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fard의 구상화(Reification) 이론에 근거한 중·고등학생의 이차방정식 근의 공식 개념 형성 수준 분석 = An analysis on the secondary students’ conceptualization level of the formula of quadratic equation based on Sfard's reification the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813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we applied Sfard's reification theory to analyze the secondary students’ level of conceptualization with regard to the formula of quadratic equation. Through the generation and development of mathematical concepts from a historical pe...

      In this paper, we applied Sfard's reification theory to analyze the secondary students’ level of conceptualization with regard to the formula of quadratic equation. Through the generation and development of mathematical concepts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Sfard classified the formulation process into three stages of interiorization, condensation, and reification, and proposed levels of formulation. Based on this theory, we constructed a test tool reflecting the reversibility of the nature of manipulation of Piaget’s theory as a criterion of content judgement in order to grasp students’ conceptualization level of the formula of quadratic equation. By applying this tool, we analyzed the conceptualization level of the formula of quadratic equation of the 9<sup>th</sup> and 10<sup>th</sup> grader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pproximately 45% of 9<sup>th</sup> graders can not memorize the formula of quadratic equation, or even if they memorize, they do not have the ability of accurate calculation to apply for it. Second, high school curriculum requires for students to use the formula of the quadratic equation, but about 60% of 10<sup>th</sup> graders have not reached at the level of reification that they can use the formula of quadratic equation. Third, as a result of imaginarily correcting the error of the previous concept, there was a change in the levels of 9<sup>th</sup> graders, and there was no change in 10<sup>th</sup> grad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새샘, "학습 위계성에 따른 수학학습 부진아 지도방안" 부산대학교 2015

      2 이정미,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이차방정식에 관한 문장제 해결과정 및 해결력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 서현정,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이차방정식 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구조감각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4 김경자, "이차방정식의 지도방안에 관한 연구 : 중학교 수학교과 중심으로"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5 정은실, "수학적 개념 형성 과정과 그 지도" 27 : 95-110, 2001

      6 유윤재, "수학교육으로 초대" 10101 2012

      7 우정호, "수학 학습–지도 원리와 방법"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8 오국환, "무리수 단원에 대한 교과서 분석 연구: 과정과 대상의 관점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 56 (56): 131-145, 2017

      9 Goodson-Espy, T., "The roles of reification and reflective abstraction in the development of abstract thought : transitions from arithmetic to algebra" 36 : 219-245, 1998

      10 Cifarelli, V. V., "The role of abstraction as a learning process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Purdue University 1988

      1 이새샘, "학습 위계성에 따른 수학학습 부진아 지도방안" 부산대학교 2015

      2 이정미,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이차방정식에 관한 문장제 해결과정 및 해결력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 서현정,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이차방정식 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구조감각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4 김경자, "이차방정식의 지도방안에 관한 연구 : 중학교 수학교과 중심으로"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5 정은실, "수학적 개념 형성 과정과 그 지도" 27 : 95-110, 2001

      6 유윤재, "수학교육으로 초대" 10101 2012

      7 우정호, "수학 학습–지도 원리와 방법"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8 오국환, "무리수 단원에 대한 교과서 분석 연구: 과정과 대상의 관점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 56 (56): 131-145, 2017

      9 Goodson-Espy, T., "The roles of reification and reflective abstraction in the development of abstract thought : transitions from arithmetic to algebra" 36 : 219-245, 1998

      10 Cifarelli, V. V., "The role of abstraction as a learning process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Purdue University 1988

      11 Zerpa, L., "The reification of mathematical notions in mathematics education : A four-stage model of concept development,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24 (24): 1-14, 2016

      12 Sfard, A., "The gains and the pitfalls of reification-the case of algebra" 26 (26): 191-228, 1994

      13 Dubinsky, E.,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at University Level" Springer 275-282, 2001

      14 Hoch, M., "Structure sense in high school algebra: The effect of brackets" 3 : 49-56, 2004

      15 Wille, A. M., "Steps towards structural conception of the notion of variable" 6 : 659-668, 2009

      16 Bergen, Norway,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경문사 2007

      17 Sfard, A., "Operational origins of mathematical objects and the quandary of reification—the case of function. the conception of function" 59-84, 1992

      18 Sfard, A., "On the dual nature of mathematical conceptions : reflections on processes and objects as different sides of the same coin" 22 (22): 1-36, 1991

      19 Piaget, J., "Genetic epistemology" George J. Mcleod Limited 1971

      20 Hamlyn, D. W., "Experience and the growth of understanding" 교육과학사 2010

      21 Sfard, A., "Between arithmetic and algebra: in the search of a missing link the case of equations and inequalities, Rend" 52 (52): 279-307, 19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2 0.82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5 0.96 1.191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