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세핀 베이커는 20세기 초 파리에서 전례 없는 성공을 거둔 미국 출신의 흑인 여성 예술가로, 그녀의 업적은 여전히 현대 예술과 대중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논문은 베이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606603
김유정 (고려대학교)
2025
Korean
조세핀 베이커 ; 광란의 20년대 ; 탈식민주의 ; 혼종성 ; 현대성 ; Joséphine Baker ; Années folles ; Postcolonialisme ; Hybridité ; Modernité
KCI등재
학술저널
1-31(3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조세핀 베이커는 20세기 초 파리에서 전례 없는 성공을 거둔 미국 출신의 흑인 여성 예술가로, 그녀의 업적은 여전히 현대 예술과 대중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논문은 베이커...
조세핀 베이커는 20세기 초 파리에서 전례 없는 성공을 거둔 미국 출신의 흑인 여성 예술가로, 그녀의 업적은 여전히 현대 예술과 대중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논문은 베이커의 삶과 예술을 탈식민주의적 이론가 프란츠 파농과 호미 바바의 관점을 통해 분석하며, 그녀가 인종·계급·젠더의 경계를 어떻게 넘나들며 독창적인 정체성을 구축했는지를 논의한다. 베이커는 무대 및 영상 예술에서 외국 출신의 흑인 여성 아티스트에게 지워진 기대와 편견을 일부 수용하는 동시에, 이를 풍자하고 전복하는 전략을 구사하였다. 이러한 행보는 무대 및 영상 예술의 틀을 넘어 이후 그녀의 삶에서 레지스탕스 운동과 박애주의로도 나타난다. 또한 베이커는 현대적 의미의 ‘스타’라는 개념을 구축하여 현재까지도 대중문화에서 상징적인 존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본 논문은 조세핀 베이커에게 부과된 이분법과 이를 넘어서 그녀가 구현한 예술적 혼종성을 분석하고, 그녀가 걸어온 행보의 현대성을 조명하며, 그녀의 문화·예술적 및 사회적 유산이 어떻게 현재까지 재창조되고 있는지를 탐구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oséphine Baker était une artiste afro-américaine qui a connu un succès sans précédent au début du XXe siècle à Paris. Son héritage continue d’exercer une influence majeure sur l’art contemporain et la culture populaire. Cet article anal...
Joséphine Baker était une artiste afro-américaine qui a connu un succès sans précédent au début du XXe siècle à Paris. Son héritage continue d’exercer une influence majeure sur l’art contemporain et la culture populaire. Cet article analyse la vie et l’art de Baker à travers les perspectives des théoriciens postcoloniaux Frantz Fanon et Homi K. Bhabha, en examinant comment Baker a transcendé les frontières raciales, sociales et de genre pour construire une identité unique. Sur scène comme à l’écran, Baker a en partie intégré les attentes et stéréotypes liés à son identité d’artiste noires étrangères, tout en les subvertissant et en les parodiant par des stratégies audacieuses. Cette dynamique ne se limite pas au domaine artistique, mais s’étend également à son engagement dans la Résistance et à ses actions humanitaires. De plus, en contribuant à façonner la notion moderne de « star », Baker demeure une figure emblématique de la culture populaire. Cet article explore la binarité qui lui a été imposée ainsi que l’hybridité artistique par laquelle elle l’a dépassée, tout en mettant en lumière la modernité de son parcours et en examinant comment son héritage culturel, artistique et social continue d’être réinterprété aujourd’hui.
아니 에르노와 마크 마리의 『사진의 용도』에 나타난 흔적의 시학 – 폴 리쾨르의 삼중의 미메시스와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프랑스어문전공 수업에서의 캡스톤 디자인 활용 방안 – 프랑스텍스트번역 수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아니 에르노의 『단순한 열정』: 진부한 기호들을 낯설게 쓰기
비상의 염원과 빛, 속도, 관계의 미학 - 베르나르 플로쉬와 장-크리스토프 바이의 『안달루시아의 제비』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