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6세기 후반 백제사원의 사리안치에 대하여 = 六世紀後半の百濟寺院の舍利安置について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135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07년 10월, 한국 부여에 있는 백제시대 왕흥사지의 발굴 조사가 이루어져 불탑지 밑에서 사리기가 발견 되었다. 금, 은, 청동제, 3점의 사리기가 포개서 넣어진 상태로 안치되어 있었고, 가장 바깥쪽의 청동제 용기 측면에 「丁酉」라는 기년명이 음각으로 새겨져 있었다. 이 간지는 서기 577년에 해당되지만, 이 해는 일본의 敏達天皇 6년으로, 그 해의 11월에 백제왕, 즉 위덕왕이 일본에 조불공과 조사공을 보내온 해이기도 하였다. 그로부터 10년 후에 일본에서는 최초의 본격적인 가람을 갖춘 아스카데라(飛鳥寺)가 발원되지만 개인적으로는 아스카데라는 백제 공인의 지도하에서 조영되었기 때문에 백제사원이라고 보아도 괜찮다고 생각한다. 왕흥사의 사리안치에서는 불탑지 기단의 상면으로부터 약 50cm 아래로 100×110×45cm의 석재가 확인되었다. 이 석재 상면의 중앙에 80×80cm의 정방형의 판축시설이 있었고, 이것은 기단상에 심초를 놓기 위한 적심 시설이라고 한다. 이 석재 상면의 중앙부에 적심시설을 만들었기 때문에, 그것을 피해 석재 상면의 남단부에 16×12×16cm의 장방형의 사리공이 설치되었고, 이곳에 사각추대의 돌뚜껑이 덮여 있었다. 사리공의 내부에는 앞에서 말한 사리용기들이 포개어진 상태로 놓여 있었다. 고스기가즈오(小杉一雄)씨에 의하면, 중국 육조시대 목조탑의 사리안치는 사리를 직접 금제용기에 넣고, 이것을 은제, 동제의 용기에 포개 넣고, 마지막에는 석제의 함에 넣어 지하의 심초석보다 더 아래에 매장하였는데, 이러한 사리안치의 양상은 당시 매장의 작법을 모방한 것이라고 한다. 이러한 사리안치 방법에 대해 전혀 알 수 없었던 백제에서는 동아시아의 최첨단 문명인 중국의 불교문명을 수용하는데 있어, 당연하지만 무조건적으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 무조건 받아들이는 시대인 한성·웅진시대에서 538년에 사비로 천도한 사비 시대가 되면 궁리와 고안의 시대를 맞이하게 된다. 577년에 사리를 매장한 왕흥사에서는 궁리와 고안의 시대가 시작되고 있었다. 즉 지상식 심초석 바로 밑에 심초석의 지반강화를 꾀함과 동시에 사리안치의 가장 바깥쪽 용기인 석함의 대용품으로서 심초석에 필적하는 석재를 매납하였다. 석재 상면의 중앙부에는 적심토를 판축하였는데 그 때문에 중앙부를 피해 주변부에 사리공을 만들고 육조시대의 전통인 석함의 뚜껑의 형상과 같은 사각추대의 돌뚜껑을 만들었다. 왕흥사에서는 석재가석함의 대용품이었지만, 심초석 그 자체가 석함의 대용품, 즉 심초석에 사리공을 만들었던 것이 백제 부여의 구아리 절터의 심초석이다. 이 심초석은 시대적으로는 왕흥사의 석재의 사리공과 같은 시기라고 생각된다. 이렇게 해서 587년에 발원하는 아스카데라에서는 백제 조사공의 지도에 의해 심초석에 사리공을 뚫고 그곳에 불사리를 안치하게 된다.
      번역하기

      2007년 10월, 한국 부여에 있는 백제시대 왕흥사지의 발굴 조사가 이루어져 불탑지 밑에서 사리기가 발견 되었다. 금, 은, 청동제, 3점의 사리기가 포개서 넣어진 상태로 안치되어 있었고, 가장...

