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근대를 다시 읽는다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10734546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역사비평사, 2006

      • 발행연도

        2006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951.903 판사항(21)

      • ISBN

        897696523X(v.1) 94910
        9788976965233(v.1)
        8976965248(v.2) 94910
        8976965256(세트)
        9788976965257(세트)

      • 자료형태

        일반단행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근대를 다시 읽는다 / 윤해동 [외] 엮음.

      • 기타서명

        한국 근대 인식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위하여

      • 형태사항

        2책 : 삽도 ; 24 cm.

      • 일반주기명

        공엮은이: 천정환, 허수, 황병주, 이용기, 윤대석.
        공지은이: 강인철, 권명아, 권보드래, 김보현, 김성례. 김영미, 김원, 김준, 김현주, 류시현, 양현아, 오성철, 유선영, 윤대석, 윤해동, 이기훈, 이승엽, 이용기, 이임하, 이타가키 류타, 임종명, 장석만, 차승기, 천정환, 한기형, 허수, 홍종욱, 황병주.
        후주 및 색인 수록

      • 소장기관
        • 가톨릭관동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중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수원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상국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인교육대학교 도서관(경기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인교육대학교 도서관(인천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고려대학교 세종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광운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강릉원주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군산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금오공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순천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국립한국해양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대구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명지대학교 자연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배재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상명대학교 천안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서강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서울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대학교 법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도서관 Deep Link
        •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서울시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성공회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성균관대학교 삼성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세종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순천향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숭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신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아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영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울산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을지대학교 