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아의 사회적 힘과 대인관계 성향이 또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의 성별에 따른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176452
광주 :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6
학위논문(석사) -- 호남대학교 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유아교육 , 2016. 8
2016
한국어
"사회적힘 ; " "대인관계 성향 ; " "또래관계 ; "
광주
iii, 75p ; 26 cm
지도교수: 채영란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의 사회적 힘과 대인관계 성향이 또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의 성별에 따른 ...
본 연구는 유아의 사회적 힘과 대인관계 성향이 또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의 성별에 따른 사회적 힘과 대인관계 성향 및 또래관계는 어떠한가?
2. 유아의 사회적 힘 및 대인관계 성향과 또래관계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 유아의 또래관계에 대한 사회적 힘과 대인관계 성향의 설명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남도 목포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17곳의 만 5세 유아 314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회적 힘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한 Bolin(2000)의 도구를 한애희(2009)가 수정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대인관계 성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Leary(1957), Kerch와 Ballachey(1962)의 모형을 중심으로 임병아(2007)사용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래관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Fantuzzo, Manz와 McDermott (1998)이 제작한 PIPPS(Penn Lntractive Peer Play Scale)를 번안한 정현빈(2011)의 또래관계 평정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는 예비조사, 본 조사 순으로 진행되었으며, 본 조사는 2015년 11월 9일부터 2015년 12월 4일까지 본 연구자가 직접 방문하여 설문지를 배부하고 일주일 후에 재방문하여 직접 회수하는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20.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의 단순 적률상관계수와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성별에 따른 전체 사회적 힘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인관계 성향은 동정-수용, 과시-도취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관계의 하위영역 가운데 놀이단절은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놀이상호작용, 놀이방해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사회적 힘과 또래관계 간의 상관계수를 분석한 결과 유아의 사회적 힘과 또래관계에서는 부분적으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대인관계 성향과 또래관계에 역시 부분적으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또래관계에 대한 사회적 힘과 대인관계 성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70.9%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놀이방해는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64.8%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놀이단절 분석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27.7%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유아의 사회적 힘은 또래관계를 형성하고 원만한 또래관계를 유지하는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