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숏폼 동영상 콘텐츠 표현 전략 연구 : 국내외 SPA 브랜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xpression Strategies of Short-form Video Contents on SNS Platform: Focused on F ashion S PA B ran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512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숏폼 동영상 콘텐츠는 짧은 길이로 한정된 시간 동안 주목을 끌고 확실한 내용을 전달해야 하므로 어떻게 메시지를 표현할 것인가가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SNS 플랫폼상의 숏폼 동영상 콘텐츠의 메시지와 표현요소의 특성과 그에 따른 콘텐츠 반응성 분석을 통해 향후 SPA 브랜드의 브랜드 콘텐츠로서 숏폼 동영상 사용 전략을 제시하고자 국내외 SPA 브랜드의 인스타그램, 틱톡의 숏폼 동영상을 분석대상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SPA 브랜드의 숏폼 동영상 콘텐츠의 영상 길이는 다양하다. SPA 브랜드는 모델로 전문모델을 주로 사용하며, 제품이나 스타일을 콘텐츠의 주요 내용으로 하여 감성전달적 관점으로 시각적 표현을 가미한 감각적 표현을 위주로 사용하고 있다. 콘텐츠 반응성은 시각적, 청각적 표현에 따라 차이가 존재한다. 인스타그램의 경우 제품과 서비스에 초점을 둔 시각적 수행 제작을 했을 때, 틱톡은 영상보다 청각적 수행 제작을 했을 때 더 높은 반응성을 보였다. 크리에이티브에 따라서 인스타그램에서는 극적 표현이 상당히 높은 반응성을 보이고, 틱톡에서는 유머 표현이 높은 반응성을 보였다. 브랜드 콘텐츠로서 숏폼 동영상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짧은 시간 내에 소비자의 반응을 얻을 수 있는 콘텐츠의 개발에 중점을 두고 플랫폼별 특성에 맞는 표현전략을 활용해 나가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숏폼 동영상 콘텐츠는 짧은 길이로 한정된 시간 동안 주목을 끌고 확실한 내용을 전달해야 하므로 어떻게 메시지를 표현할 것인가가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SNS 플랫폼상의 숏폼 동영상 ...

      숏폼 동영상 콘텐츠는 짧은 길이로 한정된 시간 동안 주목을 끌고 확실한 내용을 전달해야 하므로 어떻게 메시지를 표현할 것인가가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SNS 플랫폼상의 숏폼 동영상 콘텐츠의 메시지와 표현요소의 특성과 그에 따른 콘텐츠 반응성 분석을 통해 향후 SPA 브랜드의 브랜드 콘텐츠로서 숏폼 동영상 사용 전략을 제시하고자 국내외 SPA 브랜드의 인스타그램, 틱톡의 숏폼 동영상을 분석대상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SPA 브랜드의 숏폼 동영상 콘텐츠의 영상 길이는 다양하다. SPA 브랜드는 모델로 전문모델을 주로 사용하며, 제품이나 스타일을 콘텐츠의 주요 내용으로 하여 감성전달적 관점으로 시각적 표현을 가미한 감각적 표현을 위주로 사용하고 있다. 콘텐츠 반응성은 시각적, 청각적 표현에 따라 차이가 존재한다. 인스타그램의 경우 제품과 서비스에 초점을 둔 시각적 수행 제작을 했을 때, 틱톡은 영상보다 청각적 수행 제작을 했을 때 더 높은 반응성을 보였다. 크리에이티브에 따라서 인스타그램에서는 극적 표현이 상당히 높은 반응성을 보이고, 틱톡에서는 유머 표현이 높은 반응성을 보였다. 브랜드 콘텐츠로서 숏폼 동영상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짧은 시간 내에 소비자의 반응을 얻을 수 있는 콘텐츠의 개발에 중점을 두고 플랫폼별 특성에 맞는 표현전략을 활용해 나가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hort-form video contents have to attract consumer’s attention for a limited time due to their short length and deliver clear content, so how to express the message and creative elements are important. This study aims to suggest strategies for using short-form videos as brand content for SPA brands in the future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short-form videos on SNS platforms, such as messages and expression elements, focusing on SPA brands, which are fast fashion brands. For this purpos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hort-form videos of Instagram and TikTok, which are SNS platforms of domestic and foreign SPA brand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video length of the short-form content of the SPA brand varies. It can be seen that the SPA brands mainly use professional models as models, and present products or styles as the main component of the content. The reactivities to the contents differ depending on visual and auditory expression. Especially, in the case of Instagram, the short-form videos with high visual performance focused on products and services get high reactivities to the contents. Also in the case of TikTok, the short-form videos with high audio performance production get high reactivities than others. Depending on the creative strategy, dramatic expressions got the higher reactivities on Instagram and humorous expressions got the higher reactivities on TikTok. In order to effectively use short-form videos as brand contents, SPA brands should focus on the creation of content that can get consumer responses within a short time, and use it as a brand marketing tool through an expression strategies customiz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NS platform.
      번역하기