대전캠퍼스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장로회신학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주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조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청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충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한국과학기술원(KAIST) 문지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학술문화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교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체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성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신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문정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volume. vol.1]----------
      • 목차
      • 머리말 - 한국 근대 인식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위하여 = 11
      • 1. 『인식』 대 『재인식』 - 낡은 진영 대립을 넘어서 = 11
      • 2. 차이와 반복 - 대립의 논리적 한계 = 14
      • [volume. vol.1]----------
      • 목차
      • 머리말 - 한국 근대 인식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위하여 = 11
      • 1. 『인식』 대 『재인식』 - 낡은 진영 대립을 넘어서 = 11
      • 2. 차이와 반복 - 대립의 논리적 한계 = 14
      • 3. 한국 근대에 대한 새로운 시선 = 16
      • 4. 무엇을 하고자 하는가 - 낡은 근대, 젊은 비판 = 19
      • 5. 인문학의 근대를 넘어 = 25
      • 1부 식민지 근대라는 문제의식 - 모든 근대는 식민지 근대이다
      • 1부를 묶으며 / 윤해동 = 30
      • 식민지 인식의 '회색지대' / 윤해동 = 37
      • 1. 문제제기 - 왜 회색지대인가 = 37
      • 2. 저항과 협력의 변증법 - 식민지적 공공성의 의미 = 40
      • 3. 근대화와 규율권력 = 51
      • 4. 결론에 대신하여 = 59
      • 한국 의례 담론의 형성 / 장석만 = 63
      • 1. 문제제기 - 우리에게 의례란 무엇인가 = 63
      • 2. 유교 허례허식 비판 = 66
      • 진보적이지 못한 보수성
      • 자연스런 감정을 억압하는 것
      • 내면의 진정성에 어긋나는 허위와 가식
      • 그 밖의 이유 - 비경제성과 사대주의
      • 3. 개신교의 반(反)의례성 담론 = 75
      • 4. 문명적 의례의 필요성 = 78
      • 5. 결론 = 81
      • 조회의 내력 / 오성철 = 85
      • 1. 서론 = 85
      • 2. 일본 근대교육과 조회 = 90
      • 조회의 탄생
      • 파시즘의 전개와 학교 규율
      • 3. 식민지 조선 교육과 조회 = 103
      • 조회의 도입
      • 황국신민화 정책과 학교 규율
      • 4. 일본 교육과 식민지 조선 교육의 연속성 = 116
      • 5. 결론을 대신하여 = 121
      • 식민지의 우울 / 이타가키 류타 = 125
      • 1. 들어가는 말 = 125
      • 2. 일기와 그 배경 = 128
      • S씨의 궤적
      • 일기의 특징
      • 3. 농촌의 우울과 '민족' = 131
      • 4. '일본'은 어디에 있는가 = 138
      • '일본'이라는 존재
      • 행정과의 거리
      • 5. '중견인물'이 된다는 것 = 144
      • 6. 맺음말 = 146
      • 2부 '친일'의 논리 - '협력'은 사상이다
      • 2부를 묶으며 / 윤대석 = 150
      • 식민지 국민문학론 / 윤대석 = 157
      • 1. '국민문학' 논의의 수위 = 157
      • 2. 차이와 반복(0) - 뒤틀림(ひねくれ) = 160
      • 3. 반복과 차이(1) - 김사량 = 165
      • 4. 반복과 차이(2) - 최재서ㆍ김종한 = 171
      • 5. 반복과 차이(3) - 이석훈 = 174
      • 6. 반복과 차이(4) - 식민지 본국인 작가 = 178
      • 7. 모순과 균열의 봉합 = 183
      • 여자 스파이단의 신화와 '좋은 일본인' 되기 / 권명아 = 189
      • 1. 스파이 담론, '좋은 일본인 되기'의 엔진 = 189
      • 2. 여자 스파이단의 신화 - '대동아'의 신체와 여성 = 192
      • 3. 국민방첩과 스파이 담론 - 잠재된 적과 현실의 가상화 = 198
      • 4. 스파이 담론과 '좋은 일본인 되기' - 가상의 현실화 = 204
