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설화를 활용한 문학치료 연구 : -초등학교 고학년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능력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the Interpersonal Stress and Stress Coping Ability Utilizing Folktales - Focusing on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0576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A Case Study on the Interpersonal Stress and Stress Coping Ability Utilizing Folktales
      - Focusing on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Noh, Myeong Eun


      Graduate Program in Educational Method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Gwangju, Korea


      (Advisor: Choi, Won Oh, PH. 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duce interpersonal stress and cope with stress in elementary school senior students. Unlike the previous studies on bibliotheraphy utilizing modern literature, this study utilizes folktales. In this study, pre- and post-test instruments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with interpersonal stress test (Kim Ji-hye, 2010) and stress coping behavior test (Park, Jin-a, 2001). Pre- and post-test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t-test. To select 10 students with high stress and low stress coping. a total of 122 elementary fifth-grade students carried out pre-test. Of the 10 selected students, 5 students were plac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5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so as to determine whether bibliotheraphy utilizing folktales is effective. As a result of the study, not only did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bibliotheraphy program utilizing the folktales show a significant decrease in interpersonal stres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the bibliotheraphy was also effective in improving coping ability. At last, the ability to cope with aggressive and socially supportive behaviors improved to a significant level, while the ability to cope with passive, avoidant, and offensive behaviors decreased to a significant level.
      Through this study,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bibliotheraphy utilizing folktales is a valuable tool to help elementary school senior students express honest and truthfulness. Furthermore, this study could be meaningful in that, as distinct from the previous studies, it focused on the literary value of folktales.
      번역하기

      ABSTRACT A Case Study on the Interpersonal Stress and Stress Coping Ability Utilizing Folktales - Focusing on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Noh, Myeong Eun Graduate Program in Educational Method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wangju...

      ABSTRACT


      A Case Study on the Interpersonal Stress and Stress Coping Ability Utilizing Folktales
      - Focusing on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Noh, Myeong Eun


      Graduate Program in Educational Method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Gwangju, Korea


      (Advisor: Choi, Won Oh, PH. 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duce interpersonal stress and cope with stress in elementary school senior students. Unlike the previous studies on bibliotheraphy utilizing modern literature, this study utilizes folktales. In this study, pre- and post-test instruments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with interpersonal stress test (Kim Ji-hye, 2010) and stress coping behavior test (Park, Jin-a, 2001). Pre- and post-test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t-test. To select 10 students with high stress and low stress coping. a total of 122 elementary fifth-grade students carried out pre-test. Of the 10 selected students, 5 students were plac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5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so as to determine whether bibliotheraphy utilizing folktales is effective. As a result of the study, not only did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bibliotheraphy program utilizing the folktales show a significant decrease in interpersonal stres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the bibliotheraphy was also effective in improving coping ability. At last, the ability to cope with aggressive and socially supportive behaviors improved to a significant level, while the ability to cope with passive, avoidant, and offensive behaviors decreased to a significant level.
      Through this study,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bibliotheraphy utilizing folktales is a valuable tool to help elementary school senior students express honest and truthfulness. Furthermore, this study could be meaningful in that, as distinct from the previous studies, it focused on the literary value of folktal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초록


      설화를 활용한 문학치료 연구
      -초등학교 고학년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능력을 중심으로-


      노 명 은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국어교육 전공


      (지도교수 최 원 오)


      초등학교 고학년은 발달단계상 대인관계(부모, 형제·자매, 친구)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으며 또한 이로 인해 발생하는 대인관계 스트레스를 적절히 대처하는 능력이 부족하다. 연구자는 이러한 대인관계로 인한 스트레스를 문학치료를 통해 감소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동안의 문학치료는 현대문학을 중심으로 한 연구가 많았다. 하지만 본 연구는 설화가 가지고 있는 문학치료 자료로서 갖고 있는 가치에 주목하여 초등학교 고학년의 대인관계 스트레스 감소와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에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설화를 활용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유의미한 수준으로 감소할 것이다.
      <가설 2> 설화를 활용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을 것이다.
      <가설 2-1> 설화를 활용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적극적, 사회지지추구적 스트레스 대처능력이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할 것이다.
      <가설 2-2> 설화를 활용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소극․회피적, 공격적 스트레스 대처능력이 유의미한 수준으로 감소할 것이다.

