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가 태안 주민들의 심리적 건강에 미친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3499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07년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가 사고 발생 인근 지역인 태안 주민들의 심리적 건강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았다. 비례확률 표집법을 사용해서 태안에 거주하고 있는 464명의 20세 이상 성인들을 전화조사를 통해 면접했다.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 불안, 우울, 자살 생각, 적대감과 공격성, 편집증 등의 심리적 건강지수와 함께 사고가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것으로 보이는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 사회적 신뢰와 지지, 낙관성, 삶의 의미추구 및 인구학적 번수 등에 관한 자료를 얻었다. 연구 결과, 사고가 주민들의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심대했다.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에 해당하는 주민의 백분율이 70.6%에 달했으며, 전집에서는 2% 미만이 보이는 표준점수 이상(T>70)에 해당하는 주민들이 불안(27.1%) 우울(36.6%) 자살 생각(9.5%) 적대감과 공격성(16.8%) 편집증(12.6%) 등에서 상당했다. 아울러 지리적 및 행정적으로 구분한 기준보다는 물리적 및 경제적 피해 노출 수준으로 나눈 기준이 심리적 건강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본 연구에서 구분한 사고 피해 노출 수준이 높을수록 심리적 건강 손상 정도가 비례해서 높았다. 이는 이번 사고로 인해 심리적 건강이 영향을 받았다는 인과적 증거로 해석할 수 있다. 아울러,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방식과 낙관성, 삶의 의미 및 사회적 지지 등이 사고의 스트레스적인 영향을 조절할 가능성이 있는 조절 요인들로 드러났다. 연구 결과를 문제의 개선과 예방을 위한 개입과 본 연구의 한계 및 개선 방향과 관련시켜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2007년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가 사고 발생 인근 지역인 태안 주민들의 심리적 건강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았다. 비례확률 표집법을 사용해서 태안에 거주하고 있는 464명의 20세 이...

      2007년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가 사고 발생 인근 지역인 태안 주민들의 심리적 건강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았다. 비례확률 표집법을 사용해서 태안에 거주하고 있는 464명의 20세 이상 성인들을 전화조사를 통해 면접했다.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 불안, 우울, 자살 생각, 적대감과 공격성, 편집증 등의 심리적 건강지수와 함께 사고가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것으로 보이는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 사회적 신뢰와 지지, 낙관성, 삶의 의미추구 및 인구학적 번수 등에 관한 자료를 얻었다. 연구 결과, 사고가 주민들의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심대했다.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에 해당하는 주민의 백분율이 70.6%에 달했으며, 전집에서는 2% 미만이 보이는 표준점수 이상(T>70)에 해당하는 주민들이 불안(27.1%) 우울(36.6%) 자살 생각(9.5%) 적대감과 공격성(16.8%) 편집증(12.6%) 등에서 상당했다. 아울러 지리적 및 행정적으로 구분한 기준보다는 물리적 및 경제적 피해 노출 수준으로 나눈 기준이 심리적 건강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본 연구에서 구분한 사고 피해 노출 수준이 높을수록 심리적 건강 손상 정도가 비례해서 높았다. 이는 이번 사고로 인해 심리적 건강이 영향을 받았다는 인과적 증거로 해석할 수 있다. 아울러,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방식과 낙관성, 삶의 의미 및 사회적 지지 등이 사고의 스트레스적인 영향을 조절할 가능성이 있는 조절 요인들로 드러났다. 연구 결과를 문제의 개선과 예방을 위한 개입과 본 연구의 한계 및 개선 방향과 관련시켜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psychological impacts of the Hebei Sprit oil spill event in 2007 on nearby residents. 464 adults of Taean residents were sampled based on Proportional Probability Sampling Method(Cho, 1990) and interviewed by telephone.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anxiety, depression, suicide, hostility, and paranoid thoughts were used as psychological health index. Stress coping, social trust, social support, optimism, meaning to life, and demographic variables were analyzed as moderating variables on stress effects. Results of the study showed very significant psychological impacts of the accident. 70.6% of residents were diagnosed as PTSD. Anxiety(27.1%), depression(36.6%), suicide idea(9.5%), hostility & aggression(16.8%), and paranoid thought(12.6%) were higher than normal(or norm) group(less than 2%). Exposure levels to the oil spill and subsequent events significantly predicted the psychological harms. These results imply causative effects of the accident. Ways of coping to stress, optimism, meaning to life, and social support were potential moderators for stress effects. Result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terms of intervention strategies and future study.
      번역하기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psychological impacts of the Hebei Sprit oil spill event in 2007 on nearby residents. 464 adults of Taean residents were sampled based on Proportional Probability Sampling Method(Cho, 1990) and interviewed by telephone. Po...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psychological impacts of the Hebei Sprit oil spill event in 2007 on nearby residents. 464 adults of Taean residents were sampled based on Proportional Probability Sampling Method(Cho, 1990) and interviewed by telephone.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anxiety, depression, suicide, hostility, and paranoid thoughts were used as psychological health index. Stress coping, social trust, social support, optimism, meaning to life, and demographic variables were analyzed as moderating variables on stress effects. Results of the study showed very significant psychological impacts of the accident. 70.6% of residents were diagnosed as PTSD. Anxiety(27.1%), depression(36.6%), suicide idea(9.5%), hostility & aggression(16.8%), and paranoid thought(12.6%) were higher than normal(or norm) group(less than 2%). Exposure levels to the oil spill and subsequent events significantly predicted the psychological harms. These results imply causative effects of the accident. Ways of coping to stress, optimism, meaning to life, and social support were potential moderators for stress effects. Result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terms of intervention strategies and future stud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연구 방법
      • 3. 결과
      • 4. 논의
      • 참고문헌
      • 1. 서론
      • 2. 연구 방법
      • 3. 결과
      • 4. 논의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원두리, "한국판 삶의 의미척도의 타당화 연구 대학생을 대상으로" 10 : 211-225, 2005