      • 5. 좋은 일본인 되기 - 좋은 일본인으로 죽거나 나쁜 일본인으로 죽거나 = 212
      • 조선인 내선일체론자의 전향과 동화의 논리 / 이승엽 = 217
      • 1. 머리말 = 217
      • 2. 정세 인식과 전망 = 219
      • 조선독립의 가능성
      • 조선 민족운동에 대한 인식
      • 국제정세에 대한 인식
      • 3. 자기부정과 제국으로의 동화 = 223
      • 자기부정의 출발점 - '조선적(朝鮮籍)의 개인'
      • 자기부정 - 역사 전통과 조선인 사회의 부정
      • 제국으로의 동화
      • 4. '평행제휴론'과의 대립 및 내선평등의 촉구 = 232
      • '평행제휴론'과의 대립
      • 내선평등의 촉구
      • 호적법 개정문제-내선일체 실현의 최종단계
      • 5. 맺음말 = 242
      • 해방을 전후한 주체 형성의 기도 / 홍종욱 = 245
      • 1. 들어가며 = 245
      • 2. 1930년대 중반 - 식민지하 주체 형성의 곤란 = 246
      • 사회운동의 쇠퇴와 '비식민지화'
      • 조선연구ㆍ반제민족통일전선의 아포리아
      • 사회성격논쟁과 식민지 문제
      • 3. 전시기 - 주체 형성 기도로서의 전향 = 253
      • 중일전쟁과 대량 전향
      • '협화적 내선일체론'이라는 기투
      • 굴절된 '공동전선'으로서의 전향
      • 4. 해방 이후 - 주체의 굴절과 변용 = 261
      • 해방을 전후한 연속과 단절
      • 냉전체제의 형성과 주체의 변용
      • 5. 나오며 = 264
      • 3부 '대한민국'과 국민만들기 - 태초에 전쟁이 있었다
      • 3부를 묶으며 / 황병주 = 268
      • 여순 '반란'의 재현을 통한 대한민국의 형상화 / 임종명 = 277
      • 1. 재현(再現), 국가/텍스트(text) = 277
      • 2. 대한민국 - 민족 삶의 수호자 = 286
      • 3. 대한민국 - 운명의 주재자 = 292
      • 4. 대한민국 - 관념과 실천의 조직자 = 298
      • 5. 균열하는 텍스트/충돌하는 대한민국들 = 305
      • 해방 직후 정회(町會)를 통해 본 도시 기층사회의 변화 / 김영미 = 315
      • 1. 머리말 = 315
      • 2. 일제시기 정회제와 주민생활 = 317
      • 3. 해방 직후 주민운동과 정회의 변화 = 324
      • 주민자치와 정회 개조
      • 정연합회의 변화와 정회의 정치세력화
      • '쌀 요구투쟁'
      • 4. 배급제의 정비와 기층 지배체제의 강화 = 336
      • 배급제의 정비와 정회 주도세력의 변화
      • 동회 개편과 기층 지배체제의 강화
      • 5. 맺음말 = 345
      • 한국전쟁과 사회의식 및 문화의 변화 / 강인철 = 349
      • 1. 머리말 = 349
      • 2. 국민 형성 및 통합의 '사회적' 기초들 = 354
      • 3. 국민 형성 및 통합의 '문화적' 기초 - 시민종교의 등장 = 367
      • 시민종교의 전사(前史)
      • 시민종교의 신념체계
      • 시민종교의 성인, 성소, 의례
      • 4. 한국적 근대의 형성 = 392
      • 도시에서 전통의 근대적 변용
      • 도시의 근대화와 대중문화의 발전
      • 농촌의 재전통화
      • 5. 독자적인 청년문화의 형성과 4ㆍ19 = 424
      • 6. 맺음말 = 431
      • 한국전쟁과 여성 / 이임하 = 435
      • 1. 무엇이 문제인가 = 435
      • 2. 미망인이라는 용어와 전쟁미망인의 범주 = 437
      • 3. 전쟁미망인의 실태와 국가의 구호대책 = 438
      • 전쟁미망인의 수
      • 전쟁미망인의 생활실태
      • 수산장과 모자원의 운영
      • 군경유가족 연금정책
      • 4. 전쟁미망인에 대한 사회적 규정 = 448
      • 보호의 대상 - '무력한' 미망인의 이미지
      • 성적 규제의 대상 - 도덕적 희생양 또는 깨어진 그릇
      • 굶어 죽는 한이 있더라도 정조를 지켜라
      • 5. 전쟁미망인의 생활 = 456
      • 상업
      • 전통적으로 여성노동으로 간주되었던 노동 및 일용노동
      • 농업노동
      • 첩 또는 내연의 관계
      • 성매매
      • 시댁이나 친정에 의탁
      • 6. 전쟁과 여성 = 465
      • 박정희 체제의 지배담론과 대중의 국민화 / 황병주 = 469
      • 1. 근대화의 덫 = 469
      • 2. 박정희 정권의 지배담론 - 평등주의적 압력을 중심으로 = 473
      • 3. 대중정치와 대중동원 = 483
      • 새마을운동과 농민
      • '노동자계급'과 '산업전사ㆍ국민' 사이에서
      • 4. 대중의 국민화와 그 역설 = 504
      • 박정희 정권기 저항엘리트들의 이중성과 역설 / 김보현 = 509
      • 1. 머리말 = 509
      • 2. 또 하나의 민족주의 = 512
      • 3. 민주주의 회복론 = 517
      • 4. 성사적(聖事的) 사고와 실천 = 524
      • 5. 개발주의에 저항한 개발주의 = 533
      • 6. 맺음말 = 544
