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한 유아들의 자유놀이에서 나타난 개방성의 다차원 = Multi-Dimension of Openness in the Free Play of Children using Unstructured Material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a leading and enjoyable play environment for children through exploring the play patterns that appeared in free play. For this,child observation was conducted during free play and outdoor play time in ‘A’ kindergarten, and this included collecting the following: child observation records, observation video transcripts and field notes. Following this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the patterns of diversity in the children's play process appeared to be a combination of the categories of exploration and improvisation. exploration, experimentation, and challenge. The children presented their findings to friends during various explorations and suggested exploring other ways. By combining exploration and improvisation and combining two materials a new improvisation was invented. The children were seen exploring, experimenting and challenging themselves as they explored boards and made roads. Second, the pattern of play deformation and openness shown in the play of children appeared in the categories of quick decision making, reciprocal negotiation,flexible rules and play methods. Rapid decision making and reciprocal negotiation emerged during the children's play transformation process and reflected the shared hypothetical concerns of the playparticipants. Activities were also carried out with the rules that children made by themselves whileplaying, and the players showed flexibility and acceptance in their play rules and methods.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a leading and enjoyable play environment for children through exploring the play patterns that appeared in free play. For this,child observation was conducted during free play and outdoor p...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a leading and enjoyable play environment for children through exploring the play patterns that appeared in free play. For this,child observation was conducted during free play and outdoor play time in ‘A’ kindergarten, and this included collecting the following: child observation records, observation video transcripts and field notes. Following this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the patterns of diversity in the children's play process appeared to be a combination of the categories of exploration and improvisation. exploration, experimentation, and challenge. The children presented their findings to friends during various explorations and suggested exploring other ways. By combining exploration and improvisation and combining two materials a new improvisation was invented. The children were seen exploring, experimenting and challenging themselves as they explored boards and made roads. Second, the pattern of play deformation and openness shown in the play of children appeared in the categories of quick decision making, reciprocal negotiation,flexible rules and play methods. Rapid decision making and reciprocal negotiation emerged during the children's play transformation process and reflected the shared hypothetical concerns of the playparticipants. Activities were also carried out with the rules that children made by themselves whileplaying, and the players showed flexibility and acceptance in their play rules and method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자유놀이에서 나타나는 놀이 양상을 탐색함으로 유아의 주도적이고 즐거운 놀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A유치원 유아를 대상으로자유놀이와 바깥놀이 시간에 대한 유아관찰을 실시하였다. 유아관찰기록, 관찰영상 전사본, 현장약기(field notes)가 수집되었고 수집 자료에 대한 질적 분석이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유아의 놀이과정에서 나타난 탐색의 다양성과 개방성의 양상은 탐색과 놀이 결합, 탐색과 실험, 도전의 범주로 나타났다. 유아들은 다양한 탐색과정에서 자신이 발견한 점을 친구들에게 선언하고 다른 방법의 탐색을 제안하였다. 또한, 유아들의 탐색활동은 놀이와 결합되었고 두가지 놀잇감을 결합하여 새로운 놀이가 즉흥적으로 창안되었다. 널빤지 탐색을 통해 유아들은 다양한 길을 만들어 가면서 탐색, 실험, 도전하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유아들의 놀이에서 나타난놀이변형과 개방성의 양상은 신속한 의사결정과 호혜적 협상, 융통적 규칙과 놀이방법의 범주로나타났다. 신속한 의사결정과 호혜적 협상은 유아의 놀이 변형과정에서 나타났으며 놀이 참여자들의 공동의 가상적 관심사가 반영되었다. 또한, 유아의 놀이에서 ‘자신이 만든 규칙’에 의해 진행되었고, 놀이 참여자들은 이러한 규칙을 수용함으로 놀이규칙과 방법에서 융통성의 모습을 보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자유놀이에서 나타나는 놀이 양상을 탐색함으로 유아의 주도적이고 즐거운 놀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A유치원 유아를 대상으...

      본 연구는 자유놀이에서 나타나는 놀이 양상을 탐색함으로 유아의 주도적이고 즐거운 놀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A유치원 유아를 대상으로자유놀이와 바깥놀이 시간에 대한 유아관찰을 실시하였다. 유아관찰기록, 관찰영상 전사본, 현장약기(field notes)가 수집되었고 수집 자료에 대한 질적 분석이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유아의 놀이과정에서 나타난 탐색의 다양성과 개방성의 양상은 탐색과 놀이 결합, 탐색과 실험, 도전의 범주로 나타났다. 유아들은 다양한 탐색과정에서 자신이 발견한 점을 친구들에게 선언하고 다른 방법의 탐색을 제안하였다. 또한, 유아들의 탐색활동은 놀이와 결합되었고 두가지 놀잇감을 결합하여 새로운 놀이가 즉흥적으로 창안되었다. 널빤지 탐색을 통해 유아들은 다양한 길을 만들어 가면서 탐색, 실험, 도전하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유아들의 놀이에서 나타난놀이변형과 개방성의 양상은 신속한 의사결정과 호혜적 협상, 융통적 규칙과 놀이방법의 범주로나타났다. 신속한 의사결정과 호혜적 협상은 유아의 놀이 변형과정에서 나타났으며 놀이 참여자들의 공동의 가상적 관심사가 반영되었다. 또한, 유아의 놀이에서 ‘자신이 만든 규칙’에 의해 진행되었고, 놀이 참여자들은 이러한 규칙을 수용함으로 놀이규칙과 방법에서 융통성의 모습을 보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경애, "호모루덴스" 그린비 2007

