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전쟁 전 대구경북지역의 민간인학살사건의 실태와 특징 -제4대국회『양민학살사건진상조사보고서』의 기록을 중심으로 = Civilian Massacres in the Daegu-Gyeongbuk region before the Korean War before the Korean Wa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441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en the Daegu October Uprising of 1946 erupted, the U.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responded with suppression, which led to the rise of partisan guerrillas. As the police and army subdued the guerrillas, the situation deteriorated to the point tha...

      When the Daegu October Uprising of 1946 erupted, the U.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responded with suppression, which led to the rise of partisan guerrillas. As the police and army subdued the guerrillas, the situation deteriorated to the point that it resembled a regional civil war. During this process, not only ex-prisoners from the Daegu October Uprising, but also communist sympathizers, their families, and innocent local residents were executed by the South Korean police and army without trials. According to reports from the 4th National Assembly, 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and other sources, around 15,000 civilians were massacred by the police and army in the Daegu-Gyeongbuk region during 1945-1953. The 4th National Assembly Report contains statements regarding 5,082 victims. Among them, 1,665 victims were massacred before the Korean War. Most of them were residents of the eastern Gyeongbuk region near the area of the Taebaek Mountains, and were massacred at 1949 - when the police and army launched full scale search and destroy operations. Although a majority of the victims were males in their 20s and 30s, the ratio of victims who were female, elderly, and childre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Korean War. Before the Korean War, major massacres occurred in the Daegu-Gyeongbuk region, as well as in Neung Valley in Wolseong, Naenam Township in Wolseong, Mountain in Jogok Yeongchon, Buchae Valley in Dalseong, Byerang Valley in Chilgok, Wonjeon Valley in Yeongdeok, and Seokdal Village in Mungyeong. These were typical examples of civilian massacre incidents with the number of victims varying from twenty to eigh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2008년 피해자현황조사 용역사업단,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집단희생 관련 2008년 피해자현황조사 용역사업 최종결과보고서 - 경북 영천시" 진실위ㆍ전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79-, 2009

      2 진실위, "한국전쟁 이전 경산 민간인(김종학 외 9명)희생사건,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4권" 진실위 110-112, 2009

      3 한국경찰사편찬위원회, "한국경찰사Ⅱ" 내부치안국 159-, 1973

      4 "칠곡 지천면 주민 이수진 등 6명의 증언"

      5 "청도군 이서면 이장호(1921) 등 6명에 대한 신고서(제4대국회, 『6-7 청도군 보고서』)"

      6 "청도군 오진면 김달곤(1906) 등 22명에 대한 신고서(제4대국회, 『6-7 청도군 보고서』)"

      7 "청도군 매전면 이일수 등 5명에 대한 신고서(제4대국회, [6-13] 월성ㆍ청도ㆍ성주ㆍ안동ㆍ금릉군 보고서)"

      8 진실위, "청도 민간인 희생사건, 2008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2권" 진실위 105-748, 2008

      9 "주민 신매화(1928), 신정호(1949) 증언"

      10 김동춘, "전쟁과 사회" 돌베개 293-321, 2000

      1 2008년 피해자현황조사 용역사업단,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집단희생 관련 2008년 피해자현황조사 용역사업 최종결과보고서 - 경북 영천시" 진실위ㆍ전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79-, 2009

      2 진실위, "한국전쟁 이전 경산 민간인(김종학 외 9명)희생사건,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4권" 진실위 110-112, 2009

      3 한국경찰사편찬위원회, "한국경찰사Ⅱ" 내부치안국 159-, 1973

      4 "칠곡 지천면 주민 이수진 등 6명의 증언"

      5 "청도군 이서면 이장호(1921) 등 6명에 대한 신고서(제4대국회, 『6-7 청도군 보고서』)"

      6 "청도군 오진면 김달곤(1906) 등 22명에 대한 신고서(제4대국회, 『6-7 청도군 보고서』)"

      7 "청도군 매전면 이일수 등 5명에 대한 신고서(제4대국회, [6-13] 월성ㆍ청도ㆍ성주ㆍ안동ㆍ금릉군 보고서)"

      8 진실위, "청도 민간인 희생사건, 2008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2권" 진실위 105-748, 2008

      9 "주민 신매화(1928), 신정호(1949) 증언"