      광주광역시 북구 ○○초등학교 5학년에 재학 중이 122명을 대상으로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관한 사전검사결과를 하였고,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높은 스트레스를 갖고 있고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정도가 낮은 학생 10명을 선발하여 5명을 실험집단에 나머지 5명을 통제집단에 배치하였다. 2017년 4월 3일부터 6월 7일까지 총 8회에 걸쳐 세 영역(부모, 형제·자매, 친구)으로 나누어 설화를 활용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사전, 사후 연구도구는 대인관계 스트레스 검사(김지혜, 2010)와 스트레스 대처행동 검사(박진아, 2001)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사전, 사후검사 결과는 t-검증을 통해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 결과 설화를 활용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유의미한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에도 효과가 있었다. 적극적, 사회지지 추구적 대처능력이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하였고 반대로 소극·회피적, 공격적 대처능력은 유의미한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문학치료 과정에서 초반에는 설화 속 인물에 대한 호감도를 단순히 착해서, 나쁘기 때문에 등. 타당성이 부족한 답변으로 자신의 생각을 표현했던 내담자들이 문학치료가 진행될수록 자신의 생각을 까닭과 함께 논리적으로 말하였다. 특히 설화 속 인물에 감정이입이 되어 자신의 경험과 관련지어 대인관계에서 겪고 있는 스트레스 양상을 비교적 솔직하게 말하였다. 대인관계 스트레스 척도 검사에서는 확인할 수 없었던 내담자들의 자기서사를 설화를 통한 문학치료 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문학치료 전 바람직한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대해 물었을 때 교과서적인 답변으로 대화로 상대를 배려하여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답하였다. 하지만 문학치료 과정에서 대인관계 스트레스 상황에서 내가 설화 속 인물이라면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에 대해 물었을 때 바람직한 대처행동에 대해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복수를 할 것이라고 대답하는 내담자도 있었다. 문학치료를 통해 내담자의 진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설화를 활용한 문학치료 과정에서 대인관계 스트레스 상황에서 바람직한 대처능력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아도 설화 속 인물이 겪게 되는 권선징악적 결말을 통해 내담자가 스스로 상대를 배려하는 대인관계 능력이 필요함을 느끼게 되었다. 그리고 문학치료를 통해서 내담자들과 설화 속 인물의 대한 다양한 입장을 듣고 미처 생각하지 못한 관점에 대해 관심을 갖고 설화 속 인물에 대한 호감도가 바뀐 내담자도 있었다.
      초등학교 고학년의 발달단계 특성상 부모, 친구, 형제·자매 등 대인관계에 영향을 많이 받는 시기이다. 또한 사춘기에 진입하는 시기로 스트레스 상황에서 자신의 고민을 솔직하게 표현하지 못하여 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높다. 스트레스 대처능력에서도 감정적, 소극·회피적, 공격적인 양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문학치료는 이러한 초등학교 고학년의 발달단계 특성상 내담자가 자기서사를 솔직하고 진솔하게 표현할 수 있는 도구로서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지금까지 문학치료 연구는 시, 그림책, 동화 등 현대문학을 대상으로 한 문학치료 연구가 많았다. 하지만 본 연구는 설화만이 갖고 있는 문학적 가치에 주목하여 초등학생의 대인관계 스트레스 감소 및 대처능력에 주목한 문학치료 연구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주요어 : 문학치료, 설화, 자기서사, 대인관계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행동
      번역하기

      국문초록 설화를 활용한 문학치료 연구 -초등학교 고학년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능력을 중심으로- 노 명 은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국어교육 전공 (지도교수 ...

      국문초록


      설화를 활용한 문학치료 연구
      -초등학교 고학년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능력을 중심으로-


      노 명 은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국어교육 전공


      (지도교수 최 원 오)


      초등학교 고학년은 발달단계상 대인관계(부모, 형제·자매, 친구)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으며 또한 이로 인해 발생하는 대인관계 스트레스를 적절히 대처하는 능력이 부족하다. 연구자는 이러한 대인관계로 인한 스트레스를 문학치료를 통해 감소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동안의 문학치료는 현대문학을 중심으로 한 연구가 많았다. 하지만 본 연구는 설화가 가지고 있는 문학치료 자료로서 갖고 있는 가치에 주목하여 초등학교 고학년의 대인관계 스트레스 감소와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에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설화를 활용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유의미한 수준으로 감소할 것이다.
      <가설 2> 설화를 활용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을 것이다.
      <가설 2-1> 설화를 활용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적극적, 사회지지추구적 스트레스 대처능력이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할 것이다.
      <가설 2-2> 설화를 활용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소극․회피적, 공격적 스트레스 대처능력이 유의미한 수준으로 감소할 것이다.

