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니 에르노와 마크 마리의 『사진의 용도』에 나타난 흔적의 시학 – 폴 리쾨르의 삼중의 미메시스와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La poétique des traces dans L’Usage de la photo d’Annie Ernaux et Marc Marie - Une analyse comparative avec la triple mimésis de Paul Ricœu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6066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아니 에르노의 실험적 작품인 『사진의 용도』에 나타난 글쓰기의 기획이 하나의 시학을 포함하고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우리는 이러한 시학을 ‘흔적의 시학’이라 명명하고, 이를 폴 리쾨르의 삼중의 미메시스 이론과 비교함으로써 그 작동 원리를 탐구하고자 한다. 흔적의 시학은 행위의 흔적에서 시작해서 사진이라는 흔적-이미지와 글이라는 흔적-언어를 거쳐 최종적으로 독자의 마음속에서 생산되는 흔적-효과로 이어지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리쾨르의 삼중의 미메시스와 다르게 아니 에르노의 흔적의 미메시스에서는 ‘구조적 형상화(configuration)’라는 뮈토스의 매개가 작동하지 않는다. 흔적의 움직임은 하나의 종합으로 귀결되지 않으며, 전형상화에서 형상화와 재형상화를 거쳐 전이-형상화로 이어지는 지속적인 움직임을 선보인다. 이러한 흔적의 용도는 흔적이 가리키는 것을 말할 수 없고 알 수 없고 재현할 수 없는 무엇으로 만듦으로써 이로부터 끊임없이 글쓰기의 욕망을 태어나게 하는 데 있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아니 에르노의 실험적 작품인 『사진의 용도』에 나타난 글쓰기의 기획이 하나의 시학을 포함하고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우리는 이러한 시학을 ‘흔적의 시학’이라 명명하...

      이 논문은 아니 에르노의 실험적 작품인 『사진의 용도』에 나타난 글쓰기의 기획이 하나의 시학을 포함하고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우리는 이러한 시학을 ‘흔적의 시학’이라 명명하고, 이를 폴 리쾨르의 삼중의 미메시스 이론과 비교함으로써 그 작동 원리를 탐구하고자 한다. 흔적의 시학은 행위의 흔적에서 시작해서 사진이라는 흔적-이미지와 글이라는 흔적-언어를 거쳐 최종적으로 독자의 마음속에서 생산되는 흔적-효과로 이어지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리쾨르의 삼중의 미메시스와 다르게 아니 에르노의 흔적의 미메시스에서는 ‘구조적 형상화(configuration)’라는 뮈토스의 매개가 작동하지 않는다. 흔적의 움직임은 하나의 종합으로 귀결되지 않으며, 전형상화에서 형상화와 재형상화를 거쳐 전이-형상화로 이어지는 지속적인 움직임을 선보인다. 이러한 흔적의 용도는 흔적이 가리키는 것을 말할 수 없고 알 수 없고 재현할 수 없는 무엇으로 만듦으로써 이로부터 끊임없이 글쓰기의 욕망을 태어나게 하는 데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ette étude part du principe que le projet d’écriture dans l’œuvre expérimentale L’Usage de la photo d’Annie Ernaux et Marc Marie inclut une poétique spécifique. Nous désignons cette poétique sous le terme de “poétique des traces” et proposons d’en explorer le fonctionnement à travers une comparaison avec la théorie de la triple mimésis de Paul Ricœur. La poétique des traces se structure autour d’un processus qui débute par la trace de l’action, passe par la trace-image de la photographie et la trace-langage de l’écriture, pour culminer avec la trace-effet produite dans l’esprit du lecteur. À la différence de la triple mimésis de Ricœur, la mimésis des traces chez Annie Ernaux ne fait pas intervenir la configuration, qui joue un rô̂le de médiation. Le mouvement des traces ne se résume pas à une synthèse ; il suit un parcours allant de la préfiguration à la trans-figuration, en passant par la figuration et la refiguration. L’usage des traces consiste à faire naître le désir d’écriture tout en laissant dans l’indicible, l’inconnaissable et l’irreprésentable ce qui est désigné par les traces.
      번역하기

      Cette étude part du principe que le projet d’écriture dans l’œuvre expérimentale L’Usage de la photo d’Annie Ernaux et Marc Marie inclut une poétique spécifique. Nous désignons cette poétique sous le terme de “poétique des traces”...

      Cette étude part du principe que le projet d’écriture dans l’œuvre expérimentale L’Usage de la photo d’Annie Ernaux et Marc Marie inclut une poétique spécifique. Nous désignons cette poétique sous le terme de “poétique des traces” et proposons d’en explorer le fonctionnement à travers une comparaison avec la théorie de la triple mimésis de Paul Ricœur. La poétique des traces se structure autour d’un processus qui débute par la trace de l’action, passe par la trace-image de la photographie et la trace-langage de l’écriture, pour culminer avec la trace-effet produite dans l’esprit du lecteur. À la différence de la triple mimésis de Ricœur, la mimésis des traces chez Annie Ernaux ne fait pas intervenir la configuration, qui joue un rô̂le de médiation. Le mouvement des traces ne se résume pas à une synthèse ; il suit un parcours allant de la préfiguration à la trans-figuration, en passant par la figuration et la refiguration. L’usage des traces consiste à faire naître le désir d’écriture tout en laissant dans l’indicible, l’inconnaissable et l’irreprésentable ce qui est désigné par les trace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