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김창업 『연행일긔(燕行日記)』 문자의 조형성 고찰 -국립중앙도서관소장 한글 승계본을 중심으로- = Consideration on Formativeness of Characters in Kim Changeop's Yeonhaeng Ilgi (燕行日記)- Focusing on the Korean succeeded version possessed in National Central Library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626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characters in Yeonhaeng Ilgi which is a succeeded version that was transcribed in Korean among different versions of Nogajae Yeonhaeng Ilgi (老稼齋燕行日記) on which Kim Changeop wrote his experience of going to Beijing at t...

      This study examines characters in Yeonhaeng Ilgi which is a succeeded version that was transcribed in Korean among different versions of Nogajae Yeonhaeng Ilgi (老稼齋燕行日記) on which Kim Changeop wrote his experience of going to Beijing at the age of 54 when he was in attendance on his eldest brother Kim Changjip as a military officer who left for Beijing as Dongjisa and Saeunjeongsa (冬至使兼謝恩正使, an envoy who was sent to Ming or Qing at winter solstice and who was dispatched to thank Ming or Qing for their doing favor).
      Yeonhaeng Ilgi which is possessed in National Central Library was of six books but now it is of three. The 'List' part in each book's first chapter is with semi-cursive writing, which is one person's neater handwriting than the cursive style. The body is mainly of cursive style and it displays some difference in the speed of transcription or connection between characters but it is assumed that this book was transcribed by one person.
      Among the three books, the first Wangnaechongnok demonstrates characters mostly even in size and the connection of dots and strokes and between letters is of less, which shows sincerity. Therefore, focusing on Wangnaechongnok, this study examines in order of sentence standard, use of a brush and concluding of letters. The structure of sentences is of conciseness since character arrangement is connected through vowel's vertical stroke as its axis. In addition, connecting strokes on concluding parts of dots and strokes or consonants and vowels within one character are moderately used and space is also properly arranged. Particularly in left and right logotype, entering stroke (入筆) of vowel's vertical stroke is concluded with square-shaped one (方筆), which is to make characters not inclined to any side (中鋒) and vertical strokes become narrower and narrower and are taken down lengthways. Shapes of characters, therefore, are long lengthways.
      It is identified through comparison that characters in Yeonhaeng Ilgi and those of Queen Inseon's Letters in the mid-17th century are of the same type of handwriting. It is that both have the same changes in formation in consonants and vowels for the connection with cursive style; they use square-shaped stroke upon entering stroke for concluding dots and strokes or consonants and vowels and; the characters are taken down lengthways.
      Therefore, it is presumed that characters of Yeonhaeng Ilgi were transcribed not long after 1713, when they came back from Beijing. Considering that these vowel's vertical strokes that are long lengthways are also found in transcribed characters on List of Articles (物目) in Jeongjo's Letters in 1793, however, its transcription time can be expanded to the late 18th century.
      Characters in Yeonhaeng Ilgi which are the same as those of Queen Inseon's Letters transcribed in the mid-17th century were popular in court in 17-18th centuries and this study tentatively concludes that the one who transcribed it would be an officer in charge of court transcription (書寫官) and the work would be done between 1713 and the mid-18th century, which was right after visit to Beijing and which was not far from the visit respective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金昌業이 54세에 冬至使兼謝恩正使로 북경에 가는 맏형 金昌集의 軍官으로 燕行을 수행하면서 연행의 체험을 기록한 『老稼齋燕行日記』의 이본 가운데 한글로 필사된 승계본 『...

