lower for rural residents; (2) the likelihood that the elderly do not feel economic difficulty is higher for older aged, but lower for females and rural residents; (3) the likelihood to have health supporter is higher for the older aged; (4) the older aged are more likely to be satisfied with the health support, but females are less likely to be satisfied; (5) the likelihood to have emotional supporter is lower for older aged, females and rural residents; and (6) females are less likely to be satisfied with the emotional support and the extent of this likelihood depends on the ages of females. It is suggested to select the target population for more effective welfare policies for the elderly person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