      10 김동춘, "전쟁과 사회" 돌베개 293-321, 2000

      11 2008년 피해자현황조사 용역사업단 영천시 지역조사팀, "이일재 구술증언,구술증언보고서" 영남 영천시 지역조사팀 51-, 2009

      12 정희상, "이대로는 눈감을 수 없소" 돌베개 1990

      13 "의성군 안계면 장정훈(1921) 등 5명에 대한 신고서(제4대국회, 『6-14 창녕ㆍ의성ㆍ금릉군 보고서』)"

      14 "월성군 안강읍 황명준(1915) 등에 대한 신고서(제4대국회, 『6-13 월성ㆍ청도ㆍ성주ㆍ안동ㆍ금릉군 보고서』)"

      15 "월성군 안강읍 최원택(1927) 등 3명에 대한 신고서(제4대국회, 『6-5 월성군 보고서』)"

      16 "월성군 안강읍 정인조(여, 1914) 등 3명에 대한 신고서(제4대국회, 『6-5 월성군 보고서』)"

      17 "월성군 안강읍 이도연(여, 1934) 등 3명에 대한 신고서(제4대국회, 『6-5 월성군 보고서』)"

      18 "월성군 안강읍 권택주(1901 등 12명에 대한 신고서(제4대국회, 『6-5 월성군 보고서』)"

      19 "월성군 내남면 최현준(65세) 등 일가 22명에 대한 신고서(제4대국회, 『6-5 월성군 보고서』)"

      20 "월성군 내남면 최순근(여, 1897) 등 6명에 대한 신고서(제4대국회, 『6-23 대구ㆍ경주ㆍ김천시 보고서』)"

      21 "월성군 내남면 김지수(60세) 등 일가 22명에 대한 신고서(제4대국회, 『6-5 월성군 보고서』)"

      22 "예천군 용궁면 안의식(1926) 등 4명에 대한 신고서(제4대국회, 『6-10 예천군 보고서』)"

      23 진실위, "예천ㆍ문경 민간인 희생사건,2010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8권" 진실위 103-124, 2010

      24 "영천군 대창면 이희주(1915)에 대한 신고서와 고경면 이일기(1931)에 대한 신고서 등(제4대국회,『6-12 영천군 보고서』)"

      25 진실위, "영천 민간인희생사건, 2009년 하반기 조사보고서 7권" 진실위 55-837, 2010

      26 "영주군 단산면 신원조(1909) 등 6명에 대한 신고서(제4대국회, 『6-11 영주ㆍ영양군 보고서』)"

      27 "영일군 지행면 이갑출(1927) 등 4명에 대한 신고서(제4대국회, 『6-17 영일군 보고서』)"

      28 "영일군 지행면 김승용(여, 1926) 등 일가족 4명에 대한 신고서(제4대국회, 『6-17 영일군 보고서』)"

      29 "영일군 죽장면 황위조(1933) 등 5명에 대한 신고서(제4대국회, 『6-17 영일군 보고서』)"

      30 "영일군 죽장면 김영석(1920) 등 6명에 대한 신고서(제4대국회, 『6-17 영일군 보고서』)"

      31 "영일군 죽장면 김대안(1932) 등 5명에 대한 신고서(제4대국회, 『6-17 영일군 보고서』)"

      32 "영일군 동해면 김필익(여, 1891) 등 5명에 대한 신고서(제4대국회, 『6-17 영일군 보고서』)"

      33 "영양군 입암면 신기환(1932) 등 7명에 대한 신고서(제4대국회, 『6-11 영주ㆍ영양군 보고서』)"

      34 "영양군 입암면 권노흠(1918) 등 7명에 대한 신고서(제4대국회, 『6-11 영주ㆍ영양군 보고서』)"

      35 "영양군 일월면 지덕생(1889) 등 9명에 대한 신고서(제4대국회, 『6-11 영주ㆍ영양군 보고서』)"

      36 "영양군 일월면 장지수(1912) 등 8명에 대한 신고서(제4대국회, 『6-11 영주ㆍ영양군 보고서』)"

      37 "영양군 석보면 신현학(1923) 등 3명에 대한 신고서(제4대국회, 『6-11 영주ㆍ영양군 보고서』)"

