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관객 수용에서 바라본 일제강점기 한국 연극의 대중성 = Popularity of Korean Dramas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from the View of Audience Recep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675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uthor i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pularity of Korean dramas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from the view of audience reception in three aspects. First, the ways of audience’s reception of interludes provided by popular dramatic companies. I...

      The author i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pularity of Korean dramas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from the view of audience reception in three aspects. First, the ways of audience’s reception of
      interludes provided by popular dramatic companies. Interludes are a type of drama in order to
      simply arouse an interest in audience between acts. However, interludes were more popularized than
      main dramas, and some even visited theaters just to see interludes. Despite the fault that audience
      were indulged in retrogressive avoidance, interludes are significant in that their constant performances
      provided various interesting subjects.
      Second, the author identified ‘the Society of Research for Dramatic Art’ in 1930s with the mode
      of audience reception of popular dramatic companies. The Society of Research for Dramatic Art (극
      예술연구회) was a representative dramatic company for realism, but after the performance of
      ‘Chun-hyang-geon’ in 1936, it began to focus on securing popularity through performances in grand
      theaters. Also, popular dramatic companies grew out of simple, retrogressive dramas and received
      more wide-ranged audience through well-formed dramas. However, in early 1940s of so-called an
      era of ‘the National dramas,’ only national dramas for openly promoting Japanese spirits, audience
      were regarded as a tool. It was recorded as the time of the biggest change in the history of Korean
      dramas.
      The audience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were limited in various aspects, but they were reborn
      to be 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관객 수용을 통해 한국 연극의 대중성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논의해 보았다. 먼저 대중극단들의 막간극이 어떻게 관객에게 수...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관객 수용을 통해 한국 연극의 대중성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논의해 보았다. 먼저 대중극단들의 막간극이 어떻게 관객에게 수용되었는지 살펴
      보았다. 막간극은 막과 막 사이 관객들에게 단순한 흥미를 주고자 올린 연극 형태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형태는 오히려 본 연극보다 관객들에게 호응을 얻었으며 이를 보기 위해 극장을 찾는 이가 있을 정도로
      파급 효과가 컸다. 이는 관객들을 퇴영적 도피성에 젖게 만든다는 단점이 있지만 끊임없는 공연을 통해
      다양한 흥밋거리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는 그 의미가 있다.
      두 번째는 1930년대 ‘극예술연구회’와 대중극단들의 관객 수용 양상이다. 극예술연구회는 대표적인 사
      실주의 연극 집단이었지만 1936년 <춘향전> 공연 이후 대극장을 통한 대중성 확보에 힘쓰게 된다. 또한
      대중극단들은 이전의 단순하고 퇴영적 모습에서 벗어나 잘 짜인 연극을 통해 더욱 두터운 관객층을 수용
      하게 된다. 그렇지만 1940년대 초 이른바 국민연극 시대에 와서는 노골적으로 일본정신을 심는 국책극
      만이 남아 관객은 하나의 도구로 여겨지기도 하였는데 한국 연극사에서 가장 큰 변화 양상을 보이는 시
      기로 기록된다.
      일제강점기 대중들은 여러 측면에서 제한적 위치에 놓여있었지만 공연예술을 보며 집단적 체험을 통
      해 時代苦를 잊고 문화를 향유하는 집단으로 거듭난다. 또한 여러 장르의 변화 과정 속에서 수용, 소비,
      생산주체로 참여하여 다양한 변형 발전에 참여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민영, "한국연극운동사" 태학사 2001

      2 박노홍, "한국악극사 ① in: 韓國演劇" 1978

      3 유민영, "한국근대연극사" 단대출판부 1996

      4 신아영, "한국 연극의 근대성" 고요아침 2008

      5 황문평, "한국 대중 연예사" 부루칸모로 1989

      6 신아영, "한국 근대극의 이론과 연극성" 태학사 1999

      7 고설봉, "이야기 근대연극사" 창작마을 2000

      8 안느 위베르스펠드, "연극기호학" 문학과 지성사 1988

      9 "매일신보"

      10 김호연, "관객 수용에서 바라본 악극의 대중성" 한국연극사학회 6 : 2003

      1 유민영, "한국연극운동사" 태학사 2001

      2 박노홍, "한국악극사 ① in: 韓國演劇" 1978

      3 유민영, "한국근대연극사" 단대출판부 1996

      4 신아영, "한국 연극의 근대성" 고요아침 2008

      5 황문평, "한국 대중 연예사" 부루칸모로 1989

      6 신아영, "한국 근대극의 이론과 연극성" 태학사 1999

      7 고설봉, "이야기 근대연극사" 창작마을 2000

      8 안느 위베르스펠드, "연극기호학" 문학과 지성사 1988

      9 "매일신보"

      10 김호연, "관객 수용에서 바라본 악극의 대중성" 한국연극사학회 6 : 2003

      11 고설봉, "證言演劇史" 晋陽 1990

      12 "朝鮮日報"

      13 "春秋"

      14 "彗星"

      15 "中央"

      16 "三千里"

      17 G. B. Tennison, "An Introduction to Drama" Rinehart & Wilnston 1967

      18 정호순, "1930년대 연극 대중화론과 관객" 민족문학사연구소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6-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Oriental Studies KCI등재
      2013-03-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동양학연구소 -> 동양학연구원
      영문명 : Dankook University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 Academy of Asian Studies, Dankook Universit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3 1.457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