      Short-form video contents have to attract consumer’s attention for a limited time due to their short length and deliver clear content, so how to express the message and creative elements are important. This study aims to suggest strategies for using...

      Short-form video contents have to attract consumer’s attention for a limited time due to their short length and deliver clear content, so how to express the message and creative elements are important. This study aims to suggest strategies for using short-form videos as brand content for SPA brands in the future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short-form videos on SNS platforms, such as messages and expression elements, focusing on SPA brands, which are fast fashion brands. For this purpos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hort-form videos of Instagram and TikTok, which are SNS platforms of domestic and foreign SPA brand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video length of the short-form content of the SPA brand varies. It can be seen that the SPA brands mainly use professional models as models, and present products or styles as the main component of the content. The reactivities to the contents differ depending on visual and auditory expression. Especially, in the case of Instagram, the short-form videos with high visual performance focused on products and services get high reactivities to the contents. Also in the case of TikTok, the short-form videos with high audio performance production get high reactivities than others. Depending on the creative strategy, dramatic expressions got the higher reactivities on Instagram and humorous expressions got the higher reactivities on TikTok. In order to effectively use short-form videos as brand contents, SPA brands should focus on the creation of content that can get consumer responses within a short time, and use it as a brand marketing tool through an expression strategies customiz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NS platfor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4. 숏폼 동영상 콘텐츠의 표현요소별 특성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4. 숏폼 동영상 콘텐츠의 표현요소별 특성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MezzoMedia 미디어기획팀, "타깃 오디언스 리포트"

      2 문달주, "크리에이티브 요소를 통한 계층적 광고효과 모델에 관한 실증 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64) : 109-137, 2004

      3 김기민, "콘텐츠의 크리에이티브 요소와 지각된 콘텐츠 속성 따른 비교효과 연구: 유튜브 뷰티 콘텐츠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OOH광고학회 14 (14): 5-33, 2017

      4 이유진, "짧은 동영상 이용 동기가 동영상 유형별 이용 정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32 (32): 65-102, 2018

      5 양지훈, "중국과 미국의 짧은 동영상 콘텐츠 고품질화 시도"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2018

      6 우수희, "인스타그램 IGTV 의 사용자 경험 연구 -패션·뷰티 콘텐츠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7 (17): 405-411, 2019

      7 박정이, "유튜브 브랜드 채널 콘텐츠의 커뮤니케이션 전략" 한국광고홍보학회 20 (20): 95-151, 2018

      8 김현숙, "스낵 영상 콘텐츠의 표현 방식" 한국애니메이션학회 14 (14): 234-249, 2018

      9 최여여, "숏폼(Shortform) 동영상 기반 브랜드의 전략적 경험 디자인 - 李子柒(이자칠)의 미식(美食) 동영상을 중심으로 -" 한국콘텐츠학회 20 (20): 185-194, 2020

      10 김세진, "숏폼 패션영상의 특성과 제작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 45 (45): 200-216, 2021

      1 MezzoMedia 미디어기획팀, "타깃 오디언스 리포트"

      2 문달주, "크리에이티브 요소를 통한 계층적 광고효과 모델에 관한 실증 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64) : 109-137, 2004

      3 김기민, "콘텐츠의 크리에이티브 요소와 지각된 콘텐츠 속성 따른 비교효과 연구: 유튜브 뷰티 콘텐츠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OOH광고학회 14 (14): 5-33, 2017

      4 이유진, "짧은 동영상 이용 동기가 동영상 유형별 이용 정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32 (32): 65-102, 2018

      5 양지훈, "중국과 미국의 짧은 동영상 콘텐츠 고품질화 시도"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2018

