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보통학교용 언문철자법(1912)"의 성격과 특징 = Characteristics and Features of Uenmun Cheoljabuob For Elementry School in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12년 4월 17일 총독부에서 제정한 언문철자법은 대부분 표음적 표기를 하도록 하고 일본어 50음, 탁음, 장음 등을 표기하는 한글 음절표를 규정하였다. 총독부에서는 일본어 교재인 《速修國...

      1912년 4월 17일 총독부에서 제정한 언문철자법은 대부분 표음적 표기를 하도록 하고 일본어 50음, 탁음, 장음 등을 표기하는 한글 음절표를 규정하였다. 총독부에서는 일본어 교재인 《速修國語讀本》(1915)에서 일본어 문장의 한자음을 후리가나로 표시하여 이 철자법의 한글 음절표를 활용하도록 하였으며 일본어의 한글 대역문에 이 철자법을 철저하게 적용하였다. 1910년대에 총독부에서 간행한 책들 중 《速修國語讀本》만큼 철저하게 이 철자법을 적용한 예는 없었다. 이로 보아 총독부에서 이 철자법을 서둘러 제정한 이유는 한국인에게 일본어를 가르치는 일본어 교재에 한글 음절표를 사용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이와 함께 언문의 철자법도 최소의 범위에서 정비하여 한국어 교재에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osun Chongdokbu(Japanese colonial government) established Uenmun Cheo ljabuob(Hanguel Orthography) on April 17, 1912. Characteristics of the orthography followed phonetic representation, and set up Hanguel Tables for Japanese basic syllables, Japane...

      Chosun Chongdokbu(Japanese colonial government) established Uenmun Cheo ljabuob(Hanguel Orthography) on April 17, 1912. Characteristics of the orthography followed phonetic representation, and set up Hanguel Tables for Japanese basic syllables, Japanese voiced sounds, Japanese long sounds in accordance with custom. The orthography first applied Soksugukeodokbon 《速修國語讀本》(1915), the Japanese textbook, published by Chosun chongdokbu. Hanguel Table For Japanese was used for corresponding Japanese syllable by Furigana, Japanese reading aid for kanji according to the orthography, and the orthography was applied rigorously to Japanese-Korean translation. It was one of the editions which had thoroughly applied the orthography among the books were published by Chosun chongdokbu since then. In this respect, it is assumed that the hurried establishment of the orthography was to apply to the Japanese textbook and to teach Japanese to Korean, and the organization of the Uenmun Cheoljabuob for the Korean textbook was a secondary purpos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주필, "한글 맞춤법 원칙의 특성과 의미" 국민대 어문학연구소 24 : 2005

      2 송철의, "한국 근대 초기의 어문운동과 어문정책"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3) : 1-36, 2004

      3 박기영, "최명옥 선생 정년 퇴임 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169-188, 2010

      4 권영민, "조선총독부의 <조선어조사회의 의사록> 발췌 공개" 293-307, 2005

      5 권영민, "조선총독부의 <조선어조사회의 의사록> 문서 공개" 178-189, 2004

      6 신창순, "조선총독부 언문철자법의 전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 : 1997

      7 김주필, "조선총독부 언문철자법과 통일안 맞춤법과의 비교 고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5 : 1997

      8 김윤경, "조선문자급어학사" 조선기념도서출판관 1946

      9 윤석민, "일제시대 어문규범 정리과정에서 나타난 수용과 변천의 양상 -<언문철자법>과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회 (55) : 51-72, 2005

      10 정승철, "일제강점기의 언어 정책 - ‘언문철자법’을 중심으로 -" 진단학회 (100) : 221-262, 2005

      1 김주필, "한글 맞춤법 원칙의 특성과 의미" 국민대 어문학연구소 24 : 2005

      2 송철의, "한국 근대 초기의 어문운동과 어문정책"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3) : 1-36, 2004

      3 박기영, "최명옥 선생 정년 퇴임 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169-188, 2010

      4 권영민, "조선총독부의 <조선어조사회의 의사록> 발췌 공개" 293-307, 2005

      5 권영민, "조선총독부의 <조선어조사회의 의사록> 문서 공개" 178-189, 2004

      6 신창순, "조선총독부 언문철자법의 전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 : 1997

      7 김주필, "조선총독부 언문철자법과 통일안 맞춤법과의 비교 고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5 : 1997

      8 김윤경, "조선문자급어학사" 조선기념도서출판관 1946

      9 윤석민, "일제시대 어문규범 정리과정에서 나타난 수용과 변천의 양상 -<언문철자법>과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회 (55) : 51-72, 2005

      10 정승철, "일제강점기의 언어 정책 - ‘언문철자법’을 중심으로 -" 진단학회 (100) : 221-262, 2005

      11 허재영, "일본인을 대상으로 한 조선어교육자료 4, 조선어 급 회화서" 도서출판 역락 1-10, 2011

      12 정선태, "일본어의 근대" 소명출판

      13 김주필, "음운변화와 표기의 대응 관계" 국어학회 32 : 49-76, 1998

      14 미쓰이 다카시, "식민지하 조선에서의 언어 지배구조: 조선어 규범화 문제를 중심으로" 히토쓰바시대학 2002

      15 김주필, "국어 표기사에 있어서 역사성의 인식"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28 (28): 397-425, 1992

      16 이기문, "국어 표기법의 역사적 연구" 한국연구원 1963

      17 이익섭, "국어 표기법 연구" 서울대 출판부 1986

      18 민현식, "국어 정서법 연구" 태학사 1999

      19 김주필, "구개음화에 대한 통시론적 연구" 서울대국어연구회 (68) : 1985

      20 이기문, "개화기의 국문 연구" 일조각 1970

      21 강신항, "개정판 국어학사" 보성문화사 2001

      22 小倉進平, "朝鮮語學史" 대판옥호서점 1920

      23 大澤廣紀, "朝鮮總督府による<朝鮮語>敎育 ---第一次, 第二次 朝鮮敎育令下の普通學校を中心に" 19 : 1-15, 2009

      24 大槻芳廣, "文敎の朝鮮" 222-, 1944

      25 小倉進平, "增訂 朝鮮語學史" 刀江書院 1940

      26 이병근, "『조선어사전』의 편찬 목적과 그 경위" 59 : 1985

      27 이상혁, "『보통학교 조선어급한문독본』(1915)권1과 <언문철자법>(1912) -조선어 학습 방침과 규범 통제를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46) : 141-166,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0.9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2 1.76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