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중무상의 인성염불과 청화선사의 염불선 = Jeongjung Musang's Buddha chanting with sound and Cheonghwa Seonsa's Chanting medit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805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dissertation is to carefully look over, if there is a common point between Jeongjung Musang's buddha chanting with sound and Cheonghwa Seonsa's Chanting meditation, it is what. But there are two difficulties to solve. First, there is a time diffe...

      This dissertation is to carefully look over, if there is a common point between Jeongjung Musang's buddha chanting with sound and Cheonghwa Seonsa's Chanting meditation, it is what. But there are two difficulties to solve.
      First, there is a time difference about a thousand, some hundreds years in time between Tang dynasty and modern Korea.
      Second, it is a spacial difference. Although Jeongjung Musang was from Silla, the thing which gav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to his activities or the formation of his thought was China, especially Sichuan province.
      It is hard to ignore that the spacial difference is the cultural difference, the difference of thought. But, they share the cultural common point of Northeast Asia, that is, chinese letter cultural area, and the culture of Zen school.
      To compare with two thinkers may be like that a blind touches an elephant. Nevertheless, it has an ideological kinship, when it come to the common point that they have chinese letter and the Zen school.
      I cannot mention a direct relationship though, in the ideological or speculation system, it might be able to find out the common point between two Seon masters.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find out the common DNA which Buddhist thought or Seon thought has.
      Jeongjung Musang's Seon thought is the three doctrine alongside Buddha chanting with sound. For the three doctrine, there are 無憶(Not dwelling on retrospection), 無念(No-mind), 莫忘(No-deluded thought), among them, the main point is 無念(No-mind), this no-mind is not to raise any thought. Of course, such a conception is to say the non-discrimination which was said in Vimalakīrti Sūtra or Treatise on Awakening Mahayana Faith.
      Although Cheonghwa Seon Master was focusing on Chanting meditation, Chanting meditation he said does not mean the reciting buddha's name or the buddha chanting of Jeongto ideology. As we are able to know from "Because we are the buddha, and also we should be the buddha, the reason why I do the buddha chanting is to think the real I. Because the original buddha thinks the buddha, it goes to also 禪(Seon).", it might be translated as the buddha chanting for the contemplating the factual reality or the essence, and the buddha nature. So Chanting meditation Cheonghwa Seon Master said is the Seon of the factual reality buddha chanting based on Prajñā thought.
      Although there were time and spacial differences between Jeongjung Musang and Cheonghwa Seon Master, I could find out several common points.
      First, the two thinkers established their own independent ideological systems based on Prajñā thought. Jeongjung Musang had some ideological influences from Vimalakīrti Sūtra, Treatise on Awakening Mahayana Faith, and Big prajñāpāramitā sūtra.
      Especially if what the influence of the four books, Lankavatarasutra is to be transferred to the ideological influence of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 or Vimalakīrti Sūtra can be seen as the Seon of southern school, the Seon thought that was spread in the late period was also Prajñāpāramitā thought in its base.
      Simultaneously, the reverend Cheonghwa also established his own ideological system in the influence of Prajñā thought. The conception of the factual reality buddha chanting or Chanting meditation is perfectly standing on the position of Sunyata, non-obsession.
      Especially Cheonghwa Seon master willingly quoted Mahāprajñāpāramitāśāstra, the conception of buddha chanting used in Mahāprajñāpāramitāśāstra is also saying that the contemplating the buddha's body(佛身) or non-self-existence(無自性) Sunyata(空) of Guna(功德) in the position of Prajñā is the genuine buddha chanting.
      Second, it also can be said that the two thinkers were also successors of the southern school. When we divide Seon into north and south, for the southern school, it is needed to look over first the conception of southern school.
      That is, we normally say the southern school, it is tha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정중무상의 인성염불과 청화선사의 염불선의 상통점을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두 가지의 난점이 있다. 먼저 당나라와 근현대의 한국이라는, 시간적으로 일천 몇 백 년의...