      2 이선미, "한국판 사건 충격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관한 연구" 38 : 501-513, 1999

      3 김영환, "표준화 연구 신뢰도와 타당도" 20 : 311-329, 2001

      4 이경주,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 및 행동문제"

      5 조성겸, "전화조사 응답자의 표집방법으로서 CNU방법과 비례확률 표집방법의 비교연구" 27 : 93-106, 1990

      6 전겸구, "다차원적 대처 척도의 개발" 13 : 114-135, 1994

      7 김광일, "간이 정신 진단 검사 실시요강" 중앙적성출판부

      8 Horowitz M, "Impact of Event Scale A measure of subjective stress" 41 : 209-218, 1979

      9 Scheier M F, "Distinguishing optimism from neuroticism and trait anxiety self mastery and self esteem A reevaluation of the Life Orientation Test" 67 : 1063-1078, 1994

      10 Palinkas L A, "Community patterns of psychiatric disorders after the Exxon Valdez oil spill" 150 : 1517-1523, 1993

      1 원두리, "한국판 삶의 의미척도의 타당화 연구 대학생을 대상으로" 10 : 211-225, 2005

      2 이선미, "한국판 사건 충격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관한 연구" 38 : 501-513, 1999

      3 김영환, "표준화 연구 신뢰도와 타당도" 20 : 311-329, 2001

      4 이경주,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 및 행동문제"

      5 조성겸, "전화조사 응답자의 표집방법으로서 CNU방법과 비례확률 표집방법의 비교연구" 27 : 93-106, 1990

      6 전겸구, "다차원적 대처 척도의 개발" 13 : 114-135, 1994

      7 김광일, "간이 정신 진단 검사 실시요강" 중앙적성출판부

      8 Horowitz M, "Impact of Event Scale A measure of subjective stress" 41 : 209-218, 1979

      9 Scheier M F, "Distinguishing optimism from neuroticism and trait anxiety self mastery and self esteem A reevaluation of the Life Orientation Test" 67 : 1063-1078, 1994

      10 Palinkas L A, "Community patterns of psychiatric disorders after the Exxon Valdez oil spill" 150 : 1517-1523, 1993

      1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Committee on Nomenclature and Statics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for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ision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2 0.97 1.244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