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申箕善의 『啓蒙千字文』 연구 = A study on the Shenjishan(申箕善)’s 『Qimengtianziwen(啓蒙千字文)』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henjishan(申箕善) wrote 『Qimengtianziwen(啓蒙千字文)』 from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twentieth century. Compared with the 『Qimengtianziwen(啓蒙千字文)』 of Shenjishan(申箕善) and 『Tianziwen(千字文)』 of zhouxingsi(周興嗣), there are similarities in form, but the content and background are different.
      In the text of 『Qimengtianziwen(啓蒙千字文)』, hanzi(漢字) also has a unique history background. Some vocabulary comes from Buddhism and some vocabulary comes from history.
      The era in which shenjishan(申箕善) was living was in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And the period of zhouxingsi(周興嗣) was from the end of the 5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6th century. In the era of the Shenjishan(申箕善), there were the Opium Wars in 1860, the War of the Taiping Heaven, the Sino-Japanese War in 1884, the Jung War in 1884-1885, the Constitutional Court in 1898, the martial law in 1898, and the civilization of 1898∼1900. Western powers and Japanese imperialism also came to the Korean peninsula.
      There is a lot of new content in the Shenjishan(申箕善), as compared to zhouxingsi(周興嗣)'s 『Tianziwen(千字文)』.
      『Qimengtianziwen(啓蒙千字文)』 seems to have included the atmosphere of a new era, reflecting the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and also the interest in Manchuria, so as to include the changed world.
      Senjishan(申箕善) also mentioned the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But he did not mention mahan(馬韓) while referring to tanjun(檀君), jizi(箕子), manhan(滿韓), bianhan(弁韓), chenhan(辰韓). And he also mentioned lelang(樂浪), lintun(臨屯), zhenfan(眞番), xuantu(玄菟).
      Although Senjishan(申箕善) described Chinese history as based on zunwangyangyi(尊王攘夷). He also mentioned the Manchu faction of wanyan(完顔) and the Mongol tribe qiwo(奇渥). Among the Manchu peoples, wanyan(完顔) is one of the oldest people in the village of 松花江 and baitoushan(白頭山). Senjishan(申箕善) refers to the manhan(滿韓) with the Liaodong(遼東) plains, and the mention of the wanyan(完顔), who received the greatest respect of the Qing Dynasty.
      The author's thoughts on the earth and the universe are much larger than those of zhouxingsi(周興嗣). Senjishan(申箕善) explains that the universe is big and large, and the earth was round and rotating.
      It can be said that the sense of the commandment to look at the future and break the discrimination has not worked much in 『Qimengtianziwen(啓蒙千字文)』. In order to educate a child, this book introduce the vocabulary related to introduction of hanzi(漢字). It seems that it was forced to include many hanzi(漢字) which are distance from real life.
      번역하기

      Shenjishan(申箕善) wrote 『Qimengtianziwen(啓蒙千字文)』 from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twentieth century. Compared with the 『Qimengtianziwen(啓蒙千字文)』 of Shenjishan(申箕善) and 『Tianziwen(千...

