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위기감과 자부심 사이 = 북한 ‘민족문화’ 개념의 분화와 변화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195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s goal is to understand North Korea’s present-day nationalism in part by showing how North Korea regarded the “nation”(minjok) and “culture” through the changes in its concept of “national culture”(minjok munhwa). North Korean nationalism grew stronger amid international variables such as competition with South Korea, a sense of crisis and opposition towards the US, differentiation from arising China post-Cold War, and Third World solidarity. Although early on North Korea strongly viewed the “nation” and nationalism negatively and aimed for an anti-chauvinist “national culture,” it later broke with the Stalinist concept of “nation” emphasizing economic community, transitioning to a concept of “nation” which valued blood ties and culture and emphasizing this concretely with the expression “national culture.” This latter concept was divided into “national cultural heritages”(minjok munhwa yusan) and “national cultural arts”(minjok munhwa yesul) since the founding of the North Korean regime. That is, national cultural heritages of the past were to be well preserved and passed on to create national cultural arts, and exceptional national cultural arts were to become great national cultural heritages in the future. The political struggles in the late 1950s and 1960s also constituted a battle of concepts surrounding “national culture,” where in various revolutionary traditions were renounced and Kim Il-Sung’s anti-Japanese resistance experience privileged over the others. With Kim’s sole leadership over North Korea fully established in 1967, national nihilism and reactionarism were strongly criticized during the theorization of “national culture” until the 1970s. The holding of many international events in Pyeongyang during the 1970s and 1980s was the result of North Korea’s self-awareness and pride in taking a leading role in Third World solidarity. Domestic and foreign crises and the country’s solitary hard line stance in the aftermath of the Cold War solidified North Korean nationalism, and concepts such as the “Chosun people first ideology” and the “people of Kim Ilsung,” and “Taedonggang culture” were produced as strategies to unify the regime in this atmosphere. In sum, the term “national culture” was an affective mechanism to preserve and unite the country in the face of national crises as well as a bastion of its self-esteem demonstrating the country’s existence.
      번역하기

      This paper’s goal is to understand North Korea’s present-day nationalism in part by showing how North Korea regarded the “nation”(minjok) and “culture” through the changes in its concept of “national culture”(minjok munhwa). North Kore...

      This paper’s goal is to understand North Korea’s present-day nationalism in part by showing how North Korea regarded the “nation”(minjok) and “culture” through the changes in its concept of “national culture”(minjok munhwa). North Korean nationalism grew stronger amid international variables such as competition with South Korea, a sense of crisis and opposition towards the US, differentiation from arising China post-Cold War, and Third World solidarity. Although early on North Korea strongly viewed the “nation” and nationalism negatively and aimed for an anti-chauvinist “national culture,” it later broke with the Stalinist concept of “nation” emphasizing economic community, transitioning to a concept of “nation” which valued blood ties and culture and emphasizing this concretely with the expression “national culture.” This latter concept was divided into “national cultural heritages”(minjok munhwa yusan) and “national cultural arts”(minjok munhwa yesul) since the founding of the North Korean regime. That is, national cultural heritages of the past were to be well preserved and passed on to create national cultural arts, and exceptional national cultural arts were to become great national cultural heritages in the future. The political struggles in the late 1950s and 1960s also constituted a battle of concepts surrounding “national culture,” where in various revolutionary traditions were renounced and Kim Il-Sung’s anti-Japanese resistance experience privileged over the others. With Kim’s sole leadership over North Korea fully established in 1967, national nihilism and reactionarism were strongly criticized during the theorization of “national culture” until the 1970s. The holding of many international events in Pyeongyang during the 1970s and 1980s was the result of North Korea’s self-awareness and pride in taking a leading role in Third World solidarity. Domestic and foreign crises and the country’s solitary hard line stance in the aftermath of the Cold War solidified North Korean nationalism, and concepts such as the “Chosun people first ideology” and the “people of Kim Ilsung,” and “Taedonggang culture” were produced as strategies to unify the regime in this atmosphere. In sum, the term “national culture” was an affective mechanism to preserve and unite the country in the face of national crises as well as a bastion of its self-esteem demonstrating the country’s existe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북한에서 ‘민족’이란 무엇인가?
      • 2. 1967년 이전 ‘민족문화’ 개념의 분화와 쟁투
      • 3. 1967년 이후 ‘민족문화’ 개념의 정립과 변화
      • 4. 결론: 다시, 북한에서 ‘민족문화’란 무엇인가?
      • 참고문헌
      • 1. 서론: 북한에서 ‘민족’이란 무엇인가?
      • 2. 1967년 이전 ‘민족문화’ 개념의 분화와 쟁투
      • 3. 1967년 이후 ‘민족문화’ 개념의 정립과 변화
      • 4. 결론: 다시, 북한에서 ‘민족문화’란 무엇인가?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용찬, "한반도 민족환경의 변화와 과제―북한의 민족문제" 4 : 2000

      2 이지원, "한국 근대 문화사상사 연구" 혜안 2007

      3 레이먼드 윌리엄스, "키워드" 민음사 2010

      4 라인하르트 코젤렉,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 1. 문명과 문화" 푸른역사 2010

