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이 교사역할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문제행동 지도전략의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을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지역 내 보육시설에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913283
서울 :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21
학위논문(석사) --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유아보육전공 , 2021. 8
2021
한국어
361-B 판사항(22)
서울
The Effects of Childcare Efficacy of Daycare Teachers on Their Performing Abilities : The moderating effects of guidance strategies for problematic behavior
vii, 109 p. : 삽화 ; 26 cm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이영글
참고문헌: p. 83-97
I804:11006-20000050162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이 교사역할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문제행동 지도전략의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을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지역 내 보육시설에서 ...
이 연구는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이 교사역할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문제행동 지도전략의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을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지역 내 보육시설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 32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지를 통해 최종적으로 257부를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방법은 SPSS 26.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처리하였으며,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 문제행동 지도전략, 교사역할 수행능력의 내적 일관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였다. 보육교사의 개인배경변인(연령, 학력, 자격취득경로, 근무경력, 담당반연령, 근무기관유형, 자녀양육경험)을 분석하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독립변수인 교사의 보육효능감, 조절변수인 문제행동 지도전략, 종속변수인 교사역할 수행능력의 수준을 분석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보육교사의 개인배경변인(연령, 학력, 자격취득경로, 근무경력, 담당반연령, 근무기관유형, 자녀양육경험)에 따른 교사역할 수행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test) 및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 문제행동 지도전략, 교사역할 수행능력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 상관계수를 산출하여 변수간의 상관성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는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이 교사역할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한 문제행동 지도전략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호작용항을 포함하는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개인배경변인에 따른 교사역할 수행능력은 어린이집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은 교사역할 수행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이 교사역할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문제행동 지도전략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문제행동 지도전략의 하위요인에 따라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보육효능감 및 문제행동 지도전략과 관련된 선행연구가 적게 이뤄졌거나 찾아보기 어려운 상황에서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과 교사역할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문제행동 지도전략의 조절효과를 분석해보는 연구를 한 것에 의의가 있다. 보육현장에서 교사들의 내적 변인인 보육효능감의 수준에따라 교사가 계획한 보육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는 교사역할 수행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문제행동을 하는 영유아에게 긍정적 예방전략과 긍정적 반응전략을 문제행동 지도전략으로 적절히 사용하는 교사일수록 교사역할 수행능력이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교사역할 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영유아를 지도할 때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인을 검토할 수 있는 실무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초자료가 되고자 기대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