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교사의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행복감의 차이 = A Study on Teacher Efficacy and Happiness in Relation to the Sex-Role Ident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행복감에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지역의 유치원과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행복감에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지역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37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한국형 성역할검사,교사효능감 검사도구, 행복감 척도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연구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의 기술통계, 일원배치 분산분석(one way ANOV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유아교사의 성역할 정체감유형에 따라 교사효능감과 행복감의 수준에 차이가 있는를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수준은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양성성 유형의 성역할 정체감을 가진 유아교사가 남성성유형이나 미분화 유형에 속하는 교사보다 교사효능감이 높았다. 또한, 유아교사의 행복감 수준도 마찬가지로 양성성 유형에 속하는 유아교사가 다른 성역할 정체감 유형의유아교사보다 행복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changes dis the sex-role ident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ring about regarding teacher efficacy and happiness. The study involved surveying 372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and d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changes dis the sex-role ident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ring about regarding teacher efficacy and happiness. The study involved surveying 372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Seoul, Incheon, and the Gyeonggi area.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Korean sex-role tests, teacher efficacy test tools,and happiness scales and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data analysis and one-way ANOVA using the SPSS 2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As a result of examining teacher efficacy and happiness according to different types of sex-role identity, the level of teacher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ype of sex-roleidentity, a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identified as androgynous had higher teacher efficacy than the teachers belonging to the male type or the undifferentiated type. In addition, the level of happiness of the androgynous group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also higher than that of other types of sex-role ident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우남식, "행복과 긍정심리 : 행복학 교수가 말하는 행복 이야기" 시그마프레스 2015

      2 정진경, "한국 성역할 검사(KSRI)" 5 (5): 82-92, 1990

      3 김은덕, "학업우수청소년의 부모애착, 성역할정체감, 자존감과 진로장벽 관계 모형의 남녀비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4 김양운, "초등학교 여교사들의 성역할정체감과 자아효능감의 관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4

      5 금미선, "초등학교 성역할과 직무수행에 대한 인식" 인천교육대학교 대학원 2003

      6 송신애, "초등학교 교사의 성역할정체감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7 류은정, "청소년의 성역할 정체감과 불안, 우울, 자살사고" 정신간호학회 15 (15): 136-143, 2006

      8 김천옥, "청소년의 성역할 정체감 유형과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9 최미이, "직장여성의 성역할정체감과 일반적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0 이진혜, "중학교 교사의 성역할 정체감과 직무수행과의 관계"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1 Brannon, L., "젠더 심리학: 여성과 남성에 대한 심리학적 이해" 피어슨에듀케이션코리아 2012

      12 권석만, "인간의 긍정적 성품 : 긍정 심리학의 관점" 학지사 2011

      13 이분려, "유치원 조직풍토와 직무만족 및 교사 효능감의 관계"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14 황해익,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411-432, 2013

      15 조형숙, "유아교육개론" 학지사 2017

      16 황해익,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2 (12): 157-180, 2013

      17 김시연, "유아교사의 행복감, 교직에 대한 열정,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구조분석" 광주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18 정명자, "유아교사의 인성 및 교사효능감과 행복감 간의 관계 분석" 가천대학교대학원 2016

      19 안상미,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20 염지숙, "유아교사론" 정민사 2011

      21 윤정진, "예비유아교사의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창의성의 차이"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1 (21): 191-200, 2010

      22 정미라, "예비유아교사의 성역할 정체감과 자아존중감의 관계" 한국아동교육학회 18 (18): 239-252, 2009

      23 정미라, "예비유아교사의 성역할 정체감과 양성평등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54) : 1-21, 2008

      24 문은식, "예비유아교사의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과 자기존중감의 차이" 한국아동교육학회 21 (21): 125-136, 2012

      25 황리라,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행복감의 매개 효과" 수원대학교 대학원 2015

      26 이종화, "여자 청소년의 성역할정체감과 우울" 한국아동간호학회 14 (14): 277-284, 2008

      27 임승복, "여성소방공무원의 성역할정체감과 자기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충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11

      28 김소진, "여군의 성역할정체감, 자기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29 정영옥, "여교사의 성역할정체감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0 이정화, "양성평등 교육을 위한 교사의 성역할 인식과 교수실제와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31 김선영, "성역할정체감에 따른 치과위생사의 업무수행 만족도와 자기 효능감" 한국치위생학회 15 (15): 933-939, 2015

      32 이영미, "성역할 정체감, 사회적지지 및 일상적 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9 (9): 351-365, 1997

      33 김현지,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2 (2): 111-128, 2006

      34 김태련, "발달심리학" 박영사 1987

      35 최성희, "기혼여성의 성역활 정체감과 우울과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1

      36 장경문, "기혼여교사의 일-가정 상충도, 자존감 및 성역할정체감과 직무관여도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6 (16): 23-41, 2002

      37 정경주, "기혼남녀가 지각한 부모의 독립과 성역할 정체감 유형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2 (2): 1-19, 2014

      38 Compton, W. C., "긍정 심리학 입문" 박학사 2007

      39 교육부, "교육통계분석자료집-유초중등교육통계편"

      40 조현주, "교사의 자아존중감, 직무만족도 그리고 성역할 특성과의 관계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1 (21): 153-170, 2004

      41 김영희, "교사의 성역할정체감 유형과 양성성 증진을 위한 의식향상 교육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예비연구" 한국성인교육학회 8 (8): 1-22, 2005

      42 최영옥, "교사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성향에 따른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직무스트레스 및 행복 간의 관계분석"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1

      43 이은희, "교사가 인식하는 어린이집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의 행복감 및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

      44 신은정, "경력에 따른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자기결정성이 유아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6

      45 강태중, "‘교직의 여성화’가 아동의 성역할 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교육사회학회 15 (15): 1-21, 2005

      46 Riggs, I. M.,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74 (74): 625-637, 1990

      47 Bem, S. L., "The measurement of psychological androgyny" 42 : 155-162, 1974

      48 Hills, P., "The Oxford happiness questionnaire : A compact scale for the measurement of psychological well-being" 33 : 1073-1082, 2002

      49 Ashton, P. T., "Teacher efficacy : A motivation al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35 (35): 28-32, 1984

      50 Diener, E., "Subjective well-being" 95 (95): 542-572, 1984

      51 Bandura, A.,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84): 191-215, 1977

      52 Wolfram, H. J., "Gender role self-concept, gender role conflict, and well-being in male primary school teachers" 60 : 114-127,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6-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3 1.544 0.5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