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니 에르노의 『단순한 열정』에 대한 비평은 종종 엠마 보바리를 소환하며, 작가를 여성인물로, 창작을 개인적 경험의 토로로 환원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여성 작가의 자전적 이야기와 성...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606600
오은하 (연세대학교)
2025
Korean
passion ; Madame Bovary ; L’origine du monde ; pornographie ; romance ; 열정 ; 마담 보바리 ; 세계의 기원 ; 포르노그라피 ; 로맨스
KCI등재
학술저널
94-130(3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아니 에르노의 『단순한 열정』에 대한 비평은 종종 엠마 보바리를 소환하며, 작가를 여성인물로, 창작을 개인적 경험의 토로로 환원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여성 작가의 자전적 이야기와 성...
아니 에르노의 『단순한 열정』에 대한 비평은 종종 엠마 보바리를 소환하며, 작가를 여성인물로, 창작을 개인적 경험의 토로로 환원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여성 작가의 자전적 이야기와 성적 고백에 대한 선입견이 결합해 이 작품에 대한 폄하를 초래한다. 여성이 욕망을 표현하는 일의 위험성은 작가에 대해 외설적이라는 비난과 용기있다는 찬사를 동시에 불러온다. 작가는 이 글이 쿠르베의 <세계의 기원>처럼 경악과 당혹을 자아내길 원했지만, 궁극적인 목적은 도발이 아니라 자신이 겪은 열정 자체를 탐구하는 것이었다.
여성 스스로 표현하는 쾌락은 기다림과 상상에서 비롯되며, 상대 남성은 중심적이지 않다. 화자는 수동적인 로맨스 소설 속 전형적인 여주인공처럼 보이지만, 열정의 수동성을 적극적으로 원하고 구성하며, 나아가 그 열정을 글로 씀으로써 주체의 위치를 점유한다.
에르노는 열정을 정당화하지 않고 단지 제시하기 위해 여성적이고 사적인 일상의 기호들을 작품에 삽입한다. 이러한 기호들의 상투성은 열정 속 소외된 상태를 있는 그대로 드러내는 데 기여한다. 드러내기 어려운 열정을 변명하거나 정당화하지 않고 표현하기 위해, 에르노는 사회적 금기를 알지 못하는 외국인의 언어처럼 단도직입적이고 수치심을 배제한 글쓰기 방식을 추구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a critique de Passion simple d’Annie Ernaux invoque fréquemment Emma Bovary, tendant ainsi à réduire l’autrice à un personnage féminin et son écriture à un simple récit d’expérience personnelle. Les préjugés combinant femme écrivain...
La critique de Passion simple d’Annie Ernaux invoque fréquemment Emma Bovary, tendant ainsi à réduire l’autrice à un personnage féminin et son écriture à un simple récit d’expérience personnelle. Les préjugés combinant femme écrivaine et confession sexuelle entraînent une dévalorisation de cette œuvre. Le fait qu’une femme exprime son désir comporte un risque : il suscite simultanément des accusations d’obscénité et des louanges pour son courage. L’autrice souhaitait que ce texte provoque stupeur et trouble, à l’instar de <L’Origine du monde> de Courbet. Toutefois, son but ultime n’était pas la provocation, mais l’exploration de la passion qu’elle a vécue.
Le plaisir exprimé par une femme naît de l’attente et de l’imaginaire, tandis que l’homme en question n’occupe pas une place centrale. La narratrice peut sembler passive, à l’image des héroïnes typiques de romans sentimentaux, mais elle revendique et construit activement cette passivité dans la passion, allant jusqu’à occuper une position de sujet en écrivant cette expérience.
Ernaux ne cherche pas à justifier la passion, mais simplement à la présenter, en insérant dans son texte des signes féminins et intimes du quotidien. La banalité de ces signes contribue à exposer l’état d’aliénation propre à la passion. Pour exprimer une passion difficile à dévoiler, sans excuses ni justification, Ernaux adopte une écriture directe, dépouillée de honte, semblable à celle d’un étranger ignorant les tabous sociaux.
아니 에르노와 마크 마리의 『사진의 용도』에 나타난 흔적의 시학 – 폴 리쾨르의 삼중의 미메시스와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경계를 넘나드는 조세핀 베이커의 예술 세계: 이분법을 넘어선 혼종성과 현대성
프랑스어문전공 수업에서의 캡스톤 디자인 활용 방안 – 프랑스텍스트번역 수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비상의 염원과 빛, 속도, 관계의 미학 - 베르나르 플로쉬와 장-크리스토프 바이의 『안달루시아의 제비』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