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빈센트 반 고흐와 앤디워홀 작품에서의 색채표현과 교육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937115

      • 저자
      • 발행사항

        수원 :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2018. 8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경기도

      • 기타서명

        Educational effect and color representation in art work of Vincent Van Gogh and Andy Warhol

      • 형태사항

        ⅵ, 49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경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박성현
        참고문헌 : p. 37-38

      • UCI식별코드

        I804:41002-000000053482

      • 소장기관
        • 경기대학교 금화도서관(서울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수원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예술에서의 색채는 미적 표현을 가장 효과적으로 보는 이들에게 의미 전달할 수 있는 매체이다. 모든 시대를 통틀어 색채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으며, 고대 철학에서 시작하여 심리학, 물리학, 사회학, 미학, 의학, 디자인, 영화, 교육 등 여러 가지 분야에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여러 분야 중에서 특히 예술은 심리적, 심미적 색채의 의미를 미적표현의 중심으로 생각하며 표현해 나갔다.
      색채는 심미적 입장에서 신비적인 것에 관련되어져 왔음을 찾아 볼 수 있으며 이러한 내용들은 색채가 가지는 개개인적인 심미성보다 사회적 보편성을 지니고 있는 상징적인 것으로 취급되어져 왔음을 내포한다. 즉, 색이 가지는 영향은 인간의 신체와 감정에 작용하는 힘이 있으며, 이러한 이유는 개개인이 색을 단순하게 눈으로만 보려하는 것이 아니라 마음으로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이다. 인간의 신체, 감정에 영향을 주는 색은 한 환경 속에서 어떻게 그 색을 보는가에 따라서 다르게 느낄 수 있으며 개개인의 감정적 무의식의 반응은 성격구조 형성에 영향력을 발휘한다고 볼 수 있다. 결국 색이 가지는 표현력은 형상보다 우선적이며 더 큰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판단 내릴 수 있다. 이러한 색의 영향력은 미술 회화사의 다양한 장르 속에서도 나타나고 표현되어왔다.
      팝 아트(Pop Art)에서 나타난 색채의 특징은 밝고 열정적이며 대담한 색채로 날카롭고 자극적이며 뚜렷한 시각효과를 추구 하고 있으며 매스 미디어에서 발견되는 스타, 유명인이라는 특정 인물의 이미지를 차용하여 대중적인 이미지와 원색적인 색채를 함께 제시함으로써 대중들의 시각을 충족시키고 대중들의 이목을 끌었다. 좀 더 화려하고 원색적이며, 순수하고 자연스러운 색채가 아니라 의도된 임의적인 부자연스러운 색으로 강렬하게 각인되어 남겼다. 이렇듯 팝 아트의 다양한 색채는 물질화된 정신성을 내포하였고 자연에 근거하는 색채보다는 대중적인 색채로 색 자체의 직접성과 자율성을 추구하였다.
      반면, 인상주의(Impressionism), 후기인상주의(Post-Impressionism)는 빛에 의한 자연색채의 변화 시도에서 근본적인 색채표현의 다름을 인지할 수 있다. 후기인상주의의 색채표현은 인상주의와 같은 매 순간 변화하는 빛을 과학적인 분석을 통해 색과 형태만을 캔버스 화면에 옮겨오는 목적 대신, 대상의 본질에 다가가려 했으며 감성적인 형태로의 접근을 추구했다. 원색과 보색의 대비, 붓 터치의 형태를 통해 주관적인 감정을 캔버스에 표현하였다. 특히 색채표현에 있어서 화려한 원색과 감성을 통한 색 대비를 보면 팝 아트와의 유사점들을 찾아볼 수 있다. 물론 후기인상주의, 추상표현주의, 팝 아트까지의 색채표현의 지속적인 영향으로 팝 아트의 다양한 색채표현이 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영향 안에는 감정의 표현, 위에서 언급한 심리적, 심미적 색의 표현이 토대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색의 감성적 접근은 미술교육의 중요한 부분이다. 미술교육은 표현이나 감성 활동을 통하여 이루어진다는 면에서의 예술적인 측면과 미적 감수성, 정서성, 창조성 등을 기를 수 있다는 면에서 일반 교육적인 측면을 모두 내포하고 있다. 미술을 통한, 색채를 통한 인간 감정의 조절 및 형성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교육적 효과를 기대 할 수 있으며, 예술적 측면을 조화시켜 나감으로써 일반 교육, 정서를 함양한 전인적인 인간을 육성하는 원천적 목적으로 부합될 수 있다.
      번역하기

      예술에서의 색채는 미적 표현을 가장 효과적으로 보는 이들에게 의미 전달할 수 있는 매체이다. 모든 시대를 통틀어 색채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으며, 고대 철학에서 시작하여 심리학...

