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다양한 이미지 표현 방식을 통한 디지털 판화수업에 관한 연구 : 고등학교 미술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101657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2013.02

      • 발행연도

        2013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40.07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Digital printmaking class througf three different image reproductions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high school art textbooks

      • 형태사항

        ⅶ, 94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안혜리
        참고문헌: p.88-91

      • 소장기관
        • 국민대학교 성곡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s, digital media have been actively used as tools of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communication in overall culture, economy, and daily life. Moreover, they have become new expressive tools as they expanded to the field of art. In modern art, various genre has appeared that took advantages of digital media such as photo, graphic, and image. Similary, digital printmaking appeared as making use of digital media as the plate in printmaking.
      Digital printmaking is printmaking that makes use of digital printing techniques an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artist it is made with the course of compiling and printing image through computer programs. Digital printmaking satisfies pluralism, indirectness and uniqueness that are basic attributes of traditional printmaking in the point of utilizing digital media. In addition, it came to have the original attributes of digital image such as full replication, immediate accessibility, manipulation possibilities, interactivity and networking. With these attributes in digital printmaking, a visual representation became possible that was not seen in traditional printmaking with the realistic representation, unlimited replication and adjustment of image. Moreover, with the flow of postmodernism, printmaking expanded its area by intergrating with other genre such as painting, installation work, or by being produced in the form of bookart turning out into various works.
      However, in the case of normal high school art class digital printmaking is not fully understood because it is based on the textbook in which contents are mainly about traditional printmaking techniques. Examining the five kinds of 'Art' textbooks and the five kinds of 'Art and Life' textbooks of current 2007 curriculum, we can realize the contents mainly consist of traditional printmaking such as convex printmaking, concave printmaking, flat printmaking, and stencil. The explanation about the making process is limited to its particular techniques as well. Despite the inclusion of digital printmaking in textbooks, it is difficult for students to understand digital printmaking as expanded form of printmaking and it is rare for students to directly experience it because textbooks lack the explanation of concepts and techniques. Likewise, digital printmaking lessons which are not able to offer experiences about various techniques can discourage students' interests in creative activities.
      Thus, this study presents three ways, assorted above, to improve these situations using digital media in printmaking class. Through Digital printmaking, mage replication and transformation, digital printmaking integrated with pictures or installation work, digital printmaking of the bookart form, students are more likely to be interested in producing piece of work by paying attention to their surroundings and expressing it visually. Furthermore, by making a piece of art beyond genre and form, students can understand and experience modern art and by exhibiting and appreciating their own work with the Internet students can freely interact with viewers. This study has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e point of activating highschool digital printmaking class by presenting the class that applies a representing way of image specifically.
      번역하기

      As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s, digital media have been actively used as tools of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communication in overall culture, economy, and daily life. Moreover, they have become new expressive tools as they expande...

