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상악 총의치 전방 구개 부위 형태 조정을 통한 발음개선 증례 = Phonetic improvement by adjusting the shape of the anterior palate of the maxillary complete denture: a case repor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920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atients tend to return to normal pronunciation patterns after fitting new dentures. However, for some patients, it takes a long time to adapt the new complete denture. In this case, the patient came to the hospital at the address of wanting to remake dentures due to wear and tear. After diagnosis through clinical and radiological examination, the maxillary complete denture and mandibular removable partial denture were remade. The patient complained whistling /s/ sound at the first check-up after placement of the new denture. The anterior palatal area of polished surface of the new maxillary complete denture was concave comparing to old denture, and this was the cause of the whistling /s/ sound. A tissue conditioning material was applied to the maxillary complete denture and patient made /s/ sound. The tissue conditioning material was replaced with self-curing type denture base resin, and the patient was immediately satisfied with clear /s/ sound. As an objective assessment, palatogram and speech analytics software was applied. In this case, a patient who received denture treatment complaining of difficulty in pronunciation underwent immediate denture repair, which resulted in patient satisfaction and improved pronunciation through objective evaluation.
      번역하기

      Patients tend to return to normal pronunciation patterns after fitting new dentures. However, for some patients, it takes a long time to adapt the new complete denture. In this case, the patient came to the hospital at the address of wanting to remake...

      Patients tend to return to normal pronunciation patterns after fitting new dentures. However, for some patients, it takes a long time to adapt the new complete denture. In this case, the patient came to the hospital at the address of wanting to remake dentures due to wear and tear. After diagnosis through clinical and radiological examination, the maxillary complete denture and mandibular removable partial denture were remade. The patient complained whistling /s/ sound at the first check-up after placement of the new denture. The anterior palatal area of polished surface of the new maxillary complete denture was concave comparing to old denture, and this was the cause of the whistling /s/ sound. A tissue conditioning material was applied to the maxillary complete denture and patient made /s/ sound. The tissue conditioning material was replaced with self-curing type denture base resin, and the patient was immediately satisfied with clear /s/ sound. As an objective assessment, palatogram and speech analytics software was applied. In this case, a patient who received denture treatment complaining of difficulty in pronunciation underwent immediate denture repair, which resulted in patient satisfaction and improved pronunciation through objective evalu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환자는 새 의치 장착 후 정상 발음 패턴을 찾아가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어떤 환자의 경우 상악 총의치의 새로운 구개 형태에 적응하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본 증례에서 환자는 “현재 쓰고 있는 의치가 낡아 재제작 하고 싶다”는 주소로 내원하였다. 임상적,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한 진단 후 상악 총의치와 하악 가철성 국소의치를 재제작 하였다. 환자는 새 의치 장착 후 첫번째 내원에서 /s/발음이 샌다고 하였다. 환자에게 /s/발음을 지시하였을 때 휘파람을 부는 듯한 새는 소리가 났다. 새로 장착한 총의치의 전방 구개면이 기존의 의치에 오목한 것을 발견하였고 상악 구개부에 조직조정재를 적용하여 /s/발음을 지시하였다. 해당 조직 조정재 부위를 상온중합형 의치상 레진으로 교체해 주었다. 환자는 즉각적인 만족감을 표현하였고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 Palatogram과 음성 분석 소프트웨어를 통해 발음의 명확도를 확인하였다. 본 증례에서는 발음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의치 치료를 받은 환자에서 즉각적인 의치 수리를 하였으며 이를 통해 환자의 만족을 얻고 객관적인 평가를 통해 발음 개선을 확인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환자는 새 의치 장착 후 정상 발음 패턴을 찾아가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어떤 환자의 경우 상악 총의치의 새로운 구개 형태에 적응하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본 증례에서 환자는 “현재...