      광주광역시 북구 ○○초등학교 5학년에 재학 중이 122명을 대상으로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관한 사전검사결과를 하였고,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높은 스트레스를 갖고 있고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정도가 낮은 학생 10명을 선발하여 5명을 실험집단에 나머지 5명을 통제집단에 배치하였다. 2017년 4월 3일부터 6월 7일까지 총 8회에 걸쳐 세 영역(부모, 형제·자매, 친구)으로 나누어 설화를 활용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사전, 사후 연구도구는 대인관계 스트레스 검사(김지혜, 2010)와 스트레스 대처행동 검사(박진아, 2001)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사전, 사후검사 결과는 t-검증을 통해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 결과 설화를 활용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유의미한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에도 효과가 있었다. 적극적, 사회지지 추구적 대처능력이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하였고 반대로 소극·회피적, 공격적 대처능력은 유의미한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문학치료 과정에서 초반에는 설화 속 인물에 대한 호감도를 단순히 착해서, 나쁘기 때문에 등. 타당성이 부족한 답변으로 자신의 생각을 표현했던 내담자들이 문학치료가 진행될수록 자신의 생각을 까닭과 함께 논리적으로 말하였다. 특히 설화 속 인물에 감정이입이 되어 자신의 경험과 관련지어 대인관계에서 겪고 있는 스트레스 양상을 비교적 솔직하게 말하였다. 대인관계 스트레스 척도 검사에서는 확인할 수 없었던 내담자들의 자기서사를 설화를 통한 문학치료 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문학치료 전 바람직한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대해 물었을 때 교과서적인 답변으로 대화로 상대를 배려하여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답하였다. 하지만 문학치료 과정에서 대인관계 스트레스 상황에서 내가 설화 속 인물이라면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에 대해 물었을 때 바람직한 대처행동에 대해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복수를 할 것이라고 대답하는 내담자도 있었다. 문학치료를 통해 내담자의 진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설화를 활용한 문학치료 과정에서 대인관계 스트레스 상황에서 바람직한 대처능력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아도 설화 속 인물이 겪게 되는 권선징악적 결말을 통해 내담자가 스스로 상대를 배려하는 대인관계 능력이 필요함을 느끼게 되었다. 그리고 문학치료를 통해서 내담자들과 설화 속 인물의 대한 다양한 입장을 듣고 미처 생각하지 못한 관점에 대해 관심을 갖고 설화 속 인물에 대한 호감도가 바뀐 내담자도 있었다.
      초등학교 고학년의 발달단계 특성상 부모, 친구, 형제·자매 등 대인관계에 영향을 많이 받는 시기이다. 또한 사춘기에 진입하는 시기로 스트레스 상황에서 자신의 고민을 솔직하게 표현하지 못하여 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높다. 스트레스 대처능력에서도 감정적, 소극·회피적, 공격적인 양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문학치료는 이러한 초등학교 고학년의 발달단계 특성상 내담자가 자기서사를 솔직하고 진솔하게 표현할 수 있는 도구로서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지금까지 문학치료 연구는 시, 그림책, 동화 등 현대문학을 대상으로 한 문학치료 연구가 많았다. 하지만 본 연구는 설화만이 갖고 있는 문학적 가치에 주목하여 초등학생의 대인관계 스트레스 감소 및 대처능력에 주목한 문학치료 연구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주요어 : 문학치료, 설화, 자기서사, 대인관계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행동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4
      • 2. 연구문제 및 가설 4
      • 목 차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4
      • 2. 연구문제 및 가설 4
      • 3. 선행연구 검토 5
      • Ⅱ. 이론적 배경 12
      • 1. 스트레스와 문학치료 12
      • 2. 스트레스 14
      • 가. 스트레스의 개념 14
      • 나. 아동의 대인관계 스트레스 요인 15
      • 다. 스트레스 대처와 중재효과 16
      • 라.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 19
      • 3. 문학치료 23
      • 가. 문학치료의 개념 23
      • 나. 문학치료의 원리 24
      • 다. 문학치료의 목적 26
      • 라. 문학치료의 단계 27
      • 마. 설화를 활용한 문학치료 29
      • Ⅲ. 연구 방법 32
      • 1. 연구 대상 32
      • 2. 연구 설계 35
      • 3. 연구 도구 35
      • 4. 연구 절차 39
      • 5. 설화를 활용한 문학치료 프로그램 40
      • 6. 자료 처리 65
      • Ⅳ. 연구 내용 및 분석 67
      • 1. 설화를 활용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대인관계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67
      • 2. 설화를 활용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미치는 효과 69
      • 3. 내담자의 문학치료 결과 분석 71
      • 가. 내담자A 71
      • 나. 내담자B 76
      • 다. 내담자C 82
      • 라. 내담자D 84
      • 마. 내담자E 89
      • 4. 설화를 활용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의 의의와 활용전망 95
      • Ⅴ. 결론 98
      • 참고문헌 102
      • ABSTRACT 105
      • 부록 1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