      이 논문은 정중무상의 인성염불과 청화선사의 염불선의 상통점을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두 가지의 난점이 있다. 먼저 당나라와 근현대의 한국이라는, 시간적으로 일천 몇 백 년의 시차가 있다. 둘째는 공간적인 차이이다. 정중무상이 신라출신이라 하더라도 그가 주로 활동하거나 그의 사상 형성에 직간접의 영향을 미친 것은 중국, 그중에서도 사천지방이라는 점이다. 공간의 차이는 문화의 차이, 사고의 차이라는 점을 무시할 수 없다. 다만 동북아의 문화적 공통, 즉 한자문화권이라는 점과 선종의 문화를 공유하고 있다. 말하자면 불교사상이나 선사상이 지니는 공통의 DNA를 발견할 여지도 있다는 점이다.
      정중무상의 선사상은 인성염불과 함께 3구설법이다. 3구설법이란 無憶, 無念, 莫忘이며, 이중에서도 핵심은 無念이고, 이 무념은 念不起를 말한다. 청화선사는 염불선을 중시하고 있지만 그가 말하는 염불선은 칭명염불이나 타방정토설의 염불을 의미하지 않는다. “우리가 부처이기 때문에, 또 부처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염불은 따지고 보면 내가 참 나를 생각하는 것입니다. 본래 부처가 부처를 생각하기 때문에 역시 禪이 됩니다.”란 주장에서 알 수 있듯이 실상이나 본질, 불성을 관조하는 것을 염불로 해석한다. 바로 실상염불선이다.
      정중무상과 청화선사는 시공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점에서 상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두 사상가는 반야사상에 입각해 독자적인 사상체계를 수립하고 있다.
      둘째, 두 사상가 역시 남종의 계승자라 할 수 있다.
      셋째, 정중무상과 청화선사는 공히 실상염불선의 범주에 포함된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넷째, 정중무상의 인성염불은 망상을 끊고 생각을 모우기 위한 방편으로 소리를 끌어올리는 引聲의 방법을 겸용하지만 궁극적인 것은 무억, 무념, 막망의 삼구설법에 있다. 그러나 청화선사는 남종의 돈오선에 의거해 본질을 관조하라고 말한다.
      두 사상가의 동이점이란 시공의 차이를 넘어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고자 하는 대처방법에서 찾을 수 있다. 그것은 종교가로서 대중과 소통할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의 산물이라 볼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준호, "초기 부파불교에 나타난 염불과 선" 2014

      2 정성본, "중국선종의 성립사 연구" 민족사 1-929, 1991

      3 변인석, "정중무상대사" 한국학술정보 1-381, 2009

      4 성륜불서간행회, "원통불법의 요체" 성륜사 1-679, 1993

      5 본정, "실상염불선" 광륜출판사 1-473, 2013

      6 정성본, "신라선종의 연구" 민족사 1-352, 1995

      7 關口眞大, "선종사상사" 문학생활사 1-243, 1987

      8 楊曾文, "당오대선종사"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616, 1999

      9 "禪源諸詮集" 新文豊出版公司

      10 宇井伯壽, "禪宗史硏究 卷4" 岩波書店 1966

      1 조준호, "초기 부파불교에 나타난 염불과 선" 2014

      2 정성본, "중국선종의 성립사 연구" 민족사 1-929, 1991

      3 변인석, "정중무상대사" 한국학술정보 1-381, 2009

      4 성륜불서간행회, "원통불법의 요체" 성륜사 1-679, 1993

      5 본정, "실상염불선" 광륜출판사 1-473, 2013

      6 정성본, "신라선종의 연구" 민족사 1-352, 1995

      7 關口眞大, "선종사상사" 문학생활사 1-243, 1987

      8 楊曾文, "당오대선종사"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616, 1999

      9 "禪源諸詮集" 新文豊出版公司

      10 宇井伯壽, "禪宗史硏究 卷4" 岩波書店 1966

      11 鈴木大拙, "禪宗史硏究 卷2" 岩波書店 1951

      12 "楞伽師資記"

      13 "曆代法寶記"

      14 "景德傳燈錄"

      15 "大智度論"

      16 "圓覺經大疏釋義鈔"

      17 杜繼文, "中國禪宗通史" 江西人民出版社 1-649, 1996

      18 葛兆光, "中國禪宗思想史" 北京大學出版社 1995

      19 印順, "中國禪宗史" 江西人民出版社 1-346, 1999

      20 박경준, "<대지도론>에 나타난 대승의 염불과 선 _청화의 실상염불선과 관련하여_" 인도철학회 (42) : 231-259,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5-14 학회명변경 한글명 : 재단법인 선학원 부설 한국불교선리연구원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6 0.56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1 1.365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