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도로 선형별 미끄럼 저항 특성 연구(Ⅰ)  :  (A Study of Skid Resistance on Geometric Design for Highway Pavement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247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skid resistance of the pavement may be decreased due to worn of texture or separate of aggregates on surface because repeat traffic load and action weather for desigr period. It is managing to maintain adequate value at maintenance and management le...

      A skid resistance of the pavement may be decreased due to worn of texture or separate of aggregates on surface because repeat traffic load and action weather for desigr period. It is managing to maintain adequate value at maintenance and management level, prevent minimum value when it is down less than considered minimum value at fist design ste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applying domestic reviewed skid resistance of the pavements when geometric design and maintenance of the highway are performed. A design parameter of the geometric of highway in Korea was compared to review different another countries through literatures and papers. A parameter of skid resistance of the pavement may be necessary to need standardization when geometric of highway is designed to apply longitudinal skid resistance of the pavement in Korea because different design geometric of the pavement another countries. The skid testing was performed to analysis of surface condition of pavement using the ASTM E274 standard skid tester at new construction highway and old highway. The testing method for skid resistance of the pavements was reviewed to increase skid resistance of the pavement through increased skid resistance factor and adequate design geometric of the highwa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used higher value in Korea compared to European countries for skid resistance parameter of geometric design of highway. The geometric design standard in Korea is very similar in the United State. If using higher value of geometric design factor of the highway may be have spent many of construction cost. The parameter value of geometric design of highway in korea will be has to need adequate standardization for applying road. The skid resistance testing was performed on some highway section. The new construction pavement has higher value more than considered minimum value when first geometric design step of highway had skid resistance value. In case of the old pavements, the skid resistance value has litter low less than new construction pavement, therefore the old pavements will be necessary systematically and periodically manage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포장은 공용 기간이 경과하면서 교통하중에 의한 표면 마모 또는 탈리현상에 의하여 설계 단계에서 최소 기준으로 설정한 미끄럼 저항 수치보다 낮아질 수 있기 때문에 포장 유지관리 단계...

      포장은 공용 기간이 경과하면서 교통하중에 의한 표면 마모 또는 탈리현상에 의하여 설계 단계에서 최소 기준으로 설정한 미끄럼 저항 수치보다 낮아질 수 있기 때문에 포장 유지관리 단계에서 지속적인 현장 조사를 실시하여 미끄럼 저항 수치를 관리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도로의 기하구조 설계 및 포장 유지관리를 수행할 때 고려되는 포장의 미끄럼 저항 특성을 다각적으로 검토하여 국내 적용성을 개선하는데 있다. 국내ㆍ외에서 실제 적용되고 있는 미끄럼 관련 연구 문헌을 조사하여 우리나라와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도로 기하구조 설계시 정지 시거 산정에 적용되는 종방향 미끄럼 마찰계수(f)에 대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f값을 표준화하고자 한다. 신설 노선과 공용 기간이 경과된 노선을 대상으로 ASTM E274 기준의 미끄럼 조사 장비로 현장 측정을 단계적으로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지형특성에 부합되는 선형설계와 연계하여 f 값 증진을 위한 미끄럼 저항 증진 공법을 연구하고 현장 시험시공을 통하여 공용성을 분석한 후 효과가 좋은 공법을 선정하여 정지 시거 부족구간을 해결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 수행 결과 우리나라는 도로 기하구조 설계의 미끄럼 마찰계수 요소(f)는 미국의 1994 AASHTO 기준과 거의 동일한 수치를 사용하고 있는데, 유럽 국가들과 비교하여 높은 수치를 사용함으로 인하여 도로 기하구조 설계시 많은 비용이 소요될 수 있어 우리나라 도로 실정에 맞는 수치 정립이 요구된다. 일부 노선 현장 조사 결과 신설 콘크리트포장에서는 도로 기하구조 설계단계에서 고려된 미끄럼 저항값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존 교통 개방 포장의 경우 신설구간보다는 낮은 미끄럼 저항 값을 보임을 알 수 있어 체계적이고 주기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표목차
      • 그림목차
      • 요약문
      • ABSTRACT
      • 목차
      • 표목차
      • 그림목차
      • 요약문
      • ABSTRACT
      • 제 1 장 서 론
      • 1.1 연구배경
      • 1.2 연구목적
      • 1.3 연구범위 및 방법
      • 제 2 장 국내 · 외 포장 미끄럼 연구
      • 2.1 국내 연구
      • 2.2 외국의 연구
      • 제 3 장 포장과 미끄럼 상관성
      • 3.1 포장 표면 조직
      • 3.2 강우와 미끄럼 저항성
      • 3.3 도로 기하구조 상관성
      • 3.4 시공 및 표면 복구시 고려사항
      • 제 4 장 포장 상태 조사
      • 4.1 개요
      • 4.2 현장 조사 및 자료분석
      • 4.3 현장 조사 자료 분석 소결
      • 제 5장 노면 미끄럼 저항 조사 및 분석
      • 5.1 개요
      • 5.2 신설구간 미끄럼 저항 특성
      • 5.3 공용 중인 포장 미끄럼 저항 특성
      • 제 6 장 결 론
      • 참고문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