      38 "영양군 석보면 김이기(1905) 등 12명에 대한 신고서(제4대국회, 『6-11 영주ㆍ영양군 보고서』)"

      39 "영덕군 창수면 이병학(1904) 등 14명에 대한 신고서(제4대국회, 『6-20 영덕군 보고서』)"

      40 "영덕군 지품면 장대석(1931) 등 6명에 대한 신고서(제4대국회, 『6-21 영덕군 보고서』)"

      41 "영덕군 지품면 신분돌(여, 1933) 등 20명에 대한 신고서(제4대국회, 『6-21 영덕군 보고서』)"

      42 "영덕군 지품면 김수호(1902) 등 15명에 대한 신고서(제4대국회, 『6-21 영덕군 보고서』)"

      43 "영덕군 영해면 최천호(여, 1884) 등 17명에 대한 신고서(제4대국회, 『6-20, 6-21 영덕군 보고서』)"

      44 진실위, "영덕 지품면 민간인희생사건, 2008년 하반기 조사보고서 2권" 진실위 339-404, 2009

      45 경상북도의회, "양민학살진상규명특별위원회 활동경과보고서" 경상북도의회 56-426,

      46 "안동군 풍산면 황길영(1906) 등 13명에 대한 신고서(제4대국회, 『6-19 안동군 보고서』)"

      47 "안동군 예안면 이분행(여, 1888) 등 10명에 대한 신고서(제4대국회, 『6-19 안동군 보고서』)"

      48 "안동군 도산면 이창섭(1932) 등 3명에 대한 신고서(제4대국회, 『6-19 안동군 보고서』)"

      49 "안동군 길안면 김태진(1909) 등 7명에 대한 신고서(제4대국회, 『6-19 안동군 보고서』)"

      50 "안강 주민 권용웅(1936), 손병윤(1928), 손병환(1936), 이조우(1923), 이인석(1930), 한의석(1930)의 증언"

      51 보병제3사단, "백골사단역사" 보병제3사단 93-110, 1980

      52 진실위, "문경 석달 사건, 2007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진실위 361-465, 2007

      53 진실위, "대구10월사건 관련 민간인희생사건,2010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4권" 진실위 79-857, 2010

      54 "달성군 화원면 이기훈(1930) 등 6명에 대한 신고서(제4대국회, 『6-16 달성군 보고서』)"

      55 "달성군 화원면 김동록(1916) 등 2명에 대한 신고서와 옥포면 신재식(1923)에 대한 신고서(제4대국회, 『6-16 달성군 보고서』)"

      56 진실위, "군위ㆍ안동ㆍ영주ㆍ의성 민간인 희생사건, 2010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6권" 진실위 697-698, 2010

      57 진실위, "경주지역 민간인 희생사건, 2010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6권" 진실위 41-45, 2010

      58 "경주군 내동면 황룡리 이봉식(여, 1910) 등 일가족 5명에 대한 신고서와 경주시 황룡동 박분선(여, 1940) 등 2명에 대한 신고서(제4대국회, 『6-23 대구ㆍ경주ㆍ김천시 보고서』)"

      59 "경산군 용성면 김태권(1923) 등에 대한 신고서(제4대국회, 『6-18 경산군 보고서』)"

      60 경북지방경찰청, "경북경찰발전사" 경북지방경찰청 76-, 2001

      61 진실위, "경북 영천 국민보도연맹 사건, 2009년 하반기 조사보고서 5권" 진실위 78-108, 2010

      62 진실위, "경북 봉화ㆍ영양ㆍ청송 민간인 희생사건, 2010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5권" 진실위 46-47, 2010

      63 "『영남일보』(1961.5.7.)"

      64 "『영남일보』(1960.8.23.)"

      65 "『대구일보』(1960.5.21.)"

      66 "6-6 칠곡군 보고서" 제4대국회

      67 진실위, "2006년 하반기 조사보고서" 29-, 2007

      68 전갑생, "1960년 국회 ‘양민학살사건조사특별위원회’ 자료-경남을 중심으로" 한국제노사이드연구회 (창간) : 227-253, 2007

      69 이강수, "1960년 ‘양민학살사건진상조사위원회’의 조직과 활동 『조사보고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근현대사학회 (45) : 169-200, 2008

      70 정해구, "10월인민항쟁연구" 열음사 132-156, 198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5 0.54 1.276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