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토사유출량의 공간분포 산정결과 평가를 위한 RUSLE와 LISEM의 비교 = Comparison of RUSLE and LISEM for the Evaluation of Spatial Distribution of Simulated Sediment Yiel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128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Various models have been developed for the estimation of spatial distribution of sediment yield. However, they often generate distinct results because of differences in their development purposes and calculation processes. Therefore, it is challenging...

      Various models have been developed for the estimation of spatial distribution of sediment yield. However, they often generate distinct results because of differences in their development purposes and calculation processes. Therefore, it is challenging to verify the simulation result without ground measurements of spatially varying sediment fluxes. Here, we postulate that applying multiple models to a same watershed and checking whether they provide similar spatial distributions can be an indirect method of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models. To test this idea, we apply two models of LISEM and GIS-based RUSLE for a small watershed in Gyeonggi-do, South Korea, where actual sediment yield was measured at the outlet. Two models result in similar spatial patterns in the distribution of sediments yield. LISEM results show more evenly distributed sediment yield. This difference is partly due to the difference in model structures and due to the ranges of parameters chosen between the two models. Compared to RUSLE, there are limited references for model parameter values of LISEM in Korean practices. Helped by physically-based model structure, LISEM is expected to simulate sediment yield in a more reasonable manner, compared to RUSLE, once the appropriate ranges of model parameters are suggested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토사유출량의 공간분포를 추정하기 위해 다양한 모형이 개발됐으나, 모형의 개발목적과 연산과정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를 줄수 있다. 토사유출의 공간분포를 실측한 자료가 부족한 상황에...

      토사유출량의 공간분포를 추정하기 위해 다양한 모형이 개발됐으나, 모형의 개발목적과 연산과정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를 줄수 있다. 토사유출의 공간분포를 실측한 자료가 부족한 상황에서 이렇게 차이 나는 모의결과를 검증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이상의 모형의 결과가 같은 유역에서 비슷한 공간분포를 보여준다면 어느 정도 결과를 신뢰할 수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LISEM과 GIS 기반의 RUSLE를 경기도의 한 소유역에 적용하였다. 모의결과 두 모형은 대체로유사한 토사발생량의 공간분포를 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LISEM이 RUSLE보다 고르게 분포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는데,이는 두 모형의 구조적 차이와 입력인자 범위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LISEM은 본 연구를 통해 처음으로 국내에 적용되는 만큼 앞으로 다양한 연구를 통해 국내 현실에 맞는 입력자료의 범위가 제시된다면 RUSLE보다 물리적인 기반에서 토사유출을 모의할 수 있을 것임을 확인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립방재연구소, "재해영향평가 실무지침서"

      2 국립방재연구소, "산지의 토양침식모형(SEMMA) 실용화 연구 연구보고서" 2005

      3 박상덕, "산불사면에 대한 토양침식모형의 적용 평가 - RUSLE, WEPP, SEMMA" 대한토목학회 31 (31): 221-232, 2011

      4 김창완, "범용토양유실공식의 강우침식도추정" 32 (32): 457-467, 1999

      5 한국토지공사, "발안지방산업단지 임시저류지겸 침사지 토사유입량 실측연구" 2003

      6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경기도 산사태 위험지 예측진단 연구용역" 2004

      7 金雄泰, "分布形 槪念을 利用한 土砂流出量 算定에 관한 硏究"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9

      8 최재완, "WEPP Watershed Version을 이용한 홍천군 자운리 농경지 토양유실 예측 및 경사도에 따른 토양유실량 평가" 한국물환경학회 25 (25): 441-451, 2009

      9 Williams, J.R., "Sediment yield prediction with universal equation using runoff energy factor, In present and Prospective Technology for Predicting Sediment Yields and Sources"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1976

      10 USDA, "Sediment sources, yields, and delivery ratios. National Engineering Handbook, Section 3" Sedimentation 1975

      1 국립방재연구소, "재해영향평가 실무지침서"

      2 국립방재연구소, "산지의 토양침식모형(SEMMA) 실용화 연구 연구보고서" 2005

      3 박상덕, "산불사면에 대한 토양침식모형의 적용 평가 - RUSLE, WEPP, SEMMA" 대한토목학회 31 (31): 221-232, 2011

      4 김창완, "범용토양유실공식의 강우침식도추정" 32 (32): 457-467, 1999

      5 한국토지공사, "발안지방산업단지 임시저류지겸 침사지 토사유입량 실측연구" 2003

      6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경기도 산사태 위험지 예측진단 연구용역" 2004

      7 金雄泰, "分布形 槪念을 利用한 土砂流出量 算定에 관한 硏究"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9

      8 최재완, "WEPP Watershed Version을 이용한 홍천군 자운리 농경지 토양유실 예측 및 경사도에 따른 토양유실량 평가" 한국물환경학회 25 (25): 441-451, 2009

      9 Williams, J.R., "Sediment yield prediction with universal equation using runoff energy factor, In present and Prospective Technology for Predicting Sediment Yields and Sources"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1976

      10 USDA, "Sediment sources, yields, and delivery ratios. National Engineering Handbook, Section 3" Sedimentation 1975

      11 Renard, K. G., "RUSLE: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46 (46): 30-33, 1991

      12 USDA, "Predicting soil erosion by water : A Guide to conservation planning with the RUSLE, Agiriculture Handbook, No. 703" 1997

      13 Wischmeier, W.H., "Predicting rainfall erosion losses from cropland east of the Rocky mountains,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Handbook, No. 282"

      14 Wischmeier, W.H., "Predicting rainfall erosion losses - A guide to conservation planning, USDA, Agriculture Handbook, No. 537"

      15 Mitasova, H., "Modelling topographic potential for erosion and deposition using GIS" 10 (10): 629-641, 1996

      16 Hessel, R., "Modeling gully erosion for a small catchment on the Chinese loess plateau" 54 : 131-146, 2003

      17 De Roo, A.P.J., "LISEM: A single event physically-based hydrologic and soil erosion model for drainage basins. II: sensitivity analysis, validation and application" 10 (10): 1119-1126, 1996

      18 Victor, J., "LISEM(LImburg Soil Erosion Model) user manual"

      19 Van den Elsen, E., "Intensive water content and discharge measurement system in a hillslope gully in China" 54 : 93-115, 2003

      20 최재완, "GeoWEPP을 이용한 침엽수림 지역 유출특성 예측 및 다양한 식생 피도에 따른 유출량 평가" 한국물환경학회 27 (27): 425-432, 2011

      21 한재석, "GIS와 USLE을 이용한 유역의 토사발생량 분석" 7 (7): 145-152, 2001

      22 김만식, "GIS와 RUSLE기법을 이용한 삽교호 유역의 토사 유실량 산정" 한국지반환경공학회 3 (3): 19-27, 2002

      23 손광익, "GIS를 이용한 토사이송 및 퇴적분포 예측기법 개발" 한국수자원학회 38 (38): 223-233, 2005

      24 Renschler, C. S., "Designing geo-spatial interface to scale process models: The GeoWEPP approach" 17 (17): 1005-1017, 2003

      25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Design of sedimentation basins" 70 : 1980

      26 Nearing, M. A., "A process-based soil erosion model for USDA-Water Erosion Prediction Project technology" 32 (32): 1587-1593,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 0.60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