      2 장민영, "자유선택활동시간을 중심으로 살펴본 유아의 ‘참여’에 대한 의미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789-817, 2019

      3 박미경, "자유선택활동시간에 유아들이 경험하는 놀잇감의 의미"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325-349, 2010

      4 김미선, "자유선택활동 시 흥미영역 선택 이름표 사용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생각과 유아의 반응"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5 임부연, "자유선택활동 놀이시간에 나타나는 몰입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유아 몰입경험 특성과 교사역할에 대한 함의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789-818, 2018

      6 김다온, "유치원 초임교사의 직무역량 요구도 분석" 교육연구원 33 (33): 187-209, 2017

      7 김정숙, "유치원 교재교구 질 관리 방안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2014

      8 유혜령, "유아의 역할 놀이에 나타난 모방과 창조의 미학"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277-303, 2004

      9 김미소, "유아의 “진짜” 놀이 경험에 대한 의미 탐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8 (38): 349-368, 2018

      10 서혜정, "유아에게 참여 기회를 주려는 교사의 노력과 그 경험의 의미"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111-137, 2012

      1 한경애, "호모루덴스" 그린비 2007

      2 장민영, "자유선택활동시간을 중심으로 살펴본 유아의 ‘참여’에 대한 의미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789-817, 2019

      3 박미경, "자유선택활동시간에 유아들이 경험하는 놀잇감의 의미"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325-349, 2010

      4 김미선, "자유선택활동 시 흥미영역 선택 이름표 사용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생각과 유아의 반응"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5 임부연, "자유선택활동 놀이시간에 나타나는 몰입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유아 몰입경험 특성과 교사역할에 대한 함의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789-818, 2018

      6 김다온, "유치원 초임교사의 직무역량 요구도 분석" 교육연구원 33 (33): 187-209, 2017

      7 김정숙, "유치원 교재교구 질 관리 방안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2014

      8 유혜령, "유아의 역할 놀이에 나타난 모방과 창조의 미학"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277-303, 2004

      9 김미소, "유아의 “진짜” 놀이 경험에 대한 의미 탐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8 (38): 349-368, 2018

      10 서혜정, "유아에게 참여 기회를 주려는 교사의 노력과 그 경험의 의미"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111-137, 2012

      11 이승숙,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생각과 갈등" 한국육아지원학회 12 (12): 215-240, 2017

      12 강민정, "유아교사를 위한 자유선택활동에서의 놀이에 대한 의미 고찰" 한국교원교육학회 33 (33): 189-211, 2016

      13 이숙재, "영유아 놀이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2019

      14 최선미, "실내 모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5 (5): 17-34, 2013

      15 임부연, "비구조적인 자유놀이 시간에 유아들이 보여주는‘진짜 재미있는 놀이’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185-209, 2008

      16 김지윤, "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한 구성놀이가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교육학회 7 (7): 15-32, 2015

      17 김도기, "미래학교의 개념 및 공간 설계의 방향 탐색" 교육연구원 35 (35): 119-146, 2019

      18 양옥승, "물리적 환경구성과 유아의 자유선택활동의 의미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0 (10): 21-40, 2005

      19 이순희, "만 5세 구름반에서 정체되어가는 역할놀이의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263-1293, 2019

      20 조화연, "만 4세 파랑새반 유아들의 상상놀이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21 엄정애, "놀잇감의 구조성이 사회적 극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상호주관성에 미치는 영향" 22 (22): 195-215, 2002

      22 안소영, "놀이중심의 유아교육:유치원에서 하루 종일 놀이에 몰입하도록 지원하기" 한국아동권리학회 13 (13): 555-577, 2009

      23 김희진, "놀이의 관점에서 본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비판적 분석" 한국육아지원학회 12 (12): 5-23, 2017

      24 유혜령, "교수매체 환경과 유아의 경험 양식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자유선택활동을 중심으로" 18 (18): 131-153, 1998

      25 홍정선, "‘장난감 없는 교실’에 나타난 유아의 놀이 경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429-457, 2008

      26 정선아, "‘어린이는 놀이로 세상을 배운다’에 대한 비판적 성찰: “세계-내-존재”와 “세계-의-존재” 관점에서" 한국어린이교육문화비평학회 6 (6): 5-21, 2016

      27 Stake, R. E.,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Sage Publications 1995

      28 Huizinga, J., "Human ludens: A Study of the Play Element in Culture" The Bacon Press 1971

      29 교육과학기술부, "3-5세 누리과정"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6-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3 1.544 0.5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