      • 자료실
      • 논문이 처음 실린 곳 = 548
      • 표 = 549
      • 미주 = 564
      • 찾아보기 = 586
      • [volume. vol.2]----------
      • 목차
      • 4부 근대성과 새로운 문화 - 개인적인 것이 정치적인 것이다
      • 4부를 묶으며 / 천정환 = 12
      • 1920~30년대의 책 읽기와 문화의 변화 / 천정환 = 19
      • 1. 들어가면서 = 19
      • 2. 1920~30년대 책 발간 추세 = 21
      • 독서인구의 급격한 증가
      • 1920년대 조선문 출판물 허가 건수 추세
      • 검열과 출판의 자유
      • 3. 매뉴얼과 포르노그래피의 시대 = 29
      • 기능적 독서의 시작 - 근대의 책은 실용서
      • 교재ㆍ수험서와 처세ㆍ출세를 위한 책 읽기
      • 오락과 '취미'로서의 책 읽기
      • 4. 책 읽기에 나타난 비동시적 근대 = 41
      • 세대 절단 - 사회주의와 문학에 나타난 누벨바그
      • 어린이의 발견과 어린이 책
      • '비'근대적 책 읽기 - 족보와 『정감록』 붐에 나타난 구세대의 불안
      • 5. 일본어로 책 읽기 = 60
      • 일본어 책을 읽는 여러 이유
      • 한글과 조선어의 위기
      • 이중언어, 이중구속 - 장혁주의 운명
      • '순한글 창작'이라는 신화
      • 계급문학론의 민족문학
      • 1920년대 초반의 사회와 연애 / 권보드래 = 97
      • 1. 서론 = 97
      • 2. 육체와 사랑 = 100
      • 춘향의 첫날밤
      • 처녀, 목숨을 건 자격?
      • 신성한 연애 혹은 영적(靈的) 사랑
      • 신성한 연애 혹은 영육일치
      • 일본의 성욕학(性慾學)과 조선
      • 불순혈설(不純血說)의 소설적 표현
      • 성욕(性慾)과 자연과 병(病)
      • 3. 연애의 죽음과 생 = 116
      • 외래 풍조로서의 정사(情死)
      • 정사(情死)의 소설 또는 현실
      • 강명화와 윤심덕
      • 1923년, 변화의 기미
      • '붉은 사랑'의 대중
      • 4. 연애의 시대 또는 개조의 시대 = 129
      • 초기 영화의 문화적 수용과 관객성 / 유선영 = 133
      • 1. 식민지 초기 영화수용과 관객성의 문제 = 133
      • 2. 초기 영화의 도입과정 - 활동사진 관람을 부추기는 식민지 사회 = 138
      • 3. 식민지 영화수용과 경험 그리고 관객성 = 143
      • 초기 영화 - 도시적 근대성의 사실적 재현물로서의 서구 영화
      • 영화에 대한 충격과 시각적 오인
      • 전통적 유흥감수성에 의한 시각이미지의 포획 - '노는 사진'과 굿
      • 프로그램의 이접(離接)과 청각적 봉합
      • 식민지 극장구경 - 감시와 인종차별
      • 4. 식민지의 시네마 근대성 - 초기 영화시대의 지연과 지체 그리고 변조 = 167
      • 문화정치기 검열정책과 식민지 미디어 / 한기형 = 179
      • 1. 문화정치의 미디어 허용 - 식민지 효율성의 제고 = 179
      • 2. 문화정치기 검열정책의 혼란 - 미디어를 둘러싼 공방의 여파 = 185
      • 3. 미디어 정책에 대한 검열당국의 회의 - 필화사건의 원인과 그 파장 = 191
      • 4. 『개벽』의 폐간과 문화정치의 종언 - 잡지 미디어의 분화 계기 = 201
      • 5부 근대인식과 담론분석 - 언어는 권력이다
      • 5부를 묶으며 / 허수 = 212
      • 동양적 세계와 '조선'의 시간 / 차승기 = 219
      • 1. 근대의 '위기'와 문화적 특수주의의 대두 = 219
      • 2. '자연=과거=동양(조선)적 전통'의 세계 = 222
      • 3. 전통주의의 시간의식 = 230
      • 에피파니적 시간의식
      • 노스탤지어적 시간의식
      • 4. 전통주의와 심미주의 = 249
      • 청년의 시대 / 이기훈 = 257
      • 1. 머리말 = 257
      • 2. 1920년대 민족주의 청년담론의 성립 - 민족의 주체, 근대의 주체 = 259
      • '개조'와 '문화' - 1920년대 전반 식민지 조선과 문화운동
      • 문화운동과 청년담론
      • 3. 청년과 민족, 청년과 권력 = 267
      • 민족 선도자로서의 청년
      • 청년회 - '자수자양'의 정치적 공간
      • 4. 청년과 청년성 - 어떻게 청년이 될 것인가? = 277
      • 청년성의 문제
      • 수양을 통한 청년 되기
      • 5. 민족주의 청년담론의 전환 = 290
      • 준비하는 청년 - 급진적 청년에 대한 대응
      • 농촌으로의 전환 - 농촌의 청년, 농촌으로 돌아가는 청년
      • 6. 민족주의 청년담론과 성(性) = 300
      • 1920년대 청년담론의 남성중심성
      • 여성 주체의 형성 - '여자청년(청년여자)'와 신여성
      • 7. 맺음말 = 306
      • 논쟁의 정치와 「민족개조론」의 글쓰기 / 김현주 = 309
      • 1. 머리말 = 309
      • 2. 과학적 제안서로서의 「민족개조론」 = 312