      6 우수희, "인스타그램 IGTV 의 사용자 경험 연구 -패션·뷰티 콘텐츠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7 (17): 405-411, 2019

      7 박정이, "유튜브 브랜드 채널 콘텐츠의 커뮤니케이션 전략" 한국광고홍보학회 20 (20): 95-151, 2018

      8 김현숙, "스낵 영상 콘텐츠의 표현 방식" 한국애니메이션학회 14 (14): 234-249, 2018

      9 최여여, "숏폼(Shortform) 동영상 기반 브랜드의 전략적 경험 디자인 - 李子柒(이자칠)의 미식(美食) 동영상을 중심으로 -" 한국콘텐츠학회 20 (20): 185-194, 2020

      10 김세진, "숏폼 패션영상의 특성과 제작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 45 (45): 200-216, 2021

      11 김현지, "숏폼 콘텐츠 트렌드" 한국마케팅연구원 54 (54): 2020

      12 조윤성, "숏폼 영상의 경험적 특성이 브랜드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5 (5): 284-293, 2020

      13 이진, "숏폼 동영상 콘텐츠의 유형 연구" 인문콘텐츠학회 (58) : 121-139, 2020

      14 우정, "쇼트 클립 플랫폼 이용동기, 지각된 가치, 만족도, 지속적 사용의도의 인과적 관계: Tik Tok 중국 이용자를 중심으로" 한국경영교육학회 35 (35): 471-502, 2020

      15 서현진,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SPA 브랜드 인식 연구" 한국복식학회 71 (71): 143-159, 2021

      16 성민정, "브랜드 콘텐트 이용 현황과 전략적 활용 방안: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전문가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PR학회 16 (16): 5-50, 2012

      17 장경혜, "글로벌 패션브랜드 광고의 유형 분석 - 패션광고 사진이미지 구성요소와 표현형식을 중심으로 -" 한국의상디자인학회 19 (19): 17-27, 2017

      18 서보윤, "글로벌 자동차 기업의 인스타그램 브랜드 콘텐츠 전략 연구"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45) : 275-298, 2020

      19 이경미, "글로벌 SPA 브랜드의 이미지기반 마케팅 핀터레스트에 관한 사례 분석 - UNIQLO, ZARA, H&M의 핀터레스트 상의 플랫폼을 중심으로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5 (15): 129-146, 2015

      20 김정현, "광고 표현요소의 커뮤티케이션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학회 14 (14): 209-229, 2003

      21 신홍주, "VR 애니메이션의 액자구성 연구" 한국애니메이션학회 14 (14): 70-85, 2018

      22 C. Tomkovic, "The USA’s biggest marketing event keeps getting bigger: An in-depth look at Supe Bowl advertising in the 1990s" 7 (7): 2001

      23 C. Pechmann, "The Effects of Comparative Advertising on Attention, Memory, and Purchase Intentions" 17 (17): 1990

      24 천현숙, "TV 광고 크리에이티브 요소에 대한 소비자 반응 연구 : TV CF.co.kr의 광고 댓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14 (14): 99-140, 2012

      25 J. Bercovici, "Short-form vs long-form video: The answer is sometimes both"

      26 G. Genette, "Paratexts: Thresholds of interpret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27 S. Hughes, "Long-form video, short-form video, or micro-video? The best lengths for reaching your video marketing goals"

      28 이승연, "K-pop 음악의 글로벌 성공 요인 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3 (13): 1-15, 2019

      29 AQ Content, "Is short-form or long-form best for your video marketing?"

      30 "How Instagram's IGTV catch Youtube? Thinking Note"

      31 E. G. Smit, "Effects of advertising likeability: A 10-Year Perspective" 46 (46): 2006

      32 K. Newstead, "Cost per second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15-and 30-second television advertisements" 50 (50): 2010

      33 K. Goodrich, "Consumer reactions to intrusiveness of online video advertisements" 55 (55): 2015

      34 Interbrand, "Best Gobal Brands"

      35 R. E. Taylor, "A six-segment message strategy wheel" 39 (39): 1999

      36 박현길, "6초 광고" 한국마케팅연구원 52 (52): 2018

      37 D. Harrington, "2018년에는 6초짜리 동영상을 만들어야 하는 이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0.9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6 0.9 1.289 0.4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