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근대 초기 실학의 존재론 = 실학 인식의 방향 전환을 위하여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at rethinking and remaking historical knowledge on Silhak in the Korean studies of Korean academic circles. Silhak, generally regarded as the result of contemporary academic construction in those circles, did not come into existence in the Korean intellectual societies until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Park Eunsik(朴殷植) and Jang Jiyeon(張志淵), the first pioneers to found the modern ontology of Korean Silhak had strong consciousness of Sil(實), or practicality toward Korean modernization in connection with both traditional and modern concept of Silhak. The consciousness of Sil and the idea of Silhak as its conceptual realization need to be viewed as a key factor in reexamining contemporary historical knowledge of Silhak. Reflective review on the contemporary studies of Silhak in terms of the modern ideas of Silhak will throw new light on the ontology of Silhak as one of important problems of the modern Korea itself.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at rethinking and remaking historical knowledge on Silhak in the Korean studies of Korean academic circles. Silhak, generally regarded as the result of contemporary academic construction in those circles, did not come into existence in...

      This paper aims at rethinking and remaking historical knowledge on Silhak in the Korean studies of Korean academic circles. Silhak, generally regarded as the result of contemporary academic construction in those circles, did not come into existence in the Korean intellectual societies until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Park Eunsik(朴殷植) and Jang Jiyeon(張志淵), the first pioneers to found the modern ontology of Korean Silhak had strong consciousness of Sil(實), or practicality toward Korean modernization in connection with both traditional and modern concept of Silhak. The consciousness of Sil and the idea of Silhak as its conceptual realization need to be viewed as a key factor in reexamining contemporary historical knowledge of Silhak. Reflective review on the contemporary studies of Silhak in terms of the modern ideas of Silhak will throw new light on the ontology of Silhak as one of important problems of the modern Korea itself.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문제제기: 실학은 학문인가?
      • 2. 근대 초기 실학파의 탄생
      • 3. 대한제국기의 실학 개념
      • 4. 조선시대의 실학 개념
      • 5. 시대의 접합, 박은식과 장지연의 실학
      • 1. 문제제기: 실학은 학문인가?
      • 2. 근대 초기 실학파의 탄생
      • 3. 대한제국기의 실학 개념
      • 4. 조선시대의 실학 개념
      • 5. 시대의 접합, 박은식과 장지연의 실학
      • 6. 새로운 제안: 20세기 한국 실학사상사의 탐구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금장태, "화서학파의 철학과 시대의식" 태학사 2001

      2 홍이섭, "홍이섭전집" 연세대학교출판부 1994

      3 문일평, "호암전집" 민속원 1982

      4 한우근, "한우근전집" 한국학술정보 2001

      5 천관우, "한국사의 재발견" 일조각 1974

      6 김득황, "한국사상의 전개" 북악사 1950

      7 천관우, "한국문화사대계 VI" 1970

      8 김득황, "증보 한국사상사" 백암사 1973

      9 장지연, "장지연전서" 단국대학교출판부 1989

      10 최남선, "육당최남선전집" 역락 2003

      1 금장태, "화서학파의 철학과 시대의식" 태학사 2001

      2 홍이섭, "홍이섭전집" 연세대학교출판부 1994

      3 문일평, "호암전집" 민속원 1982

      4 한우근, "한우근전집" 한국학술정보 2001

      5 천관우, "한국사의 재발견" 일조각 1974

      6 김득황, "한국사상의 전개" 북악사 1950

      7 천관우, "한국문화사대계 VI" 1970

      8 김득황, "증보 한국사상사" 백암사 1973

      9 장지연, "장지연전서" 단국대학교출판부 1989

      10 최남선, "육당최남선전집" 역락 2003

      11 최익한, "실학파와 정다산" 한국문화사 1996

      12 이태훈, "실학담론에 대한 지식사회학적 고찰 : 근대성 개념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4

      13 최남선, "실학 경시에서 온 한민족의 후진성" 2 (2): 1955

      14 윤사순, "신실학의 지평" 58 : 1990

      15 박은식, "박은식전서" 단국대학교출판부 1975

      16 "매일신문"

      17 노관범, "대한제국기 장지연 저작 목록의 재검토" 4 : 2008

      18 노관범, "대한제국기 실학 개념의 역사적 이해" 한국실학학회 (25) : 417-462, 2013

      19 노관범, "근대 한국유학사의 형성: 장지연의 『조선유교연원』을 중심으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74) : 377-427, 2016

      20 이인영, "국사요론" 민교사 1956

      21 김성칠, "고쳐쓴 조선역사" 대한금융조합연합회 1950

      22 "默齋集"

      23 "霞谷集"

      24 "雲菴集"

      25 "陽村集"

      26 "貞菴集"

      27 "謹窩文集"

      28 "西友"

      29 "西北學會月報"

      30 "舫山集"

      31 "知水拈筆"

      32 "皇城新聞"

      33 "白下集"

      34 "畿湖興學會月報"

      35 "浦渚集"

      36 "松堂集"

      37 "朝陽報"

      38 "春亭續集"

      39 임형택, "新實學, 그 가능성과 方向" 한국실학학회 (22) : 147-166, 2011

      40 "慶南日報"

      41 "市南集"

      42 "太極學報"

      43 "大韓每日申報"

      44 "大韓協會會報"

      45 "厚齋集"

      46 "僩齋遺稿"

      47 "久堂集"

      48 "一庵遺稿"

      49 신용하, "19세기 말 장지연의 다산 정약용의 발굴" 110 : 2003

      50 류시현, "1930년대 문일평의 조선학 연구와 실학의 재조명" (사)한국인물사연구회 (23) : 217-242,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0.9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5 1.637 0.5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