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당서괘기론(唐書卦氣論)」에 담긴 정약용의 중국역학 비판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761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정약용이 역학서언·「당서괘기론」에서 중국의 象數易學에 대해 비판한 논박쟁점 및 철학적으로 비판한 근본 이유와의 고증한 문헌근거를 고찰해 구체적...

      (1)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정약용이 역학서언·「당서괘기론」에서 중국의 象數易學에 대해 비판한 논박쟁점 및 철학적으로 비판한 근본 이유와의 고증한 문헌근거를 고찰해 구체적으로 정약용이 漢代의 卦氣論, 唐代의 分卦直日法 및 주역의 괘효와 曆法原理를 연관 지어 적용한 원리에 대한 역학비판을 검토하고자 한다. 정약용은 역대 중국의 역학이론 중에서 ‘易理’에 반하는 주장에 대해 이론적 모순과 적용원리의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비판하고, 자신의 주역철학을 정립하였다. 주역 해석에서 ‘時’는 우주자연의 변화를 해석한 핵심코드이고, 우주 시·공간 변화에 대해 해석한 고대인의 철학적 지혜도 역법원리에도 반영되어 있다. 정약용이 역학서언에서 중국역학을 비판한 특징은 한마디로 ‘通時變易의 時易’으로 요약된다. 정약용은 易의 始原에 대해 철학적, 문헌학적 고찰을 통해 이를 입증하고 있다.
      그러나 정약용의 「당서괘기론」의 연구현황을 보면, 아직 번역은 물론이고 역학 비판의 내용 및 사상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정약용의 象·數에 관한 핵심사상은 정확히 드러나지 않았다고 볼 수 있고, 이에 대한 정확한 분석에 의해 정약용의 우주론 및 역학사상이 명확해질 것이다. 이러한 학문적 필요성을 근거로 「당서괘기론」에 담긴 정약용의 비판적인 상수역학관을 고찰한다. 이 연구는 정약용이 한국유학자로써 중국역학을 비판한 이론과 사상의 전문성과 구체성에 대한 연구이며, 정약용의 독창적인 한국역학의 이론체계와 비판적 주역 해석학에 대한 연구라는 의미가 있다.

      (2) 연구내용:
      1) 易學緖言·「唐書卦氣論」의 비평론 원문을 번역하고 주해·평석한다.
      2) 정약용은 「당서괘기론」에서의 역학비판을 위해 많은 문헌자료를 고증하였는데, 漢書·「京房傳」, 唐書·「曆志」, 易緯, 爾雅, 「洪範」, 大衍曆 등이다. 이들 문헌자료를 수집, 조사, 분석, 연구한다.
      3) 역학서언의 다른 중국역학비평론을 종합한 정약용의 상수역학 관점과 書經·漢書·唐書·周易正義 등에 드러난 중국 상수역학의 중요 이론 및 관점을 비교한다.
      4) 고대부터 중국에 전래된 천문과 역법에 관한 자료를 수집해 역법의 연원 및 원류를 밝힘과 동시에 주역철학 및 역학이론과의 연관성을 조사한다.
      5) 주역 64괘·384효를 해석한 방법론 및 역법 및 책력에 역철학적 지혜를 활용한 배경과 문헌 근거 자료를 확보하고, 이에 대해 상세히 고찰한다.
      6) 漢代부터 唐代까지 상수역학 및 괘기론에 대한 학자들의 師承관계를 파악한다. 孟喜ㆍ焦延壽ㆍ京房ㆍ一行 등 중국학자의 역학이론에서 정약용이 모순과 문제점이 잇다고 비판한 내용을 중심으로 논리적 타당성을 검증한다.
      7) 경방 역학과 정약용 역학의 이론적 차이점을 파악해 관점 차이가 발생한 이론적 배경과 원인 및 역학사상을 분석한 상수역학관을 연구한다.
      8) 역법원리와 주역 해석의 적용문제를 비판한 논박과정의 구체적인 이론적 주장을 정확히 밝혀 정약용의 상수역학적 이론체계와 중국역학사상을 비교ㆍ정리한다.
      9) 역학서언의 「李鼎祚集解論」·「鄭康成易註論」·「漢魏遺義論」·「孔疏百一評」등 비평론에 드러난 漢代·唐代 역학사상과 정약용 역학의 차별적 사상을 중심으로 비판적 관점의 일관성과 논리적 정합성을 분석한다.
      10) 象·數는 주역의 구성의 절대적 요소이지만, 철학적 의미를 파악하기에는 형이상학적 이해와 충돌되는 측면이 있다. 이러한 부분에 대한 정약용의 상수역학관을 분석해 체계적인 연구논문을 작성하고자 한다.

      (3)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중국역학 文獻考證의 방법과 訓詁學的 방법을 활용한다. 또한 주역 해석의 作易 의도와 철학적 眞義에 집중해 분석·비판한 정약용의 易理的 관점과 중국역학철학사의 역사적인 시대적 흐름을 고찰하고 학자별 역학이론의 변화추이와 상이점을 검증·분석한 정약용의 順時的 관점을 교차적으로 적용해 연구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