      예술에서의 색채는 미적 표현을 가장 효과적으로 보는 이들에게 의미 전달할 수 있는 매체이다. 모든 시대를 통틀어 색채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으며, 고대 철학에서 시작하여 심리학, 물리학, 사회학, 미학, 의학, 디자인, 영화, 교육 등 여러 가지 분야에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여러 분야 중에서 특히 예술은 심리적, 심미적 색채의 의미를 미적표현의 중심으로 생각하며 표현해 나갔다.
      색채는 심미적 입장에서 신비적인 것에 관련되어져 왔음을 찾아 볼 수 있으며 이러한 내용들은 색채가 가지는 개개인적인 심미성보다 사회적 보편성을 지니고 있는 상징적인 것으로 취급되어져 왔음을 내포한다. 즉, 색이 가지는 영향은 인간의 신체와 감정에 작용하는 힘이 있으며, 이러한 이유는 개개인이 색을 단순하게 눈으로만 보려하는 것이 아니라 마음으로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이다. 인간의 신체, 감정에 영향을 주는 색은 한 환경 속에서 어떻게 그 색을 보는가에 따라서 다르게 느낄 수 있으며 개개인의 감정적 무의식의 반응은 성격구조 형성에 영향력을 발휘한다고 볼 수 있다. 결국 색이 가지는 표현력은 형상보다 우선적이며 더 큰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판단 내릴 수 있다. 이러한 색의 영향력은 미술 회화사의 다양한 장르 속에서도 나타나고 표현되어왔다.
      팝 아트(Pop Art)에서 나타난 색채의 특징은 밝고 열정적이며 대담한 색채로 날카롭고 자극적이며 뚜렷한 시각효과를 추구 하고 있으며 매스 미디어에서 발견되는 스타, 유명인이라는 특정 인물의 이미지를 차용하여 대중적인 이미지와 원색적인 색채를 함께 제시함으로써 대중들의 시각을 충족시키고 대중들의 이목을 끌었다. 좀 더 화려하고 원색적이며, 순수하고 자연스러운 색채가 아니라 의도된 임의적인 부자연스러운 색으로 강렬하게 각인되어 남겼다. 이렇듯 팝 아트의 다양한 색채는 물질화된 정신성을 내포하였고 자연에 근거하는 색채보다는 대중적인 색채로 색 자체의 직접성과 자율성을 추구하였다.
      반면, 인상주의(Impressionism), 후기인상주의(Post-Impressionism)는 빛에 의한 자연색채의 변화 시도에서 근본적인 색채표현의 다름을 인지할 수 있다. 후기인상주의의 색채표현은 인상주의와 같은 매 순간 변화하는 빛을 과학적인 분석을 통해 색과 형태만을 캔버스 화면에 옮겨오는 목적 대신, 대상의 본질에 다가가려 했으며 감성적인 형태로의 접근을 추구했다. 원색과 보색의 대비, 붓 터치의 형태를 통해 주관적인 감정을 캔버스에 표현하였다. 특히 색채표현에 있어서 화려한 원색과 감성을 통한 색 대비를 보면 팝 아트와의 유사점들을 찾아볼 수 있다. 물론 후기인상주의, 추상표현주의, 팝 아트까지의 색채표현의 지속적인 영향으로 팝 아트의 다양한 색채표현이 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영향 안에는 감정의 표현, 위에서 언급한 심리적, 심미적 색의 표현이 토대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색의 감성적 접근은 미술교육의 중요한 부분이다. 미술교육은 표현이나 감성 활동을 통하여 이루어진다는 면에서의 예술적인 측면과 미적 감수성, 정서성, 창조성 등을 기를 수 있다는 면에서 일반 교육적인 측면을 모두 내포하고 있다. 미술을 통한, 색채를 통한 인간 감정의 조절 및 형성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교육적 효과를 기대 할 수 있으며, 예술적 측면을 조화시켜 나감으로써 일반 교육, 정서를 함양한 전인적인 인간을 육성하는 원천적 목적으로 부합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lor in art is a medium that can deliver the meaning to those who see aesthetic expression most effectively. Throughout the ages, color has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art, starting from ancient philosophy and manifesting in various fields such as psychology, physics, sociology, aesthetics, medicine, design, film and education. Among these various fields, art particularly has been expressing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and aesthetic color as the center of aesthetic expression.
      Color has been related to mysterious from an aesthetic standpoint, and this statement contains that the color has been treated as a symbolic figure with social universality rather than individual aesthetic impression. In other word, effect of color has the power affecting the human body and emotion, and it is because individuals receive colors through not only eyes but heart. Color that affects to human body and emotion can be felt differently by how the color is seen in the environment, and affective and unconscious responses of individual can affect to structure the personality formation. Expressiveness of color eventually has priority over the shape and can be judged to have a greater effect. These kinds of Influences of color has been expressed in various genres of art history.
      Features of color in Pop art are bright, enthusiastic and pursuing sharp, stimulating, distinctive visual effect through bold colors. It has been attracted public attention by presenting both the primary color and popular image using star or a celebrity who can be easily found in mass media. Furthermore, it has been intensely imprinted with intentional arbitrary unnatural color, not colorful, striking, pure and natural colors. Thus, the various colors of pop art contain materialized spirituality and pursue immediacy and autonomy of color itself with popular color rather than color based on nature.
      On the other hand, Impressionism and Post-Impressionism can perceive the difference of fundamental color expression in attempting to change natural colors by light. Color expression of Post-Impressionism tried to reach the essence of the subject and pursued an emotional approach instead of the purpose of bringing color and shape of the light to the canvas screen through scientific analysis such as Impressionism. Subjective emotion was expressed on the canvas through contrast of primary color and complementary color, and form of brush touch. Especially in color expression, similarity can be found with pop art by contrasting colors through the fancy primary colors and emotions. Various color expressions of pop art had been able to be existed due to the continuous influences of color expressions ranging from Late-Impressionism, Abstract Expressionism, and pop Art and the expression of emotions, expression of psychological and aesthetic color were foundation in these influences
      Emotional approach of color is important part in art education. Art education contains both artistic aspect in terms of being established through expressive or emotional activity and general educational aspect in terms of developing aesthetic sensibility, emotionality, creativity, etc. One of the educational effect to achieve control and formation of human emotion through art and color can be expected and it can be matched with the purpose of fostering human with general education and emotion by harmonizing the artistic aspect.
      번역하기