      2007년 10월, 한국 부여에 있는 백제시대 왕흥사지의 발굴 조사가 이루어져 불탑지 밑에서 사리기가 발견 되었다. 금, 은, 청동제, 3점의 사리기가 포개서 넣어진 상태로 안치되어 있었고, 가장 바깥쪽의 청동제 용기 측면에 「丁酉」라는 기년명이 음각으로 새겨져 있었다. 이 간지는 서기 577년에 해당되지만, 이 해는 일본의 敏達天皇 6년으로, 그 해의 11월에 백제왕, 즉 위덕왕이 일본에 조불공과 조사공을 보내온 해이기도 하였다. 그로부터 10년 후에 일본에서는 최초의 본격적인 가람을 갖춘 아스카데라(飛鳥寺)가 발원되지만 개인적으로는 아스카데라는 백제 공인의 지도하에서 조영되었기 때문에 백제사원이라고 보아도 괜찮다고 생각한다. 왕흥사의 사리안치에서는 불탑지 기단의 상면으로부터 약 50cm 아래로 100×110×45cm의 석재가 확인되었다. 이 석재 상면의 중앙에 80×80cm의 정방형의 판축시설이 있었고, 이것은 기단상에 심초를 놓기 위한 적심 시설이라고 한다. 이 석재 상면의 중앙부에 적심시설을 만들었기 때문에, 그것을 피해 석재 상면의 남단부에 16×12×16cm의 장방형의 사리공이 설치되었고, 이곳에 사각추대의 돌뚜껑이 덮여 있었다. 사리공의 내부에는 앞에서 말한 사리용기들이 포개어진 상태로 놓여 있었다. 고스기가즈오(小杉一雄)씨에 의하면, 중국 육조시대 목조탑의 사리안치는 사리를 직접 금제용기에 넣고, 이것을 은제, 동제의 용기에 포개 넣고, 마지막에는 석제의 함에 넣어 지하의 심초석보다 더 아래에 매장하였는데, 이러한 사리안치의 양상은 당시 매장의 작법을 모방한 것이라고 한다. 이러한 사리안치 방법에 대해 전혀 알 수 없었던 백제에서는 동아시아의 최첨단 문명인 중국의 불교문명을 수용하는데 있어, 당연하지만 무조건적으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 무조건 받아들이는 시대인 한성·웅진시대에서 538년에 사비로 천도한 사비 시대가 되면 궁리와 고안의 시대를 맞이하게 된다. 577년에 사리를 매장한 왕흥사에서는 궁리와 고안의 시대가 시작되고 있었다. 즉 지상식 심초석 바로 밑에 심초석의 지반강화를 꾀함과 동시에 사리안치의 가장 바깥쪽 용기인 석함의 대용품으로서 심초석에 필적하는 석재를 매납하였다. 석재 상면의 중앙부에는 적심토를 판축하였는데 그 때문에 중앙부를 피해 주변부에 사리공을 만들고 육조시대의 전통인 석함의 뚜껑의 형상과 같은 사각추대의 돌뚜껑을 만들었다. 왕흥사에서는 석재가석함의 대용품이었지만, 심초석 그 자체가 석함의 대용품, 즉 심초석에 사리공을 만들었던 것이 백제 부여의 구아리 절터의 심초석이다. 이 심초석은 시대적으로는 왕흥사의 석재의 사리공과 같은 시기라고 생각된다. 이렇게 해서 587년에 발원하는 아스카데라에서는 백제 조사공의 지도에 의해 심초석에 사리공을 뚫고 그곳에 불사리를 안치하게 된다.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二00七年十月、韓國の扶余にある百濟時代の王興寺址の發掘調査がおこなわれ、佛塔址の地下から舍利容器が發見された。金、銀、청銅製の三点の舍利容器が入れ子式に納められ、もっとも外側の청銅製舍利容器の側面に「丁酉」の紀年銘が陰刻されていた。その干支は西歷五七七年に當たるが、この年はわが敏達天皇の六年で、その年の十一月に百濟王、すなわち威德王がわが國に造佛工と造寺工を送ってきた年でもあった。この十年後にはわが國初の本格的伽藍を擁した飛鳥寺が發願されるが、私見によると飛鳥寺は百濟の工人の指導のもとに造營されたため、百濟寺院と言ってもよかった。さて、王興寺の舍利安置であるが、佛塔址の基壇の上面から約五十センチ下から一00×一一0×四五センチの石材が確認された。