      5 "철학연구"

      6 "천리마"

      7 라인하르트 코젤렉, "지나간 미래" 문학동네 1998

      8 임유경, "조소문화협회의 출판․번역 및 소련방문 사업 연구 ― 해방기 북조선의 문화․정치적 국가기획에 대한 문제제기적 검토" 대동문화연구원 (66) : 471-506, 2009

      9 "조선중앙일보"

      10 "조선예술"

      1 김용찬, "한반도 민족환경의 변화와 과제―북한의 민족문제" 4 : 2000

      2 이지원, "한국 근대 문화사상사 연구" 혜안 2007

      3 레이먼드 윌리엄스, "키워드" 민음사 2010

      4 라인하르트 코젤렉,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 1. 문명과 문화" 푸른역사 2010

      5 "철학연구"

      6 "천리마"

      7 라인하르트 코젤렉, "지나간 미래" 문학동네 1998

      8 임유경, "조소문화협회의 출판․번역 및 소련방문 사업 연구 ― 해방기 북조선의 문화․정치적 국가기획에 대한 문제제기적 검토" 대동문화연구원 (66) : 471-506, 2009

      9 "조선중앙일보"

      10 "조선예술"

      11 장우진, "조선민족의 력사적 뿌리" 사회과학출판사 2002

      12 "조선말사전" 과학원출판사 1961

      13 "조선말대사전" 사회과학출판사 1992

      14 "정치사전" 사회과학출판사 1973

      15 이오씨프 쓰탈린, "정세와 노동 130" 노동사회과학연구소 2017

      16 강혜석, "정당성의 정치와 북한의 민족재건설: 주체, 우리 식, 우리민족제일주의" 아시아여성연구원 10 (10): 65-96, 2017

      17 "인민"

      18 유화, "언어횡단적 실천―문학, 민족문화 그리고 번역된 근대성 : 중국, 1900~1937" 소명출판 2005

      19 류기현, "쏘련을 향하여 배우라 ― 1945~1948년 朝蘇文化協會의 조직과 활동" 대동문화연구원 (98) : 91-118, 2017

      20 "신천지"

      21 "신문학"

      22 "비판"

      23 "북한인명사전" 서울신문사 2004

      24 김태우, "북한의 스탈린 민족이론 수용과 이탈 과정" 한국역사연구회 (44) : 256-285, 2002

      25 정영철, "북한의 민족주의와 문화변용: 김정은 시대 북한 문화의 변화" 한국문화관광연구원 31 (31): 288-305, 2017

      26 국가안전기획부, "북한의 민족주의 선전자료집" 1995

      27 정영철, "북한의 민족·민족주의―민족 개념의 정립과 민족주의의 재평가" 63 : 2003

      28 정창현, "북한의 문화유산 정책과 관리체계" 인문학연구원 53 : 223-251, 2012

      29 정범석, "북한의 '우리 민족끼리' 담론 연구"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06

      30 정영철, "북한 민족주의의 이중구조 연구 - 발생론적 민족관과 발전론적 민족관 -" 평화문제연구소 22 (22): 1-39, 2010

      31 이경식, "북한 민족주의 연구" 한국윤리교육학회 (34) : 361-382, 2014

      32 전영선, "북한 민족문화 정책의 이론과 현장" 역락 2005

      33 박상천, "북한 문화예술에서 ‘민족문화’와 ‘민족적 형식’의 문제" 6 (6): 2003

      34 전영선, "북한 ‘아리랑’의 현대적 변용 양상과 의미" 북한대학원대학교 13 (13): 40-75, 2011

      35 "민족문화유산"

      36 박찬승, "민족·민족주의" 소화 2016

      37 "문학예술사전" 사회과학출판사 1972

      38 "문학대사전" 사회과학원 2000

      39 "문학"

      40 "로동신문"

      41 사회과학원 김일성주의연구소, "대중정치용어사전" 2005

      42 김상현, "대중정치용어사전" 조선로동당출판사 1957

      43 정태수, "남북한 영화사 비교연구" 국학자료원 2007

      44 정일준, "남북한 민족주의 역사 비교연구: 민족형성의 정치를 중심으로" 한국공공사회학회 6 (6): 5-64, 2016

      45 김정일, "김정일선집 1~13" 조선로동당출판사 1998

      46 조성박, "김정일 민족관" 평양출판사 1999

      47 김일성, "김일성저작집 1~23" 조선로동당출판사 1985

      48 "근로자"

      49 니시카와 나가오, "국민을 그만두는 방법―국가 이데올로기로서의 민족과 문화" 역사비평사 2009

      50 나인호, "개념사란 무엇인가―역사와 언어의 새로운 만남" 역사비평사 2011

      51 최선경, "‘조선민족’ 개념의 형성과 변화" 북한연구학회 21 (21): 1-24, 2017

      52 이하나, "1950년대 민족문화 재건 담론과 ‘우수영화’" 역사문제연구소 (94) : 391-423, 2011

      53 강인구, "1948년 평양 소련 문화원의 설립과 소련의 조소문화교류 활동" 한국사연구회 90 :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0.9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5 1.637 0.5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