      As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s, digital media have been actively used as tools of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communication in overall culture, economy, and daily life. Moreover, they have become new expressive tools as they expanded to the field of art. In modern art, various genre has appeared that took advantages of digital media such as photo, graphic, and image. Similary, digital printmaking appeared as making use of digital media as the plate in printmaking.
      Digital printmaking is printmaking that makes use of digital printing techniques an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artist it is made with the course of compiling and printing image through computer programs. Digital printmaking satisfies pluralism, indirectness and uniqueness that are basic attributes of traditional printmaking in the point of utilizing digital media. In addition, it came to have the original attributes of digital image such as full replication, immediate accessibility, manipulation possibilities, interactivity and networking. With these attributes in digital printmaking, a visual representation became possible that was not seen in traditional printmaking with the realistic representation, unlimited replication and adjustment of image. Moreover, with the flow of postmodernism, printmaking expanded its area by intergrating with other genre such as painting, installation work, or by being produced in the form of bookart turning out into various works.
      However, in the case of normal high school art class digital printmaking is not fully understood because it is based on the textbook in which contents are mainly about traditional printmaking techniques. Examining the five kinds of 'Art' textbooks and the five kinds of 'Art and Life' textbooks of current 2007 curriculum, we can realize the contents mainly consist of traditional printmaking such as convex printmaking, concave printmaking, flat printmaking, and stencil. The explanation about the making process is limited to its particular techniques as well. Despite the inclusion of digital printmaking in textbooks, it is difficult for students to understand digital printmaking as expanded form of printmaking and it is rare for students to directly experience it because textbooks lack the explanation of concepts and techniques. Likewise, digital printmaking lessons which are not able to offer experiences about various techniques can discourage students' interests in creative activities.
      Thus, this study presents three ways, assorted above, to improve these situations using digital media in printmaking class. Through Digital printmaking, mage replication and transformation, digital printmaking integrated with pictures or installation work, digital printmaking of the bookart form, students are more likely to be interested in producing piece of work by paying attention to their surroundings and expressing it visually. Furthermore, by making a piece of art beyond genre and form, students can understand and experience modern art and by exhibiting and appreciating their own work with the Internet students can freely interact with viewers. This study has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e point of activating highschool digital printmaking class by presenting the class that applies a representing way of image specifical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하면서 디지털 매체는 정보 전달의 수단이자 소통의 도구로서 문화, 경제, 일상생활의 전반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나아가 예술 영역으로 확대되면서 새로운 표현의 도구가 되었다. 현대 미술에서 사진이나 그래픽, 영상 등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다양한 장르가 생겼으며 판화 역시 디지털 매체를 하나의 판으로 활용하면서 디지털 판화가 등장하였다.
      디지털 판화란 디지털 프린팅 기법을 활용한 판화로 작가의 의도에 따라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이미지를 편집하고 인쇄하는 과정을 거쳐 제작된다. 디지털 판화는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다는 점에서 전통 판화의 기본적인 속성인 복수성, 간접성, 고유성을 모두 충족시키며 디지털 이미지의 특성인 완전 복제성, 즉각적 접근가능성, 조작가능성, 상호작용성, 네트워크성 등 고유의 특성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디지털 판화는 전통 판화와 달리 이미지의 사실적인 표현과 무한한 복제, 수정이 가능해지면서 전통판화에서 볼 수 없었던 시각적 표현이 가능해졌다. 또한 포스트모더니즘의 흐름과 함께 타 장르와의 접목을 통해 표현 영역이 확장되면서 디지털 판화는 회화 또는 설치 작업과 접목되기도 하고 북아트 형식으로 제작되기도 하면서 다양한 작품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고등학교 미술 수업의 경우, 전통 판화 기법중심으로 구성된 교과서 내용을 토대로 하기 때문에 디지털 판화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 현행2007 교육과정의 ‘미술’ 교과서 5종과 ‘미술과 생활’ 교과서 5종을 살펴보면 볼록 판화, 오목판화, 평판화, 공판화 등 전통판화를 중심으로 학습내용이 구성되어 있으며 제작 과정에 대한 설명 역시 특정 기법에 한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교과서 안에 디지털 판화가 수록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념과 기법적인 설명이 부족하기 때문에 학생들은 확장된 판화로서 디지털 판화를 이해하기 어려우며 직접 체험해볼 수 있는 기회가 없다. 이렇듯 다양한 기법에 관한 체험을 제공하지 못하는 디지털 판화수업구성은 학생들의 창작활동에 대한 흥미를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위에서 분류한 세 가지 표현 방식에 따라 디지털 판화 수업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미지 복제와 변형을 통한 디지털 판화, 회화 또는 설치 작업과 접목한 디지털 판화, 북아트 형식의 디지털 판화를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주변 환경에 관해 관심을 갖고 시각적으로 표현해냄으로서 작품제작에 대한 흥미를 느낄 수 있다. 또한 탈 장르, 탈 형식의 작품을 제작해봄으로서 현대 미술을 이해하고 체험할 수 있으며, 인터넷을 활용하여 자신의 작품을 전시하고 감상함으로써 관람객과 자유롭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본 연구는 현대 미술에서 볼 수 있는 이미지 표현방식을 구체적으로 적용한 수업을 제시함으로써 고등학교 디지털 판화 수업을 활성화 시키고자 했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를 지닌다.
