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문 일간지 『京城新報』와 『京城日報』에 수록된 20세기 초 조선 공연예술 기사 분석 -1908년~1915년 기사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Articles on the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in Early 20th Century Revealed in Japanese Daily Papers, the Gyeongseong sinbo and the Gyeongseong ilbo: Focusing on the Relevant Articles from 1908 to 1915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265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plores the aspects of and the Japanese perspectives on the traditional Korean performing arts in early twentieth century by analysing the articles on the performances in the Japanese media, the Gyeongseong sinbo (1908~1912) and the Gyeongseong ilbo (1911~1915).
      The articles on the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takes less than one eighth of the total articles on performing arts. Most of the articles are about those by female entertainers (gisaeng), which are also related to the Japanese music and dance or the occasions for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This reveals the report policies of the Japanese daily papers, which did not view the Korean music and dance in aspects of its artistry, diversity, and cultural value but covered them to promote the policies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lthough the most of the repertories performed in the variety theater (Yeonyegwan) of the Joseon Industrial Exhibition, organized in commemoration of the Japanese 5th ruling year over Korea, featured the court dance, Jeongjae, and the folk dance of Korea, they also included Japanese music performances by Korean female entertainers as well as “Sijeong onyeon ginyeom Seongtaengmu”, which was produced in commemoration of the Japanese 5th ruling year over Korea. In many cases, the Gyeongseong ilbo had inaccurate reports on the titles of the associations of the female entertainers and the number of the dancers in the program.
      The Japanese professional dancers views the Korean music and dance as a criterion for the Japanese music and dance, presenting a sense of incompatibility on one hand, and finding it the distinctiveness of the Korean performing arts, which has some things in common with theirs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lantern procession for the first birthday celebration of the emperor of Japan since the forcible occupation of Korea, which seemingly includes the processional music band of the Royal Conservatory of the Yi Household. It is also found that the Korean drama was performed along with the Japanese drama with content of allegiance in the garden party. The procedures of the semiannual services in honor of Confucius (Seokjeonje) in 1915 is the same as those of the existing ones except for ilmu, the lined dance, which consists of six lines, not eight lines as in the existing ones. The Imperial Edict on Education is delivered in the lecture following the services, which adopts “Review the Old and Learn the New” with new interpretation for the topic in order to justify Japan's domination over Korea. This presents that the Seokjeonje rituals were exploited on publicity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o promote its policy of Korea's assimilation with Japan.
      번역하기

      This paper explores the aspects of and the Japanese perspectives on the traditional Korean performing arts in early twentieth century by analysing the articles on the performances in the Japanese media, the Gyeongseong sinbo (1908~1912) and the Gyeong...

      This paper explores the aspects of and the Japanese perspectives on the traditional Korean performing arts in early twentieth century by analysing the articles on the performances in the Japanese media, the Gyeongseong sinbo (1908~1912) and the Gyeongseong ilbo (1911~1915).
      The articles on the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takes less than one eighth of the total articles on performing arts. Most of the articles are about those by female entertainers (gisaeng), which are also related to the Japanese music and dance or the occasions for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This reveals the report policies of the Japanese daily papers, which did not view the Korean music and dance in aspects of its artistry, diversity, and cultural value but covered them to promote the policies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lthough the most of the repertories performed in the variety theater (Yeonyegwan) of the Joseon Industrial Exhibition, organized in commemoration of the Japanese 5th ruling year over Korea, featured the court dance, Jeongjae, and the folk dance of Korea, they also included Japanese music performances by Korean female entertainers as well as “Sijeong onyeon ginyeom Seongtaengmu”, which was produced in commemoration of the Japanese 5th ruling year over Korea. In many cases, the Gyeongseong ilbo had inaccurate reports on the titles of the associations of the female entertainers and the number of the dancers in the program.
      The Japanese professional dancers views the Korean music and dance as a criterion for the Japanese music and dance, presenting a sense of incompatibility on one hand, and finding it the distinctiveness of the Korean performing arts, which has some things in common with theirs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lantern procession for the first birthday celebration of the emperor of Japan since the forcible occupation of Korea, which seemingly includes the processional music band of the Royal Conservatory of the Yi Household. It is also found that the Korean drama was performed along with the Japanese drama with content of allegiance in the garden party. The procedures of the semiannual services in honor of Confucius (Seokjeonje) in 1915 is the same as those of the existing ones except for ilmu, the lined dance, which consists of six lines, not eight lines as in the existing ones. The Imperial Edict on Education is delivered in the lecture following the services, which adopts “Review the Old and Learn the New” with new interpretation for the topic in order to justify Japan's domination over Korea. This presents that the Seokjeonje rituals were exploited on publicity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o promote its policy of Korea's assimilation with Japa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경성신보』(1908~1912)와 『경성일보』(1911~1915)의 기사를 분석하여, 20세기 초 일본 매체에 나타난 조선 공연예술의 모습을 파악하고 일본인의 시각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경성신보』의 조선 공연예술 관련 기사는 전체 공연예술 기사의 2.15%, 『경성일보』의 조선 공연예술 기사는 전체 기사의 13.5%에 그치고 있다. 대부분이 기생의 악무에 관한 것이며 일본․일본악무․총독부 행사 등과 연관된 내용이다.
      1915년에 개최된 시정오년기념조선물산공진회의 연예관 상설공연 레퍼토리는 대부분 정재와 민속춤이었지만, 일제가 조선을 강점한 지 5년이 되는 해에 창작한 <시정오년기념성택무>도 있었다. 이 춤에는 내선일체를 강조하고 일선동화를 촉진하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연예관 공연에는 기생의 일본음악 연주도 포함되었다. 『경성일보』는 연예관 공연 프로그램에 기생조합의 명칭이나 무인 수를 부정확하게 게재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무용전문가는 조선의 악무를 일본 악무의 잣대로 보고 위화감을 표현하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그것이 조선예술의 특징이라 하고 양국 무용에 상통하는 면이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일본인의 시각에는 무용을 통하여 동아시아예술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찾으려는 측면이 반영되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제 강점 이후 첫 번째 천황 탄생일(천장절) 기념행사로 열린 제등 행렬에는 일본의 육군군악대 외에 이왕직아악대의 취고수로 보이는 악대가 참가했고, 원유회에서는 천황에 대한 충성의 의미를 담은 일본극과 함께 조선극이 연행된 것으로 확인된다.
      1915년의 석전제 절차는 현행과 같았지만 일무는 현행과는 달리 6일무로 구성되었다. 석전제 후에 진행된 강연회에서는 교육칙어가 교부되었고, 일본 지배를 정당화하고자 새롭게 해석된 온고지신이 강연주제로 사용되었다. 당시 석전제는 단지 공자를 비롯한 유교의 성현을 추모하는 행사라기보다는 조선인을 일본의 신민으로 동화시키려는 시책 확산의 장이었음을 지적할 수 있다.
      요컨대, 『경성신보』와 『경성일보』는 조선 공연예술에 관하여 기생의 악무와 일본 관련 기사로 매우 제한적으로 보도하고 있다. 이는 조선 공연예술에 대한 두 신문의 보도 방향을 보여주는 것으로, 『경성신보』와 『경성일보』는 조선의 음악과 무용을 공연예술로서의 예술성, 다양성, 가치의 측면에서는 다루지 않고 총독부 정책의 홍보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었다고 하겠다.
      번역하기

