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해양심층수 자원ㆍ환경 관리시스템의 구축방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2527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동해는 지구환경을 가름할 ‘작은 대앙’으로써 주목받고 있으며, 그 변화가 주변국가의 환경과 산업, 생활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따라서, 동해에서 생물생산, 해상운송, 공간...

      동해는 지구환경을 가름할 ‘작은 대앙’으로써 주목받고 있으며, 그 변화가 주변국가의 환경과 산업, 생활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따라서, 동해에서 생물생산, 해상운송, 공간이용 등의 호혜를 누려 왔던 주변국가 주민들은 해양수자원 등의 새로운 이용을 도모함에 있어서 신중하고, 합리적인 방향을 모색해 나가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즉, 해양자원의 지속 가능한 이용을 위한 개발 및 관리의 체계화가 주변 국가들에 의해 이루어져야 할 뿐 아니라 관련 국가간 협력에 의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동해의 개발 및 관리를 위한 관측 및 조사가 많은 산학연 기관에 의해 광역 또는 지역에 대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수중, 해상, 공중에서의 입체적인 관측 조사가 주기적 또는 간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들 자료는 일부 통합 또는 개별적으로 활용되어 환경파악, 진단 및 예측에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한 수단은 대부분 기반 구축부터 운영까지 많은 예산이 요구되어 부족한 실정이며, 대부분 재정 투자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어 한계가 많은 실정이다.
      이로부터 동해 환경의 관측 조사 체계화 및 자료 통합화를 전제로 기존의 동해 환경모니터링 시스템에 추가하여 활용할 수 있는 해양심층수 개발기반의 구축 및 보완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 주변국가간 이를 공유하고 교류하는 시스템 구축을 통해 해양수자원(해양심층수)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ustainable use of ocean resources such as marine livings, transportation, space, seawater etc. is essential objectives for the everlastingness of mankind.. Development to get resources from ocean may have affected natural ecosystem not only posit...

      The sustainable use of ocean resources such as marine livings, transportation, space, seawater etc. is essential objectives for the everlastingness of mankind.. Development to get resources from ocean may have affected natural ecosystem not only positively but also negatively. To minimize harmful effect of ocean development It is required that integrated management of resources and environment based on observation, prediction and mitigation efforts to minimize negative effects to ocean development.
      The East sea has been engaged as 'Mini-Ocean' which can preview the change of Ocean and its affects to global ecosystem. In this point, many observation programs by surrounding nations have been conducted for decades. These observations are done and doing fragmentary by the Eulerian or the Lagrangian methods by many organizations. On the other hand, we use ocean resources from the East Sea to get food, space, water, minerals etc. To utilize these resources could stably be realized by systematic observation and interactive networking of ocean resources and ecosystem environment.
      This study aims to preview the possibility of using development base as management base from the case of deep ocean water application program. Because deep ocean water, as one of the seawater resources, is an industrial resource besides marine environment, we can expand management system through extending development sit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본론
      • 3. 결론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본론
      • 3. 결론
      • 후기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