      Shenjishan(申箕善) wrote 『Qimengtianziwen(啓蒙千字文)』 from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twentieth century. Compared with the 『Qimengtianziwen(啓蒙千字文)』 of Shenjishan(申箕善) and 『Tianziwen(千字文)』 of zhouxingsi(周興嗣), there are similarities in form, but the content and background are different.
      In the text of 『Qimengtianziwen(啓蒙千字文)』, hanzi(漢字) also has a unique history background. Some vocabulary comes from Buddhism and some vocabulary comes from history.
      The era in which shenjishan(申箕善) was living was in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And the period of zhouxingsi(周興嗣) was from the end of the 5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6th century. In the era of the Shenjishan(申箕善), there were the Opium Wars in 1860, the War of the Taiping Heaven, the Sino-Japanese War in 1884, the Jung War in 1884-1885, the Constitutional Court in 1898, the martial law in 1898, and the civilization of 1898∼1900. Western powers and Japanese imperialism also came to the Korean peninsula.
      There is a lot of new content in the Shenjishan(申箕善), as compared to zhouxingsi(周興嗣)'s 『Tianziwen(千字文)』.
      『Qimengtianziwen(啓蒙千字文)』 seems to have included the atmosphere of a new era, reflecting the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and also the interest in Manchuria, so as to include the changed world.
      Senjishan(申箕善) also mentioned the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But he did not mention mahan(馬韓) while referring to tanjun(檀君), jizi(箕子), manhan(滿韓), bianhan(弁韓), chenhan(辰韓). And he also mentioned lelang(樂浪), lintun(臨屯), zhenfan(眞番), xuantu(玄菟).
      Although Senjishan(申箕善) described Chinese history as based on zunwangyangyi(尊王攘夷). He also mentioned the Manchu faction of wanyan(完顔) and the Mongol tribe qiwo(奇渥). Among the Manchu peoples, wanyan(完顔) is one of the oldest people in the village of 松花江 and baitoushan(白頭山). Senjishan(申箕善) refers to the manhan(滿韓) with the Liaodong(遼東) plains, and the mention of the wanyan(完顔), who received the greatest respect of the Qing Dynasty.
      The author's thoughts on the earth and the universe are much larger than those of zhouxingsi(周興嗣). Senjishan(申箕善) explains that the universe is big and large, and the earth was round and rotating.
      It can be said that the sense of the commandment to look at the future and break the discrimination has not worked much in 『Qimengtianziwen(啓蒙千字文)』. In order to educate a child, this book introduce the vocabulary related to introduction of hanzi(漢字). It seems that it was forced to include many hanzi(漢字) which are distance from real lif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申箕善(1851∼1909)은 1877년 대과 별시 때 병과에 급제한 문신이다. 그는 갑신정변에 참여했으며 1895년에는 군부대신과 육군대장을 거치고 중추원 부의장이 되기도 했다.
      『계몽천자문』은 형식상 4글자씩 2구절이 짝이 되는 형식을 이루었다. 4글자에는 2글자로 된 한문어휘가 많다. 이들 한문어휘는 저마다 독특한 역사배경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恒沙와 같이 불교를 배경으로 하는 경우도 있고, 倉米처럼 『晋书․庾翼传』 같은 역사서에 보이는 어휘도 있다. 근대 시기의 한자 어휘인 七曜도 『계몽천자문』에 수록되어 있다. 그리고 인간에서부터 다양한 사물 명칭까지 나열하여 언급하고 있다. 작자 신기선이 살고 있던 시기에 밝혀진 천체에 대한 지식을 『계몽천자문』에 반영한 것이다. 『계몽천자문』은 조선의 역사나 인물 등에 대해서도 언급을 하고 있는 반면 『천자문』은 중국을 중심으로 역사나 인물 등을 설명하고 있다.
      중국 역사도 언급하고 있다. 존왕양이에 입각하여 서술하고 있지만 만주족 完顔과 몽고족 奇渥을 언급하고 있다. 完顔은 锡伯族 부락명이기도 하고 오래된 성씨이기도 하다. 신기선은 요동평야가 있는 滿韓을 언급하기도 하고 长白山에서 松花江 중상류 지역에서 살면서 청왕조의 지극한 존경을 받은 完顔族을 언급한다. 이는 청나라가 쇠퇴기에 접어들고 일제강점기를 앞둔 시점에 일본제국주의의 동북지역에 대한 관심이 『계몽천자문』에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계몽천자문』은 초학들이 경전을 배우기 전에 습득해야 할 한자를 학습시키기 위하여 창작된 교재라고도 볼 수 있다. 때문에 오늘날 어문 교육과 거리가 있으며, 대신 고문사에 자주 보이는 한자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신기선은 자신의 행적을 『계몽천자문』에 담기기도 했다. 조선 말기의 문신으로 1877년 대과 별시에 병과로 급제하였지만 1895년 군부대신에 임명되면서 陸軍副將이 되었고, 중추원부의장을 거쳤다. 『계몽천자문』 중에 출전하면 장수가 되고 입조하면 재상이 되었다는 出將入相과 “關侯岳保, 英豪武烈.”라고 표현한 것이다.
      孔敎도 언급하고 있다. 이 부분도 그의 행적과 연관이 있어 보인다. 신기선은 孔子敎會라고 알려진 孔子敎의 전신인 大東學會에 회장으로 있었다. 이 배경에는 統監府가 대한제국의 동학은 일진회, 유교계는 대동학회로 친일화 하려고 했다고 한다.
      번역하기

      申箕善(1851∼1909)은 1877년 대과 별시 때 병과에 급제한 문신이다. 그는 갑신정변에 참여했으며 1895년에는 군부대신과 육군대장을 거치고 중추원 부의장이 되기도 했다. 『계몽천자문』은 형...