      이 글에서는 『경성신보』(1908~1912)와 『경성일보』(1911~1915)의 기사를 분석하여, 20세기 초 일본 매체에 나타난 조선 공연예술의 모습을 파악하고 일본인의 시각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경...

      이 글에서는 『경성신보』(1908~1912)와 『경성일보』(1911~1915)의 기사를 분석하여, 20세기 초 일본 매체에 나타난 조선 공연예술의 모습을 파악하고 일본인의 시각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경성신보』의 조선 공연예술 관련 기사는 전체 공연예술 기사의 2.15%, 『경성일보』의 조선 공연예술 기사는 전체 기사의 13.5%에 그치고 있다. 대부분이 기생의 악무에 관한 것이며 일본․일본악무․총독부 행사 등과 연관된 내용이다.
      1915년에 개최된 시정오년기념조선물산공진회의 연예관 상설공연 레퍼토리는 대부분 정재와 민속춤이었지만, 일제가 조선을 강점한 지 5년이 되는 해에 창작한 <시정오년기념성택무>도 있었다. 이 춤에는 내선일체를 강조하고 일선동화를 촉진하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연예관 공연에는 기생의 일본음악 연주도 포함되었다. 『경성일보』는 연예관 공연 프로그램에 기생조합의 명칭이나 무인 수를 부정확하게 게재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무용전문가는 조선의 악무를 일본 악무의 잣대로 보고 위화감을 표현하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그것이 조선예술의 특징이라 하고 양국 무용에 상통하는 면이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일본인의 시각에는 무용을 통하여 동아시아예술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찾으려는 측면이 반영되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제 강점 이후 첫 번째 천황 탄생일(천장절) 기념행사로 열린 제등 행렬에는 일본의 육군군악대 외에 이왕직아악대의 취고수로 보이는 악대가 참가했고, 원유회에서는 천황에 대한 충성의 의미를 담은 일본극과 함께 조선극이 연행된 것으로 확인된다.
      1915년의 석전제 절차는 현행과 같았지만 일무는 현행과는 달리 6일무로 구성되었다. 석전제 후에 진행된 강연회에서는 교육칙어가 교부되었고, 일본 지배를 정당화하고자 새롭게 해석된 온고지신이 강연주제로 사용되었다. 당시 석전제는 단지 공자를 비롯한 유교의 성현을 추모하는 행사라기보다는 조선인을 일본의 신민으로 동화시키려는 시책 확산의 장이었음을 지적할 수 있다.
      요컨대, 『경성신보』와 『경성일보』는 조선 공연예술에 관하여 기생의 악무와 일본 관련 기사로 매우 제한적으로 보도하고 있다. 이는 조선 공연예술에 대한 두 신문의 보도 방향을 보여주는 것으로, 『경성신보』와 『경성일보』는 조선의 음악과 무용을 공연예술로서의 예술성, 다양성, 가치의 측면에서는 다루지 않고 총독부 정책의 홍보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었다고 하겠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성신문"

