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서울 지하철 발전방안: 외국인 이용자의 관점에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eoul Subway: From the Perspective of Foreign Us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129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erms of distribution as a concept related to flow, the concept of distribution is becoming broader. One of these is transportation. The use of facilities is also transportation, and the mobility of people is also transportation. In recent years, f...

      In terms of distribution as a concept related to flow, the concept of distribution is becoming broader. One of these is transportation. The use of facilities is also transportation, and the mobility of people is also transportation. In recent years, foreigners are visiting the country greatly. Accordingly, the use of Seoul subway by foreign visitors is increasing greatly. Accordingly, this study was designed to study the use of Seoul subway that foreigners think. This study classified subway use factors into timeliness, connectivity, safety, convenience, and aesthetic. We looked at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using the subway and perceived usefulness, between factors using the subway and perceived easy of use. And we looked at perceived usefulness, usability, and recommend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imeliness, connectivity, safety, convenience and aesthetic were positive about perceived usefulness. Timeliness, connectivity, safety and convenience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easy of use.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aesthetic and perceived easy of use was not significant.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y of use were positive for the recommend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유통이 흐름과 관련된 개념이라는 측면에서 유통의 개념이 광범위해지고 있다. 이 중의 하나가 교통이다. 시설물의 교류도 교통이지만 사람의 교류도 교통이다. 최근 들어 외국인들이 국내 ...

      유통이 흐름과 관련된 개념이라는 측면에서 유통의 개념이 광범위해지고 있다. 이 중의 하나가 교통이다. 시설물의 교류도 교통이지만 사람의 교류도 교통이다. 최근 들어 외국인들이 국내 방문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외국인 방문객의 서울 지하철 이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외국인들이 생각하는 서울 지하철의 이용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지하철 이용요인을 정시성, 연계성, 안전성, 편의성, 심미성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지하철 이용요인의 지각된 유용성, 지하철 이용요인과 지각된 이용용이성의 관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지각된 유용성, 이용용이성과 추천의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서울 지하철의 정시성, 연계성, 안전성, 편의성, 심미성은 외국인들이 느끼는 서울 지하철의 지각된 유용성과 긍정적인 관계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서울 지하철의 정시성, 연계성, 안전성, 편의성 역시 외국인들이 느끼는 지각된 이용용이성에 긍정적인 관계임을 파악하였다. 그러나 심미성과 지각된 이용용이성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이용용이성의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경재, "환승역사의 동선체계를 고려한 환승패널티 추정 : 서울시 지하철 사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2 오세화, "철도시스템에서의 안전성 확보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산업대학교 철도전문대학원 2008

      3 김종운, "철도시스템 정시성 요구조건을 만족하기 위한 서비스 신뢰도 목표값 설정" 한국철도학회 14 (14): 6-10, 2011

      4 김성곤, "철도사고 사례분석을 통한 안전관리 향상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6

      5 나다혜, "제품의 가시성 및 가격과 소비자의 심미적 성향이 소비자 구매의도와구매 후 평가에 미치는 영향: 심미성․기능성이 상충되는 상황을 중심으로" 한국소비문화학회 20 (20): 207-233, 2017

      6 박영순, "의미분별 척도법에 의한 디자인 평가도구의 개발 : 생활기기에 대한 소비자 평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5

      7 한웅택, "외국인의 지하철 이용에 관한 연구 : 서울지하철을 중심으로" 한국교통대학교 교통대학원 2018

      8 김시곤, "연계환승 교통체계를 감안한 철도투자 및 운영방안" 대한토목학회 36 (36): 129-133, 2016

      9 곽해리, "심미성과 사용성이 구매의사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10 곽윤봉, "서울메트로 2호선의 정차시분 추정모델을 이용한 표정속도 예측에 관한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철도전문대학원 2013

      1 이경재, "환승역사의 동선체계를 고려한 환승패널티 추정 : 서울시 지하철 사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2 오세화, "철도시스템에서의 안전성 확보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산업대학교 철도전문대학원 2008

      3 김종운, "철도시스템 정시성 요구조건을 만족하기 위한 서비스 신뢰도 목표값 설정" 한국철도학회 14 (14): 6-10, 2011

      4 김성곤, "철도사고 사례분석을 통한 안전관리 향상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6

      5 나다혜, "제품의 가시성 및 가격과 소비자의 심미적 성향이 소비자 구매의도와구매 후 평가에 미치는 영향: 심미성․기능성이 상충되는 상황을 중심으로" 한국소비문화학회 20 (20): 207-233, 2017

      6 박영순, "의미분별 척도법에 의한 디자인 평가도구의 개발 : 생활기기에 대한 소비자 평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5

      7 한웅택, "외국인의 지하철 이용에 관한 연구 : 서울지하철을 중심으로" 한국교통대학교 교통대학원 2018

      8 김시곤, "연계환승 교통체계를 감안한 철도투자 및 운영방안" 대한토목학회 36 (36): 129-133, 2016

      9 곽해리, "심미성과 사용성이 구매의사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10 곽윤봉, "서울메트로 2호선의 정차시분 추정모델을 이용한 표정속도 예측에 관한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철도전문대학원 2013

      11 박보현, "서울교통공사 서비스 품질지표 개선에 관한 연구 : AHP 분석을 기준으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철도전문대학원 2016

      12 우남직, "서울 도시철도 건설방향에 대한 연구" 한국방재학회 08 (08): 67-71, 2008

      13 이현주, "도시철도의 서비스품질, 고객만족도 및 충성도에 관한 연구" 2009

      14 김정태, "도시철도 열차 승하차시간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철도학회 17 (17): 210-215, 2014

      15 이신해, "교통약자 만족도 분석을 통한 교통약자 이동편의정책에관한 연구" 서울연구원 10 (10): 197-208, 2009

      16 양병화, "고객만족과 관계마케팅 요인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학회 37 (37): 35-66, 2008

      17 Veryzer, R. W., "The Place of Product Design and Aesthetics in Consumer Research" 22 : 641-645, 1995

      18 Gefen, D. 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Regression : Guidelines for Research Practice" 4 : 1-79, 2000

      19 Holbrook, M. B., "Some Preliminary Notes on Research in Consumer Esthetics" 7 (7): 104-108, 1980

      20 Meuter, M. L., "Self-Service Technologies : Understanding Customer Satisfaction with Technology-Based Service Encounters" 64 : 50-64, 2000

      21 Nunnally, J., "Psychometric Theory" McGraw-Hill 1978

      22 Davis, F. D.,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13 (13): 319-340, 1989

      23 Washington Metropolitan Area Transit Authority, "Passenger Flow and Train Dwell Time" Customer Service, Operation and Safety Committee 2005

      24 김혜란, "KTX역사 및 일반철도역사의 환승저항 산정" 대한교통학회 27 (27): 189-194, 2009

      25 Adamson, I., "Extending the New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o Measure the End User Information Systems Satisfaction in a Mandatory Environment : A Bank's Treasury" 15 (15): 441-455,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2-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 Research Academy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view -> 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3-1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유통정보학회지 -> 유통경영학회지
      외국어명 : Korea Research Academy of Distribution Information Review -> Korea Research Academy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view
      KCI등재
      2010-02-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유통정보학회 -> 한국유통경영학회
      영문명 : 미등록 -> Korea Research Academy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0.9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3 0.92 1.252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