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보편적 학습설계(Universal Design for Learning)의 통합체육의 적용 = Infusing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into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179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synthesize research on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UDL) used in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es. Key words searchers were used to identify articles from electronic databases over 19-year period from 2000 through 2019. Only seven articles met all inclusion criteria, so a few practical articles were also merged for this review due to the implications of UDL. Three thematic categorized emerged, which were; (a) the definition of UDL, (b) the benefits of implementing UDL, and (c) the applications of UDL in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es. By using the UDL framework in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physical education teachers can reform curricula in ways that will create greater and more inclusive options for all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synthesize research on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UDL) used in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es. Key words searchers were used to identify articles from electronic databases over 19-year period from 2000 throug...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synthesize research on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UDL) used in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es. Key words searchers were used to identify articles from electronic databases over 19-year period from 2000 through 2019. Only seven articles met all inclusion criteria, so a few practical articles were also merged for this review due to the implications of UDL. Three thematic categorized emerged, which were; (a) the definition of UDL, (b) the benefits of implementing UDL, and (c) the applications of UDL in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es. By using the UDL framework in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physical education teachers can reform curricula in ways that will create greater and more inclusive options for all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영택,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담당 중학교 스포츠강사에 대한 체육교사의 경험적 인식과 실재" 한국체육과학회 23 (23): 1071-1092, 2014

      2 김현진,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교육적 가치정향 실태 분석"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9 (29): 157-176, 2013

      3 이학준, "통합체육수업에서 보편적 학습설계의 연구동향과 방향" 2018 (2018): 147-159, 2018

      4 박혜준, "통합교육의 의미 다시 생각하기 -모든 이들을 위한 통합교육과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를 중심으로-" 한국통합교육학회 5 (5): 103-128, 2010

      5 강병일, "일반 중ㆍ고등학교 체육수업에서의 보편적 학습설계 적용 실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6 (56): 167-197, 2017

      6 박민정,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중학교 통합체육수업이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태도와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7 임영택, "보편적 학습설계를 기반으로 한 통합체육 스포츠교육 모형 실행연구" 한국체육학회 49 (49): 465-480, 2010

      8 김정희, "보편적 학습설계(UDL: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의 필요성과 적용실태에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9 이학준, "보편적 학습설계 철학의 통합체육적 함의"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 (20): 27-36, 2019

      10 이학준,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통합체육 연구의 동향과 방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9 (19): 149-161, 2018

      1 임영택,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담당 중학교 스포츠강사에 대한 체육교사의 경험적 인식과 실재" 한국체육과학회 23 (23): 1071-1092, 2014

      2 김현진,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교육적 가치정향 실태 분석"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9 (29): 157-176, 2013

      3 이학준, "통합체육수업에서 보편적 학습설계의 연구동향과 방향" 2018 (2018): 147-159, 2018

      4 박혜준, "통합교육의 의미 다시 생각하기 -모든 이들을 위한 통합교육과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를 중심으로-" 한국통합교육학회 5 (5): 103-128, 2010

      5 강병일, "일반 중ㆍ고등학교 체육수업에서의 보편적 학습설계 적용 실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6 (56): 167-197, 2017

      6 박민정,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중학교 통합체육수업이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태도와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7 임영택, "보편적 학습설계를 기반으로 한 통합체육 스포츠교육 모형 실행연구" 한국체육학회 49 (49): 465-480, 2010

      8 김정희, "보편적 학습설계(UDL: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의 필요성과 적용실태에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9 이학준, "보편적 학습설계 철학의 통합체육적 함의"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 (20): 27-36, 2019

      10 이학준,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통합체육 연구의 동향과 방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9 (19): 149-161, 2018

      11 강동우, "보편적 설계학습 스포츠 교육이비장애 학생의 장애 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12 곽승철, "보편적 교수·학습설계가 장애학생의 교육적 통합에 주는 함의"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3 (53): 1-29, 2010

      13 이학준, "기다림과 어울림의 통합체육: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통합체육" 학교체육연구소 7 (7): 65-76, 2019

      14 Anderson, R. S., "Why talk about different ways to grade? The shift from traditional assessment to alternative assessment" 74 : 5-16, 1998

      15 Meyer, A.,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Theory and practice" CAST Professional Publishing 2014

      16 CAST,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Guidelines version 2.2"

      17 McGuire, J. M., "Unive sarl De igsn a nd I ts Applications in Educational Environments" 27 (27): 166-175, 2006

      18 van Munster, M. A., "Unive rsal design for l earning and differentiated instruction in physical education" 36 (36): 359-377, 2019

      19 Davis, B. G., "Tools for teaching" John Wiley & Sons 2009

      20 Center for Universal Design, "The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Version 2.0)" North Carolina State Unive rsity 1997

      21 Dochy, F., "The Use of Self-, Peer and Co-assessment in Higher Education: A Review" 24 (24): 331-350, 1999

      22 Katz, J., "The Three Block Model of Unive rsal Design f or L e arning(UDL) : Engaging students in inclusive education" 36 (36): 153-194, 2013

      23 Heiman, T.,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higher education:Academic strategies profile" 36 (36): 248-258, 2003

      24 Falchikov, N., "Student peer assessment in higher education : A metaanalysis comparing peer and teacher marks" 70 (70): 287-322, 2000

      25 Chickering, A. W., "Seven principles for good practice in undergraduate education" 39 (39): 3-7, 1987

      26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Office of Spe cial E ducation a nd R ehabilitative Services, 2006, sec. 300.8"

      27 "No Child Left Behind.(NCLB). Act of 2001, 20U.S.C. § 6319"

      28 Lieberman, L. J., "Infusing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into physical education professional preparation programs" 90 (90): 3-5, 2019

      29 Block, M. E., "Inclusion in physical educa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from 1995-2005" 24 (24): 103-124, 2007

      30 Qi, J., "Inclusion in physical education: A review of literature" 59 (59): 257-281, 2012

      31 Lieberman, L., "Getting it right from the start: Employing the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approach to your curriculum" 79 (79): 32-39, 2008

      32 Higbee, J. L., "Curriculum transformation and disability: Implementing Universal Design in higher education" University of Minnesota:Center for Research on Developmental Education and Urban Literacy 2003

      33 Block, M. E., "Attitudes and attributes of physical educators associated with teaching individuals with severe and profound disabilities" 20 (20): 80-87, 1995

      34 Grenier, M., "Applying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and the inclusion spectrum for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in general physical education" 88 (88): 51-56, 2017

      35 Brian, A., "50 million strong for all: Universally designing CSPAPs to align with APE best practices" 88 (88): 30-36, 2017

      36 교육과학기술부, "2010 특수교육통계"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6 0.66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6 0.59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