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베네딕도회 덕원 수도원의 배치와 건축 양식 추적 = A Tracing of the Site Planning and Architecture of Deokwon Abbey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460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Benedictine Abbey at Deokwon(Wonsan in Hamgyeongnam-do) was the second monastery of St. Ottilien Abbey in Korea. It has been being evaluated as successful model of Missions, Monastic life and Architecture in the Benedictine Missionary monasteries. But it was heavily damaged during the Korean war and the site has been changed by using as Wonsan Agricultural University. So we can not know how it keeps the original shape, and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the accurate site planning, scale and architectural style of the monastery.
      Recently the accurate picture material and document was found, and new research on the abbey was studied. So I can get into close with the original site planning and architectural style.
      In this study, I tried to conjecture the original form of the old Deokwon abbey(the location, arrangement, size, architectural style). I have drawn those by CA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Deokwon Abbey which was built by the model of ‘Hirsau Abbey’ was the center of pastoral ministry for the Apostolic Vicariate of Wonsan, and a small city which was equipped with church, seminary, accommodation, garden grove, barn, carpenter shop, ironworks, print shop, mill etc.
      Second, The buildings of the Deokwon Abbey were the typical Romanesque buildings comparing with the Gothic buildings which were built by the initiative of the French missionaries. And it was a functional layout and spatial configuration.
      Third, The Culture Factors that could leave a large footprint in the arts and culture were those the Benedictine missionaries which inherited the tradition of the Beuron Abbey have not experienced persecution, and researched Korean traditional culture. Also there were many scholars and experts among them.
      Fourth, The Deokwon Abbey building (including church) was 4-story building(total floor area : 4,854.45m2), and the seminary was 3-story building of the H-plane(total floor area : 2,720m2).
      번역하기

      The Benedictine Abbey at Deokwon(Wonsan in Hamgyeongnam-do) was the second monastery of St. Ottilien Abbey in Korea. It has been being evaluated as successful model of Missions, Monastic life and Architecture in the Benedictine Missionary monasteries....

      The Benedictine Abbey at Deokwon(Wonsan in Hamgyeongnam-do) was the second monastery of St. Ottilien Abbey in Korea. It has been being evaluated as successful model of Missions, Monastic life and Architecture in the Benedictine Missionary monasteries. But it was heavily damaged during the Korean war and the site has been changed by using as Wonsan Agricultural University. So we can not know how it keeps the original shape, and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the accurate site planning, scale and architectural style of the monastery.
      Recently the accurate picture material and document was found, and new research on the abbey was studied. So I can get into close with the original site planning and architectural style.
      In this study, I tried to conjecture the original form of the old Deokwon abbey(the location, arrangement, size, architectural style). I have drawn those by CA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Deokwon Abbey which was built by the model of ‘Hirsau Abbey’ was the center of pastoral ministry for the Apostolic Vicariate of Wonsan, and a small city which was equipped with church, seminary, accommodation, garden grove, barn, carpenter shop, ironworks, print shop, mill etc.
      Second, The buildings of the Deokwon Abbey were the typical Romanesque buildings comparing with the Gothic buildings which were built by the initiative of the French missionaries. And it was a functional layout and spatial configuration.
      Third, The Culture Factors that could leave a large footprint in the arts and culture were those the Benedictine missionaries which inherited the tradition of the Beuron Abbey have not experienced persecution, and researched Korean traditional culture. Also there were many scholars and experts among them.
      Fourth, The Deokwon Abbey building (including church) was 4-story building(total floor area : 4,854.45m2), and the seminary was 3-story building of the H-plane(total floor area : 2,720m2).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에 진출한 상트 오틸리엔 연합회의 두 번째 한국 내 수도원인 덕원수도원은 성 베네딕도회의 선교 수도원 중에서도 성공적인 모델로 평가되고, 건축적으로도 가장 완성도가 높았던 수도원이다. 그러나 한국 전쟁 때 파괴되었으나, 일부 복구하고 여러 시설을 증축하여 원산농업대학으로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사진과 문헌 자료의 분석을 통해 1930년대 함경남도 원산에 있었던 덕원 수도원의 배치와 건축 양식을 추적한 것으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세 독일의 히르사우 수도원을 모델로 하여 지어진 덕원 수도원은 수도원과 신학교뿐만 아니라 채소밭과 과수원, 축사 등을 갖춘 농장과 목공소, 철공소, 제화소, 인쇄소, 방앗간 등의 작업장을 두루 갖춘 하나의 작은 도시로 원산대목구의 사목과 수도 생활, 문화의 중심지가 되었다.
      둘째, 덕원 수도원은 당시 프랑스 파리 외방전교회 신부들의 주도로 우리나라에 지어진 대부분의 성당처럼 고딕 양식의 건물이 아니라, 로마네스크 양식의 건물이면서 매우 기능적인 배치와 공간 구성을 하였다.
      셋째, 문화 ․ 예술 분야에서 커다란 족적을 남길 수 있었던 요인은 한국에 진출한 수도회가 ‘안으로는 수도승, 밖으로는 선교사’라는 이상을 표방하며 보이론의 전통을 계승한 상트 오틸리엔 베네딕도회였다는 점과 베네딕도회는 한국 전통문화를 깊이 연구하였으며 선교사 중에 학자와 전문가가 많았고, 또 한국을 학문적으로 연구할 시간과 방법을 갖추고 있었다는 점이다.
      넷째, 덕원 수도원(성당 포함)은 25m×22m의 중정을 ㅁ자 형태로 둘러싼 가로 53m, 세로 54.5m의 4층 건물로 연면적 4,854.45m2(1,468.5평) 이며, 신학교는 가로 45m, 세로 35.5m의 H자 평면의 3층 건물로 연면적 2,720m2(850평)로 추정되었다.
      번역하기

      한국에 진출한 상트 오틸리엔 연합회의 두 번째 한국 내 수도원인 덕원수도원은 성 베네딕도회의 선교 수도원 중에서도 성공적인 모델로 평가되고, 건축적으로도 가장 완성도가 높았던 수...

