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금장태, "화서학파의 철학과 시대의식" 태학사 2001
2 홍이섭, "홍이섭전집" 연세대학교출판부 1994
3 문일평, "호암전집" 민속원 1982
4 한우근, "한우근전집" 한국학술정보 2001
5 천관우, "한국사의 재발견" 일조각 1974
6 김득황, "한국사상의 전개" 북악사 1950
7 천관우, "한국문화사대계 VI" 1970
8 김득황, "증보 한국사상사" 백암사 1973
9 장지연, "장지연전서" 단국대학교출판부 1989
10 최남선, "육당최남선전집" 역락 2003
1 금장태, "화서학파의 철학과 시대의식" 태학사 2001
2 홍이섭, "홍이섭전집" 연세대학교출판부 1994
3 문일평, "호암전집" 민속원 1982
4 한우근, "한우근전집" 한국학술정보 2001
5 천관우, "한국사의 재발견" 일조각 1974
6 김득황, "한국사상의 전개" 북악사 1950
7 천관우, "한국문화사대계 VI" 1970
8 김득황, "증보 한국사상사" 백암사 1973
9 장지연, "장지연전서" 단국대학교출판부 1989
10 최남선, "육당최남선전집" 역락 2003
11 최익한, "실학파와 정다산" 한국문화사 1996
12 이태훈, "실학담론에 대한 지식사회학적 고찰 : 근대성 개념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4
13 최남선, "실학 경시에서 온 한민족의 후진성" 2 (2): 1955
14 윤사순, "신실학의 지평" 58 : 1990
15 박은식, "박은식전서" 단국대학교출판부 1975
16 "매일신문"
17 노관범, "대한제국기 장지연 저작 목록의 재검토" 4 : 2008
18 노관범, "대한제국기 실학 개념의 역사적 이해" 한국실학학회 (25) : 417-462, 2013
19 노관범, "근대 한국유학사의 형성: 장지연의 『조선유교연원』을 중심으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74) : 377-427, 2016
20 이인영, "국사요론" 민교사 1956
21 김성칠, "고쳐쓴 조선역사" 대한금융조합연합회 1950
22 "默齋集"
23 "霞谷集"
24 "雲菴集"
25 "陽村集"
26 "貞菴集"
27 "謹窩文集"
28 "西友"
29 "西北學會月報"
30 "舫山集"
31 "知水拈筆"
32 "皇城新聞"
33 "白下集"
34 "畿湖興學會月報"
35 "浦渚集"
36 "松堂集"
37 "朝陽報"
38 "春亭續集"
39 임형택, "新實學, 그 가능성과 方向" 한국실학학회 (22) : 147-166, 2011
40 "慶南日報"
41 "市南集"
42 "太極學報"
43 "大韓每日申報"
44 "大韓協會會報"
45 "厚齋集"
46 "僩齋遺稿"
47 "久堂集"
48 "一庵遺稿"
49 신용하, "19세기 말 장지연의 다산 정약용의 발굴" 110 : 2003
50 류시현, "1930년대 문일평의 조선학 연구와 실학의 재조명" (사)한국인물사연구회 (23) : 217-242,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