      申箕善(1851∼1909)은 1877년 대과 별시 때 병과에 급제한 문신이다. 그는 갑신정변에 참여했으며 1895년에는 군부대신과 육군대장을 거치고 중추원 부의장이 되기도 했다.
      『계몽천자문』은 형식상 4글자씩 2구절이 짝이 되는 형식을 이루었다. 4글자에는 2글자로 된 한문어휘가 많다. 이들 한문어휘는 저마다 독특한 역사배경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恒沙와 같이 불교를 배경으로 하는 경우도 있고, 倉米처럼 『晋书․庾翼传』 같은 역사서에 보이는 어휘도 있다. 근대 시기의 한자 어휘인 七曜도 『계몽천자문』에 수록되어 있다. 그리고 인간에서부터 다양한 사물 명칭까지 나열하여 언급하고 있다. 작자 신기선이 살고 있던 시기에 밝혀진 천체에 대한 지식을 『계몽천자문』에 반영한 것이다. 『계몽천자문』은 조선의 역사나 인물 등에 대해서도 언급을 하고 있는 반면 『천자문』은 중국을 중심으로 역사나 인물 등을 설명하고 있다.
      중국 역사도 언급하고 있다. 존왕양이에 입각하여 서술하고 있지만 만주족 完顔과 몽고족 奇渥을 언급하고 있다. 完顔은 锡伯族 부락명이기도 하고 오래된 성씨이기도 하다. 신기선은 요동평야가 있는 滿韓을 언급하기도 하고 长白山에서 松花江 중상류 지역에서 살면서 청왕조의 지극한 존경을 받은 完顔族을 언급한다. 이는 청나라가 쇠퇴기에 접어들고 일제강점기를 앞둔 시점에 일본제국주의의 동북지역에 대한 관심이 『계몽천자문』에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계몽천자문』은 초학들이 경전을 배우기 전에 습득해야 할 한자를 학습시키기 위하여 창작된 교재라고도 볼 수 있다. 때문에 오늘날 어문 교육과 거리가 있으며, 대신 고문사에 자주 보이는 한자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신기선은 자신의 행적을 『계몽천자문』에 담기기도 했다. 조선 말기의 문신으로 1877년 대과 별시에 병과로 급제하였지만 1895년 군부대신에 임명되면서 陸軍副將이 되었고, 중추원부의장을 거쳤다. 『계몽천자문』 중에 출전하면 장수가 되고 입조하면 재상이 되었다는 出將入相과 “關侯岳保, 英豪武烈.”라고 표현한 것이다.
      孔敎도 언급하고 있다. 이 부분도 그의 행적과 연관이 있어 보인다. 신기선은 孔子敎會라고 알려진 孔子敎의 전신인 大東學會에 회장으로 있었다. 이 배경에는 統監府가 대한제국의 동학은 일진회, 유교계는 대동학회로 친일화 하려고 했다고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禮記"

      2 권오영, "신기선의 동도서기론 연구" 청계사학회 1 : 1984

      3 심경호, "동아시아에서의 ‘千字文’ 類 및 ‘蒙求’ 類 流行과 漢字漢文 基礎敎育"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7-45, 2015

      4 "陽園遺集"

      5 "說文"

      6 "莊子"

      7 정약용, "與猶堂全書補遺"

      8 "爾雅"

      9 "淮南子"

      10 杜甫, "晚登瀼上堂"

      1 "禮記"

      2 권오영, "신기선의 동도서기론 연구" 청계사학회 1 : 1984

      3 심경호, "동아시아에서의 ‘千字文’ 類 및 ‘蒙求’ 類 流行과 漢字漢文 基礎敎育"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7-45, 2015

      4 "陽園遺集"

      5 "說文"

      6 "莊子"

      7 정약용, "與猶堂全書補遺"

      8 "爾雅"

      9 "淮南子"

      10 杜甫, "晚登瀼上堂"

      11 "晋书․庾翼传"

      12 "後汉书"

      13 "廣雅"

      14 "左傳"

      15 "啓蒙千字文"

      16 "周易"

      17 郭鐘錫, "俛宇先生文集"

      18 노대환, "19세기 후반 申箕善의 현실 인식과 사상적 변화" 동국역사문화연구소 (53) : 315-351,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6 0.74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