      본 연구는 金昌業이 54세에 冬至使兼謝恩正使로 북경에 가는 맏형 金昌集의 軍官으로 燕行을 수행하면서 연행의 체험을 기록한 『老稼齋燕行日記』의 이본 가운데 한글로 필사된 승계본 『연일긔』 문자의 조형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된 『연일긔』는 총 6책이었으나 현재 3책이 현존하고 있다. 각 책의 첫 장 ‘목록’ 부분은 반흘림 형식으로 흘림보다는 단정한 한 사람의 필체이다. 본문은 대부분 흘림으로, 필사의 속도감이나 문자의 연결 등에서 차이가 보이기도 하나 이 책은 한 사람에 의해 필사된 것으로 추정된다.
      3책 가운데 1책의 「왕총녹」 부분이 문자의 크기가 대체로 일정하고, 점과 획, 자와 자의 연결이 적어 정성이 돋보였다. 따라서 「왕총녹」 부분을 중심으로 문장의 장법, 문자의 용필 및 결구 순으로 살펴보았다. 문장의 구성은 字와 字의 배자를 모음세로획을 축으로 이어서 하고 있어 간결함을 준다. 또한 한 글자 안에서의 점과 획 또는 자․모음의 결구에서 연결획의 사용을 절제 하고 공간배정을 적절히 하였다. 특히 좌우합자에서 모음 세로획의 入筆을 方筆로 결구하여 中鋒으로 운행하였는데, 이때 세로획이 점점 가늘어 지면서 길게 수직으로 내려빼고 있다. 따라서 문자의 외형은 세로로 긴 자형이다.
      이러한 『연일긔』 문자와 17세기 중기 「인선왕후 언간」 문자와 비교분석한 결과 같은 유형의 서체임을 확인하였다. 그것은 흘림의 연결에 따른 자음과 모음의 형태 변화가 같고, 점과 획이나 자․모음이 결구할 때 入筆을 方筆로 하는 점이나 세로획을 수직으로 길게 내려 빼는 점 등에서 이다.
      따라서 『연일긔』 문자의 필사 시기는 연행에서 돌아온 1713년을 기점으로 그리 멀지 않음을 짐작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모음 세로획이 수직으로 긴 형태의 자형은 1793년 「정조언간」의 物目에 필사된 자형에서도 볼 수 있는 점 등을 고려하면 필사 시기는 18세기 말까지 확장된다.
      이상 17세기 중기 필사된 「인선왕후 언간」 문자와 같은 서체인 『연일긔』 문자는 17~18세기 궁중에서 유행한 서체로서 이를 필사한 사람은 궁중의 서사를 담당한 書寫官 등에 의해 연행직후인 1713년과 그리 멀지 않은 18세기 중기 이전에 필사된 것으로 잠정 결론을 내린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글서예변천전"

      2 최영희, "조선시대 한글 필사본 『뎡니의궤(整理儀軌)』 서체의 특징 연구" 한국서예학회 (23) : 173-204, 2013

      3 김일근, "이조어필언간집" 通文館 1959

      4 "을병연행록 무오연행록"

      5 "연일긔"

      6 김영현, "여행과 체험의 문학" 민족문화문고간행회 1986

      7 김일근, "언간의 연구" 건국대학교출판부 1986

      8 이경자, "노가재 연행일기 소고" 3 : 1984

      9 朴智鮮, "김창업의 『노가제연행일기』연구"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6

      10 "稼齋燕錄"

      1 "한글서예변천전"

      2 최영희, "조선시대 한글 필사본 『뎡니의궤(整理儀軌)』 서체의 특징 연구" 한국서예학회 (23) : 173-204, 2013

      3 김일근, "이조어필언간집" 通文館 1959

      4 "을병연행록 무오연행록"

      5 "연일긔"

      6 김영현, "여행과 체험의 문학" 민족문화문고간행회 1986

      7 김일근, "언간의 연구" 건국대학교출판부 1986

      8 이경자, "노가재 연행일기 소고" 3 : 1984

      9 朴智鮮, "김창업의 『노가제연행일기』연구"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6

      10 "稼齋燕錄"

      11 金景善, "燕轅直指"

      12 中村榮孝, "事大紀行" 靑丘學會 1 : 1930

      13 최영희, "『뎡미가례시일긔』의 서예미학적 연구" 성균관대학교대학원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7 0.27 0.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5 0.2 0.63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