      환자는 새 의치 장착 후 정상 발음 패턴을 찾아가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어떤 환자의 경우 상악 총의치의 새로운 구개 형태에 적응하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본 증례에서 환자는 “현재 쓰고 있는 의치가 낡아 재제작 하고 싶다”는 주소로 내원하였다. 임상적,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한 진단 후 상악 총의치와 하악 가철성 국소의치를 재제작 하였다. 환자는 새 의치 장착 후 첫번째 내원에서 /s/발음이 샌다고 하였다. 환자에게 /s/발음을 지시하였을 때 휘파람을 부는 듯한 새는 소리가 났다. 새로 장착한 총의치의 전방 구개면이 기존의 의치에 오목한 것을 발견하였고 상악 구개부에 조직조정재를 적용하여 /s/발음을 지시하였다. 해당 조직 조정재 부위를 상온중합형 의치상 레진으로 교체해 주었다. 환자는 즉각적인 만족감을 표현하였고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 Palatogram과 음성 분석 소프트웨어를 통해 발음의 명확도를 확인하였다. 본 증례에서는 발음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의치 치료를 받은 환자에서 즉각적인 의치 수리를 하였으며 이를 통해 환자의 만족을 얻고 객관적인 평가를 통해 발음 개선을 확인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진성민, "음향 음성학적 검사의 개요" 대한이비인후과학회 47 (47): 943-949, 2004

      2 Yang B, "Theory and reality of voice analysis using praat" Mansoo Pub 11-84, 2003

      3 Tanaka H, "Speech patterns of edentulous patients and morphology of the palate in relation to phonetics" 29 : 16-28, 1973

      4 Park HS, "Speech analysis using PRAAT" Hanbit Culture 3-33, 2007

      5 황현경, "Spectral Characteristics of Frication Noise in Korean Sibilants" 대한음성학회 0 (0): 31-50, 2004

      6 Burris C, "Quantitative and descriptive comparison of four acoustic analysis systems : vowel measurements" 57 : 26-45, 2014

      7 Rothman R, "Phonetic considerations in denture prosthesis" 11 : 214-223, 1961

      8 Farley DW, "Palatogram assessment of maxillary complete dentures" 7 : 84-90, 1998

      9 Hassel AJ, "Improving the speech function of maxillary complete dentures : a pilot study" 19 : 499-503, 2006

      10 Allen LB, "Improved phonetics in artifical denture construction" 10 : 1022-1033, 1959

      1 진성민, "음향 음성학적 검사의 개요" 대한이비인후과학회 47 (47): 943-949, 2004

      2 Yang B, "Theory and reality of voice analysis using praat" Mansoo Pub 11-84, 2003

      3 Tanaka H, "Speech patterns of edentulous patients and morphology of the palate in relation to phonetics" 29 : 16-28, 1973

      4 Park HS, "Speech analysis using PRAAT" Hanbit Culture 3-33, 2007

      5 황현경, "Spectral Characteristics of Frication Noise in Korean Sibilants" 대한음성학회 0 (0): 31-50, 2004

      6 Burris C, "Quantitative and descriptive comparison of four acoustic analysis systems : vowel measurements" 57 : 26-45, 2014

      7 Rothman R, "Phonetic considerations in denture prosthesis" 11 : 214-223, 1961

      8 Farley DW, "Palatogram assessment of maxillary complete dentures" 7 : 84-90, 1998

      9 Hassel AJ, "Improving the speech function of maxillary complete dentures : a pilot study" 19 : 499-503, 2006

      10 Allen LB, "Improved phonetics in artifical denture construction" 10 : 1022-1033, 1959

      11 Kong HJ, "Customizing palatal contours of a denture to improve speech intelligibility" 99 : 243-248, 2008

      12 Sharry JJ, "Complete denture prosthodontics" McGraw-Hill Book Company, Inc 130-148,

      13 Palmer JM, "Analysis of speech in prosthodontic practice" 31 : 605-614, 1974

      14 성은경 ; 조윤정, "An Acoustic Study of Korean and English Voiceless Sibilant Fricatives" 한국음성학회 2 (2): 37-46, 2010

      15 Jongman A, "Acoustic characteristics of English fricatives" 108 : 1252-1263, 2000

      16 Ahn J, "Acoustic analysis of vowel sounds before and after orthognathic surgery" 43 : 11-16, 2015

      17 Lee JH, "A study on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Korean phonemes" 1 : 59-66,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학술지 분리 (기타)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2 0.22 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1 0.21 0.35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