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보육시설장과 유치원장의 자격제도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011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시설장과 유치원장 자격제도에 대해 보육교사 및 유치원교사(이하 유아교사)의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보육시설장과 유치원장의 자격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과 더...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시설장과 유치원장 자격제도에 대해 보육교사 및 유치원교사(이하 유아교사)의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보육시설장과 유치원장의 자격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과 더불어 보육시설장과 유치원장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B시에 위치한 유아교사 201명이며, 연구의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 win 17.0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교사들은 보육시설장과 유치원장의 자격제도의 기준이 적절하지 않으며, 자격기준이 강화되고 개선되어야 한다는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child-care center and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ze on the certificate system of child-care center and kindergarten director and utilize its result as fundamental material for improving teaching profession of child-ca...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child-care center and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ze on the certificate system of child-care center and kindergarten director and utilize its result as fundamental material for improving teaching profession of child-care center and kindergarten director. To achieve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for 201 randomly sampled child-care center and kindergarten teachers were surveyed in B city. For analyzing the data, SPSS win 17.0 were used, and its results are as follow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child-care center and kindergarten director certificate system are not appropriately. The certificate system was strengthened and it was improved and with the fact that it will recognize it do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및 해석
      • Ⅳ. 논의 및 제언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및 해석
      • Ⅳ. 논의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대균, "최신 유아교육기관의 운영관리" 양서원 2006

      2 이미화, "육아지원인력의 수급전망과 전문성 제고 방안 연구" 육아정책개발센터 2006

      3 교육과학기술부, "유아교육 선진화 방안" 교육과학기술부 2009

      4 조성연, "영유아보육의 이해" 학지사 2006

      5 백선희, "영유아보육법 개정에 따른 보육시설장 및 보육교사 자격제도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39 (39): 171-195, 2004

      6 김혜경, "영유아교육기관경영" 창지사 2008

      7 지성애, "영유아 보육시설장과 교사의 전문적 자질에 관한 조사 연구" 27 : 138-168, 2001

      8 "부산보육정보센터"

      9 "부산광역시교육청"

      10 최애경, "보육학개론" 파란마음 2010

      1 이대균, "최신 유아교육기관의 운영관리" 양서원 2006

      2 이미화, "육아지원인력의 수급전망과 전문성 제고 방안 연구" 육아정책개발센터 2006

      3 교육과학기술부, "유아교육 선진화 방안" 교육과학기술부 2009

      4 조성연, "영유아보육의 이해" 학지사 2006

      5 백선희, "영유아보육법 개정에 따른 보육시설장 및 보육교사 자격제도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39 (39): 171-195, 2004

      6 김혜경, "영유아교육기관경영" 창지사 2008

      7 지성애, "영유아 보육시설장과 교사의 전문적 자질에 관한 조사 연구" 27 : 138-168, 2001

      8 "부산보육정보센터"

      9 "부산광역시교육청"

      10 최애경, "보육학개론" 파란마음 2010

      11 표갑수, "보육인력의 수급 적절성 및 전문성에 대한 평가. 보육시설확충 3개년 계획 평가에 관한 연구"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8

      12 표갑수, "보육인력(시설장 및 보육교사)의 자격제도 및 전문성 유지환경에 대한 평가" 17 : 57-96, 1999

      13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시설종사자: 자격검증편람" 보건복지가족부 2009

      14 이경희, "보육시설장의 전문성과 보육서비스 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행정·자치대학원 2008

      15 지성애, "보육시설장의 자격 강화와 전문성 확장을 위한 대안 모색" 한국영유아보육학회 61 (61): 63-88, 2010

      16 지성애, "보육시설장과 보육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질적 평가" 17 : 27-55, 1999

      17 서문희, "보육서비스 질 향상 방안: 가정보육시설과 보육인력 자격 관리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

      18 김형식, "보육교사 자격증 취득을 위한 교육에 나타난 문제점" 7 : 39-57, 1996

      19 정민자, "보육교사 교육훈련과목의 적정성 검토 및 개편 방향" 3 : 81-109, 1995

      20 문미옥, "교육과 보육을 위한 영유아교육과정" 창지사 2009

      21 Bloom, P. J., "The effect of leadership training on child care program quality" 7 : 579-594, 1992

      22 Bredekamp, S. R., "Regulating child care quality: Evidence from NAEYC's accreditation system" NAEYC 1989

      23 교육과학기술부, "OECD 영유아 교육·보육정책Ⅱ" 교육과학기술부 2008

      24 Kagan, S., "Leadership in early care and education: Issue and challenges. in: Leadership" NAEYC 3-14, 1997

      25 Sciarra, D. J., "Leaders Supervisors in Child Care Programs" Delmar Pub.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4-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For Children`S Media -> Korean Association for Children’s Media & Education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al of Children's Media -> Journal of Children’s Media &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 1.6 1.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6 1.85 2.25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