      번역하기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하면서 디지털 매체는 정보 전달의 수단이자 소통의 도구로서 문화, 경제, 일상생활의 전반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나아가 예술 영역으로 확대되면서 새로운 ...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하면서 디지털 매체는 정보 전달의 수단이자 소통의 도구로서 문화, 경제, 일상생활의 전반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나아가 예술 영역으로 확대되면서 새로운 표현의 도구가 되었다. 현대 미술에서 사진이나 그래픽, 영상 등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다양한 장르가 생겼으며 판화 역시 디지털 매체를 하나의 판으로 활용하면서 디지털 판화가 등장하였다.
      디지털 판화란 디지털 프린팅 기법을 활용한 판화로 작가의 의도에 따라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이미지를 편집하고 인쇄하는 과정을 거쳐 제작된다. 디지털 판화는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다는 점에서 전통 판화의 기본적인 속성인 복수성, 간접성, 고유성을 모두 충족시키며 디지털 이미지의 특성인 완전 복제성, 즉각적 접근가능성, 조작가능성, 상호작용성, 네트워크성 등 고유의 특성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디지털 판화는 전통 판화와 달리 이미지의 사실적인 표현과 무한한 복제, 수정이 가능해지면서 전통판화에서 볼 수 없었던 시각적 표현이 가능해졌다. 또한 포스트모더니즘의 흐름과 함께 타 장르와의 접목을 통해 표현 영역이 확장되면서 디지털 판화는 회화 또는 설치 작업과 접목되기도 하고 북아트 형식으로 제작되기도 하면서 다양한 작품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고등학교 미술 수업의 경우, 전통 판화 기법중심으로 구성된 교과서 내용을 토대로 하기 때문에 디지털 판화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 현행2007 교육과정의 ‘미술’ 교과서 5종과 ‘미술과 생활’ 교과서 5종을 살펴보면 볼록 판화, 오목판화, 평판화, 공판화 등 전통판화를 중심으로 학습내용이 구성되어 있으며 제작 과정에 대한 설명 역시 특정 기법에 한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교과서 안에 디지털 판화가 수록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념과 기법적인 설명이 부족하기 때문에 학생들은 확장된 판화로서 디지털 판화를 이해하기 어려우며 직접 체험해볼 수 있는 기회가 없다. 이렇듯 다양한 기법에 관한 체험을 제공하지 못하는 디지털 판화수업구성은 학생들의 창작활동에 대한 흥미를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위에서 분류한 세 가지 표현 방식에 따라 디지털 판화 수업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미지 복제와 변형을 통한 디지털 판화, 회화 또는 설치 작업과 접목한 디지털 판화, 북아트 형식의 디지털 판화를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주변 환경에 관해 관심을 갖고 시각적으로 표현해냄으로서 작품제작에 대한 흥미를 느낄 수 있다. 또한 탈 장르, 탈 형식의 작품을 제작해봄으로서 현대 미술을 이해하고 체험할 수 있으며, 인터넷을 활용하여 자신의 작품을 전시하고 감상함으로써 관람객과 자유롭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본 연구는 현대 미술에서 볼 수 있는 이미지 표현방식을 구체적으로 적용한 수업을 제시함으로써 고등학교 디지털 판화 수업을 활성화 시키고자 했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를 지닌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목차 ....................................................................................................................ⅰ
      • 표목차 ................................................................................................................ⅲ
      • 그림 목차 ...........................................................................................................ⅳ
      • 목 차
      • 목차 ....................................................................................................................ⅰ
      • 표목차 ................................................................................................................ⅲ
      • 그림 목차 ...........................................................................................................ⅳ
      • 국문 초록 ...........................................................................................................ⅵ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 3. 선행 연구 고찰.............................................................................................3
      • Ⅱ. 디지털 판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 ..................................................................5
      • 1. 디지털 판화의 개념과 특성 .........................................................................5
      • 2. 이미지 표현 방식에 따른 디지털판화 .......................................................12
      • 1) 이미지 복제와 변형을 통한 디지털판화 ................................................12
      • 2) 회화와 설치를 결합한 디지털판화 ........................................................19
      • 3) 디지털판화를 활용한 북아트 .................................................................25
      • Ⅲ. 고등학교 미술교과서 판화단원 분석 ...........................................................34
      • 1. 고등학교 교과서별 판화단원 학습내용 분석...............................................34
      • 2. 고등학교 미술교과서 내의 판화단원 구성의 문제점: 디지털 판화 부재....55
      • Ⅳ. 디지털 판화 표현 방식에 따른 수업방안 ....................................................56
      • 1. 디지털 판화의 교육적 가치 .......................................................................56
      • 2. 디지털 판화의 특성을 활용한 교수-학습지도안 .......................................59
      • 1) 이미지 복제와 변형을 통한 디지털판화 ................................................61
      • 2) 회화와 설치를 결합한 디지털판화 ........................................................73
      • 3) 디지털판화를 활용한 북아트 .................................................................80
      • Ⅴ. 결론 및 제언 ...............................................................................................86
      • 참고문헌..............................................................................................................88
      • 영문초록..............................................................................................................9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