      한국에 진출한 상트 오틸리엔 연합회의 두 번째 한국 내 수도원인 덕원수도원은 성 베네딕도회의 선교 수도원 중에서도 성공적인 모델로 평가되고, 건축적으로도 가장 완성도가 높았던 수도원이다. 그러나 한국 전쟁 때 파괴되었으나, 일부 복구하고 여러 시설을 증축하여 원산농업대학으로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사진과 문헌 자료의 분석을 통해 1930년대 함경남도 원산에 있었던 덕원 수도원의 배치와 건축 양식을 추적한 것으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세 독일의 히르사우 수도원을 모델로 하여 지어진 덕원 수도원은 수도원과 신학교뿐만 아니라 채소밭과 과수원, 축사 등을 갖춘 농장과 목공소, 철공소, 제화소, 인쇄소, 방앗간 등의 작업장을 두루 갖춘 하나의 작은 도시로 원산대목구의 사목과 수도 생활, 문화의 중심지가 되었다.
      둘째, 덕원 수도원은 당시 프랑스 파리 외방전교회 신부들의 주도로 우리나라에 지어진 대부분의 성당처럼 고딕 양식의 건물이 아니라, 로마네스크 양식의 건물이면서 매우 기능적인 배치와 공간 구성을 하였다.
      셋째, 문화 ․ 예술 분야에서 커다란 족적을 남길 수 있었던 요인은 한국에 진출한 수도회가 ‘안으로는 수도승, 밖으로는 선교사’라는 이상을 표방하며 보이론의 전통을 계승한 상트 오틸리엔 베네딕도회였다는 점과 베네딕도회는 한국 전통문화를 깊이 연구하였으며 선교사 중에 학자와 전문가가 많았고, 또 한국을 학문적으로 연구할 시간과 방법을 갖추고 있었다는 점이다.
      넷째, 덕원 수도원(성당 포함)은 25m×22m의 중정을 ㅁ자 형태로 둘러싼 가로 53m, 세로 54.5m의 4층 건물로 연면적 4,854.45m2(1,468.5평) 이며, 신학교는 가로 45m, 세로 35.5m의 H자 평면의 3층 건물로 연면적 2,720m2(850평)로 추정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 쁠라치도, "한국에서의 초기 베네딕도회의 선교방침" 한국교회사연구소 I : 1984

      2 최석우, "한국교회사의 탐구 II" 한국교회사연구소 1991

      3 "한국가톨릭대사전" 한국교회사연구소

      4 장정란, "한국 근현대 100년 속의 가톨릭교회" 가톨릭출판사 2003

      5 김정신, "천주교의 수용이 한국 근대 건축의 발전에 미친 영향" (재)한국교회사연구소 (26) : 195-216, 2006

      6 왜관 성 마오로 쁠라치도 수도원, "옛 등걸에 새 순이" 분도출판사 1985

      7 "성 베네딕도회 왜관 수도원 인터넷 홈페이지"

      8 임석재, "서양건축사 3" 북하우스 2006

      9 "상트 오틸리엔 문서"

      10 요하네스 마르, "분도통사" 분도출판사 2009

      1 백 쁠라치도, "한국에서의 초기 베네딕도회의 선교방침" 한국교회사연구소 I : 1984

      2 최석우, "한국교회사의 탐구 II" 한국교회사연구소 1991

      3 "한국가톨릭대사전" 한국교회사연구소

      4 장정란, "한국 근현대 100년 속의 가톨릭교회" 가톨릭출판사 2003

      5 김정신, "천주교의 수용이 한국 근대 건축의 발전에 미친 영향" (재)한국교회사연구소 (26) : 195-216, 2006

      6 왜관 성 마오로 쁠라치도 수도원, "옛 등걸에 새 순이" 분도출판사 1985

      7 "성 베네딕도회 왜관 수도원 인터넷 홈페이지"

      8 임석재, "서양건축사 3" 북하우스 2006

      9 "상트 오틸리엔 문서"

      10 요하네스 마르, "분도통사" 분도출판사 2009

      11 서울역사박물관, "동소문별곡"

      12 김정신, "건축가 알빈신부" 분도출판사 2007

      13 선지훈, "‘선교 베네딕도회’의 한국 진출과 선교활동― 일제시대 한국과 만주에서의 활동을 중심으로 ―" (재)한국교회사연구소 (29) : 61-96, 2007

      14 Ehrenfried Kluckert, "Romanesque" könemann 2004

      15 Adelhard Kaspar, "HWAN GAB" Münsterschwarzach 1973

      16 Jean-Franc, ois Leroux-Dhuys, "Cistercian Abbeys" könemann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39 1.107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