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경애, "호모루덴스" 그린비 2007
2 장민영, "자유선택활동시간을 중심으로 살펴본 유아의 ‘참여’에 대한 의미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789-817, 2019
3 박미경, "자유선택활동시간에 유아들이 경험하는 놀잇감의 의미"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325-349, 2010
4 김미선, "자유선택활동 시 흥미영역 선택 이름표 사용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생각과 유아의 반응"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5 임부연, "자유선택활동 놀이시간에 나타나는 몰입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유아 몰입경험 특성과 교사역할에 대한 함의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789-818, 2018
6 김다온, "유치원 초임교사의 직무역량 요구도 분석" 교육연구원 33 (33): 187-209, 2017
7 김정숙, "유치원 교재교구 질 관리 방안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2014
8 유혜령, "유아의 역할 놀이에 나타난 모방과 창조의 미학"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277-303, 2004
9 김미소, "유아의 “진짜” 놀이 경험에 대한 의미 탐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8 (38): 349-368, 2018
10 서혜정, "유아에게 참여 기회를 주려는 교사의 노력과 그 경험의 의미"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111-137, 2012
1 한경애, "호모루덴스" 그린비 2007
2 장민영, "자유선택활동시간을 중심으로 살펴본 유아의 ‘참여’에 대한 의미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789-817, 2019
3 박미경, "자유선택활동시간에 유아들이 경험하는 놀잇감의 의미"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325-349, 2010
4 김미선, "자유선택활동 시 흥미영역 선택 이름표 사용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생각과 유아의 반응"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5 임부연, "자유선택활동 놀이시간에 나타나는 몰입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유아 몰입경험 특성과 교사역할에 대한 함의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789-818, 2018
6 김다온, "유치원 초임교사의 직무역량 요구도 분석" 교육연구원 33 (33): 187-209, 2017
7 김정숙, "유치원 교재교구 질 관리 방안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2014
8 유혜령, "유아의 역할 놀이에 나타난 모방과 창조의 미학"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277-303, 2004
9 김미소, "유아의 “진짜” 놀이 경험에 대한 의미 탐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8 (38): 349-368, 2018
10 서혜정, "유아에게 참여 기회를 주려는 교사의 노력과 그 경험의 의미"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111-137, 2012
11 이승숙,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생각과 갈등" 한국육아지원학회 12 (12): 215-240, 2017
12 강민정, "유아교사를 위한 자유선택활동에서의 놀이에 대한 의미 고찰" 한국교원교육학회 33 (33): 189-211, 2016
13 이숙재, "영유아 놀이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2019
14 최선미, "실내 모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5 (5): 17-34, 2013
15 임부연, "비구조적인 자유놀이 시간에 유아들이 보여주는‘진짜 재미있는 놀이’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185-209, 2008
16 김지윤, "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한 구성놀이가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교육학회 7 (7): 15-32, 2015
17 김도기, "미래학교의 개념 및 공간 설계의 방향 탐색" 교육연구원 35 (35): 119-146, 2019
18 양옥승, "물리적 환경구성과 유아의 자유선택활동의 의미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0 (10): 21-40, 2005
19 이순희, "만 5세 구름반에서 정체되어가는 역할놀이의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263-1293, 2019
20 조화연, "만 4세 파랑새반 유아들의 상상놀이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21 엄정애, "놀잇감의 구조성이 사회적 극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상호주관성에 미치는 영향" 22 (22): 195-215, 2002
22 안소영, "놀이중심의 유아교육:유치원에서 하루 종일 놀이에 몰입하도록 지원하기" 한국아동권리학회 13 (13): 555-577, 2009
23 김희진, "놀이의 관점에서 본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비판적 분석" 한국육아지원학회 12 (12): 5-23, 2017
24 유혜령, "교수매체 환경과 유아의 경험 양식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자유선택활동을 중심으로" 18 (18): 131-153, 1998
25 홍정선, "‘장난감 없는 교실’에 나타난 유아의 놀이 경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429-457, 2008
26 정선아, "‘어린이는 놀이로 세상을 배운다’에 대한 비판적 성찰: “세계-내-존재”와 “세계-의-존재” 관점에서" 한국어린이교육문화비평학회 6 (6): 5-21, 2016
27 Stake, R. E.,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Sage Publications 1995
28 Huizinga, J., "Human ludens: A Study of the Play Element in Culture" The Bacon Press 1971
29 교육과학기술부, "3-5세 누리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