      Color in art is a medium that can deliver the meaning to those who see aesthetic expression most effectively. Throughout the ages, color has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art, starting from ancient philosophy and manifesting in various fiel...

      Color in art is a medium that can deliver the meaning to those who see aesthetic expression most effectively. Throughout the ages, color has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art, starting from ancient philosophy and manifesting in various fields such as psychology, physics, sociology, aesthetics, medicine, design, film and education. Among these various fields, art particularly has been expressing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and aesthetic color as the center of aesthetic expression.
      Color has been related to mysterious from an aesthetic standpoint, and this statement contains that the color has been treated as a symbolic figure with social universality rather than individual aesthetic impression. In other word, effect of color has the power affecting the human body and emotion, and it is because individuals receive colors through not only eyes but heart. Color that affects to human body and emotion can be felt differently by how the color is seen in the environment, and affective and unconscious responses of individual can affect to structure the personality formation. Expressiveness of color eventually has priority over the shape and can be judged to have a greater effect. These kinds of Influences of color has been expressed in various genres of art history.
      Features of color in Pop art are bright, enthusiastic and pursuing sharp, stimulating, distinctive visual effect through bold colors. It has been attracted public attention by presenting both the primary color and popular image using star or a celebrity who can be easily found in mass media. Furthermore, it has been intensely imprinted with intentional arbitrary unnatural color, not colorful, striking, pure and natural colors. Thus, the various colors of pop art contain materialized spirituality and pursue immediacy and autonomy of color itself with popular color rather than color based on nature.
      On the other hand, Impressionism and Post-Impressionism can perceive the difference of fundamental color expression in attempting to change natural colors by light. Color expression of Post-Impressionism tried to reach the essence of the subject and pursued an emotional approach instead of the purpose of bringing color and shape of the light to the canvas screen through scientific analysis such as Impressionism. Subjective emotion was expressed on the canvas through contrast of primary color and complementary color, and form of brush touch. Especially in color expression, similarity can be found with pop art by contrasting colors through the fancy primary colors and emotions. Various color expressions of pop art had been able to be existed due to the continuous influences of color expressions ranging from Late-Impressionism, Abstract Expressionism, and pop Art and the expression of emotions, expression of psychological and aesthetic color were foundation in these influences
      Emotional approach of color is important part in art education. Art education contains both artistic aspect in terms of being established through expressive or emotional activity and general educational aspect in terms of developing aesthetic sensibility, emotionality, creativity, etc. One of the educational effect to achieve control and formation of human emotion through art and color can be expected and it can be matched with the purpose of fostering human with general education and emotion by harmonizing the artistic aspec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 문제와 목적 1
      • 제2절 연구방법 및 구성 3
      • 제2장 빈센트 반 고흐의 작품연구 5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 문제와 목적 1
      • 제2절 연구방법 및 구성 3
      • 제2장 빈센트 반 고흐의 작품연구 5
      • 제1절 시대적 배경 5
      • 제2절 작품의 특성 및 색채 7
      • 제3절 작품 시기별 표현 및 색채연구 11
      • 제3장 팝 아트의 작품 연구 17
      • 제1절 팝 아트의 개념 및 배경 17
      • 제2절 팝 아트의 표현 및 색채 20
      • 제3절 앤디워홀의 작품 표현 및 색채연구 25
      • 제4장 색채표현을 통한 미술교육 28
      • 제1절 앤디워홀과 빈센트 반 고흐의 색채 관계성 연구 28
      • 제2절 색채표현을 통한 미술교육 연구 33
      • 제5장 결 론 35
      • 참고문헌 37
      • 부록(도판) 39
      • Abstract 4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