      • 「민족개조론」의 장르 - 제안서
      • 제안서의 이데올로기 - 기획과 방법의 사상
      • 3. 대중 통치학으로서의 '민족개조론' = 319
      • 새로운 통치학의 원료 - 사회(대중)심리학
      • 사회(대중)심리학의 수사학 - 계몽주의 정치언어의 해체
      • 4. 맺음말 = 331
      • 1920년 전후 이돈화의 현실인식과 근대철학 수용 / 허수 = 335
      • 1. 머리말 = 335
      • 2. 사회와 개조에 대한 관심 = 341
      • 3. '최후종교'로서의 천도교 = 349
      • 4. 종교와 사회의 매개로서의 '철학' = 355
      • 신칸트학설을 인내천주의에 포섭
      • 이노우에 데쓰지로 철학의 영향과 함의
      • 5. 맺음말 = 371
      • 일제하 최남선의 불교인식과 '조선불교'의 탐구 / 류시현 = 375
      • 1. 서론 = 375
      • 2. 학문으로서의 불교와 신앙으로서의 불교 체험 = 378
      • 3. 당대 불교계에 대한 관심과 비판 = 386
      • 불교계 학자ㆍ승려와의 교류
      • 한말ㆍ일제시대 불교계에 대한 비판과 대안 제시
      • 4. 「조선불교」와 일본 중심의 문화권 논의 = 393
      • 외래 종교인 불교에서 '조선불교'의 발견
      • 조선적인 것의 고유성과 문화적 보편성과의 충돌
      • 5. 결론 = 402
      • 6부 '민중'의 경험과 기억 - 하위주체는 말할 수 있는가
      • 6부를 묶으며 / 이용기 = 406
      • 증언과 역사쓰기 / 양현아 = 415
      • 1. 문제제기 - '할머니들'의 기억 = 415
      • 2. 전시 성폭력과 여성/성 = 422
      • 3. 분석대상과 방법 = 426
      • 조사과정과 분석대상
      • 자기재현과 증언재현
      • 체험의 선별과 의미의 해독
      • 4. 증언 분석 - 혼인, 자녀 그리고 자기 자신 = 432
      • 독신 - '양심'이라는 것
      • 동거 파탄 - '소문'
      • 동거 파탄 - 불임
      • 동거 유지 - 필요
      • 동거 유지 - 자식
      • 동거 유지 - '탈여성화'
      • 자신이 '보는' 여성 - 사랑과 향수
      • 5. 결론 - 타자화를 넘어서 = 447
      • 마을에서의 한국전쟁 경험과 그 기억 / 이용기 = 451
      • 1. 들어가며 = 451
      • 2. 전쟁 전의 마을 = 456
      • 해방 전의 계급구성과 세력관계
      • '이천의 모스크바'로 불리게 되기까지
      • 3. '인공'점령기의 전쟁동원과 마을의 대응 = 468
      • 개전(開戰)과 인민위원회 결성 - '계급노선'의 실상
      • 의용군 모집과 토지개혁 - 고통과 희망에 대처하는 방식
      • 4. 대한민국의 질서회복과 국가 - 농민 관계 = 479
      • '수복'과 국가에 대한 공포의 충성서약
      • 전후 폐허를 딛고 서는 힘의 실체
      • 5. 나오며 - 전쟁의 경험ㆍ기억ㆍ구술 = 486
      • 근대성과 폭력 / 김성례 = 495
      • 1. 머리말 = 495
      • 2. 근대성의 기념비적 역사 = 499
      • 3. 생존자의 조각난 기억 = 501
      • 4. 4ㆍ3 위령제 - 기념비적 재현 = 503
      • 5. 4ㆍ3 명칭의 의미 - 이념적 폭력과 희생 = 508
      • 6. 사건의 진실과 재현의 한계 = 510
      • 7. '용서와 화합' - 망각의 기만적 가면 = 514
      • 8. "죽은 영혼의 울음" - 진정한 애도의례 = 519
      • 1970년대 여공과 민주노조운동 / 김원 = 525
      • 1. 서론 - 문제제기와 방법론 = 525
      • 2. 1970년대 여성노동운동을 둘러싼 '민주 대 어용' 담론에 기초한 해석의 검토 = 529
      • 3. '민주 대 어용' 균열구도에 대한 비판적 검토 = 534
      • 청계피복노조, 지식인의 정치적 실험장
      • 동일방직, 1970년대 민주노조의 신화
      • 4. 결론 = 558
      • 1970년대 여성노동자의 일상생활과 의식 / 김준 = 563
      • 1. 머리말 - 1970년대의 노동사회와 여성노동자 = 563
      • 2. 기존 연구와 '모범근로자 수기' 분석의 의의 = 567
      • 기존 연구
      • '모범근로자 수기' 분석의 의의
      • 3. 여성노동자와 가족 = 572
      • 고난의 원인이자 배경으로서의 가족
      • 가족을 위한 희생
      • 4. 회사 - 새로운 세계 = 577
      • 취업
      • 숙련 형성
      • 공장 내의 사회적 관계
      • 5. 주거와 일상생활 = 592
      • 주거
      • 송금, 저축, 소비, 그리고 여가
      • 6. 콤플렉스, 꿈, 그리고 정체성 = 604
      • 콤플렉스와 꿈
      • 정체성
      • 7. 결론을 대신하여 = 610
      • 자료실
      • 논문이 처음 실린 곳 = 614
      • 표 = 615
      • 미주 = 628
      • 찾아보기 = 65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