      2 배연형, "한국유성기음반 1907~1945. 제5권" 민속원 2011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4 박수현,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8권" 독립기념관 2007

      5 권도희, "한국근대음악사회사" 민속원 2004

      6 김태현, "한국강점 전후 『경성신보』와 재한일본인사회의 동향" 한국민족운동사학회 (68) : 5-40, 2011

      7 송방송, "한겨레음악대사전" 보고사 2012

      8 주영하, "조선요리옥의 탄생:안순환과 명월관" 동양학연구원 (50) : 141-162, 2011

      9 이진원, "조선구파배우조합 시정오년기념 물산공진회 참여의 음악사적 고찰" 한국고음반연구회 13 : 2003

      10 권도희, "전기 녹음 이전 기생과 음반 산업" 한국고음반연구회 10 : 2000

      1 "황성신문"

      2 배연형, "한국유성기음반 1907~1945. 제5권" 민속원 2011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4 박수현,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8권" 독립기념관 2007

      5 권도희, "한국근대음악사회사" 민속원 2004

      6 김태현, "한국강점 전후 『경성신보』와 재한일본인사회의 동향" 한국민족운동사학회 (68) : 5-40, 2011

      7 송방송, "한겨레음악대사전" 보고사 2012

      8 주영하, "조선요리옥의 탄생:안순환과 명월관" 동양학연구원 (50) : 141-162, 2011

      9 이진원, "조선구파배우조합 시정오년기념 물산공진회 참여의 음악사적 고찰" 한국고음반연구회 13 : 2003

      10 권도희, "전기 녹음 이전 기생과 음반 산업" 한국고음반연구회 10 : 2000

      11 김영희, "일제강점기 초반 기생의 창작춤에 대한 연구-1910년대를 중심으로-" 한국음악사학회 (33) : 197-235, 2004

      12 한영숙, "일제강점기 예인들의 삶과 음악활동-매일신보와 유성기음반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예술연구소 9 : 2009

      13 김영희, "예단일백인 기사 중 기생에 대한 연구-한국근대무용사의 측면에서-" 한국무용교육학회 10 (10): 1999

      14 정진석, "언론조선총독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15 황영례, "안순환의 유교 종교화 운동과 녹동서원"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4

      16 류미나, "식민지권력에의 ‘협력’과 좌절― 經學院과 향교 및 문묘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6) : 157-191, 2005

      17 김영희, "시정오년기념조선물산공진회의 기생의 춤공연에 대한 연구" 국립국악원 (29) : 65-92, 2014

      18 송건호, "민족지성의 탐구" 창작과 비평사 1975

      19 "매일신보"

      20 "대한매일신보"

      21 권도희, "근대기생, 미정의 소수자" 한국사연구회 (164) : 91-124, 2014

      22 김태현, "광복 이전 일본인 경영 신문에 관한 연구 : 1881년부터 1945년까지 발행된 일본인 경영 민간지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06

      23 류미나, "경학원의국민도덕론생산" 인문과학연구소 (52) : 63-86, 2007

      24 이지선, "경성일보의 조선 및 일본 전통공연예술 관련 기사 목록" 국립국악원 (31) : 249-268, 2015

      25 이지선, "경성신보의 조선 및 일본 전통공연예술 관련 기사 목록" 국립국악원 (31) : 199-248, 2015

      26 朝鮮總督府, "朝鮮物産共進會報告書, 第1, 3券" 朝鮮總督府 1916

      27 "明治神宮 공식사이트"

      28 "公益社團法人 日本舞踊協會"

      29 藤村忠助, "京城日報社誌" 京城日報社 1920

      30 "京城日報"

      31 "京城新報"

      32 京城協贊會殘務取扱所, "京城協贊會報告" 京城協贊會殘務取扱所 1916

      33 오현화, "<藝壇一百人>을 통해 본 1910년대 기생집단의 성격" 민족어문학회 (49) : 316-349, 2004

      34 권도희, "20세기 기생의 음악사회사적 연구" 한국국악학회 29 : 2001

      35 이지선, "1910년대 조선에서의 일본 전통음악 사정 2" 한국국악교육학회 36 (36): 105-127, 2013

      36 이지선, "1910년대 조선에서의 일본 전통음악 사정 1 ― 1915년~1917년 전반기의 『경성일보』기사를 중심으로 ―" 일본연구소 (32) : 573-595, 2012

      37 최윤영, "1910년대 기생들의 춤 교육과 공연양상 연구"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2009

      38 정욱재, "1910-1920年代 經學院의 人的 構成과 役割: 司成과 講士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30 (30): 221-248, 2007

      39 이지선, "1900년대~1910년대 경성 소재 일본인 극장의 일본 전통예술 공연 양상" 국립국악원 (31) : 145-190, 2015

      40 민족문화추진회, "(국역)악학궤범 1" 민족문화추진회 196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7 0.97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5 0.88 1.394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