この石材の上面の中央に八0×八0センチの正方形の版築施設があって、この版築は基壇上に心礎を据えるための積心施設という。この石材の上面中央部に積心施設をつくったため、それを避けて石材上面の南端部に一六×一二×一六センチの長方體の舍利孔が設けられていて、これに四角錐體の石蓋が被せられていた。舍利孔の內部には先述の舍利容器が入れ子式に置かれていた。小杉一雄氏によると、中國六朝時代の木造塔の舍利安置は舍利を直に金製容器に納め、銀製、銅製の容器に入れ子式に、最後は石製の函に納め、地中の心礎よりさらに下方に埋藏したが、このような舍利安置の諸相は當時の埋葬の作法に倣ったものという。こうした舍利安置法について一切知らなかった百濟では、東アジアの最先端文明であった中國佛敎文明を受容することになると當然ながら丸呑みせざるを得なかった。丸呑み時代の漢城·熊津時代から五三八年に遷都した泗비時代になると、工夫考案の時代を迎える。五七七年に舍利を埋藏した王興寺では工夫考案の時代がはじまっていた。すなわち、地上式の心礎の진下に、心礎の地盤强化を目指し、同時に舍利安置の最外容器たる石函の代用品として心礎に匹敵する石材を埋納した。石材の上面中央部には積心土を版築し、そのため中央部を避けて周邊部に舍利孔を穿ち、六朝傳統の石函の蓋の形狀と同じ四角錘台の石蓋をつくった。王興寺では石材が石函の代用品であったが、心礎そのものが石函の代用品、つまり心礎に舍利孔がつくられたのが百濟扶余の舊衙里の寺院址の心礎である。この心礎は時代的には王興寺の石材の舍利孔と同時期と思われる。こうして五八七年發願の飛鳥寺では、百濟の造寺工の指導により心礎に穿った舍利孔に佛舍利を安置するのである。
      번역하기

      二00七年十月、韓國の扶余にある百濟時代の王興寺址の發掘調査がおこなわれ、佛塔址の地下から舍利容器が發見された。金、銀、청銅製の三点の舍利容器が入れ子式に納められ、もっと...

      二00七年十月、韓國の扶余にある百濟時代の王興寺址の發掘調査がおこなわれ、佛塔址の地下から舍利容器が發見された。金、銀、청銅製の三点の舍利容器が入れ子式に納められ、もっとも外側の청銅製舍利容器の側面に「丁酉」の紀年銘が陰刻されていた。その干支は西歷五七七年に當たるが、この年はわが敏達天皇の六年で、その年の十一月に百濟王、すなわち威德王がわが國に造佛工と造寺工を送ってきた年でもあった。この十年後にはわが國初の本格的伽藍を擁した飛鳥寺が發願されるが、私見によると飛鳥寺は百濟の工人の指導のもとに造營されたため、百濟寺院と言ってもよかった。さて、王興寺の舍利安置であるが、佛塔址の基壇の上面から約五十センチ下から一00×一一0×四五センチの石材が確認された。この石材の上面の中央に八0×八0センチの正方形の版築施設があって、この版築は基壇上に心礎を据えるための積心施設という。この石材の上面中央部に積心施設をつくったため、それを避けて石材上面の南端部に一六×一二×一六センチの長方體の舍利孔が設けられていて、これに四角錐體の石蓋が被せられていた。舍利孔の內部には先述の舍利容器が入れ子式に置かれていた。小杉一雄氏によると、中國六朝時代の木造塔の舍利安置は舍利を直に金製容器に納め、銀製、銅製の容器に入れ子式に、最後は石製の函に納め、地中の心礎よりさらに下方に埋藏したが、このような舍利安置の諸相は當時の埋葬の作法に倣ったものという。こうした舍利安置法について一切知らなかった百濟では、東アジアの最先端文明であった中國佛敎文明を受容することになると當然ながら丸呑みせざるを得なかった。丸呑み時代の漢城·熊津時代から五三八年に遷都した泗비時代になると、工夫考案の時代を迎える。五七七年に舍利を埋藏した王興寺では工夫考案の時代がはじまっていた。すなわち、地上式の心礎の진下に、心礎の地盤强化を目指し、同時に舍利安置の最外容器たる石函の代用品として心礎に匹敵する石材を埋納した。石材の上面中央部には積心土を版築し、そのため中央部を避けて周邊部に舍利孔を穿ち、六朝傳統の石函の蓋の形狀と同じ四角錘台の石蓋をつくった。王興寺では石材が石函の代用品であったが、心礎そのものが石函の代用品、つまり心礎に舍利孔がつくられたのが百濟扶余の舊衙里の寺院址の心礎である。この心礎は時代的には王興寺の石材の舍利孔と同時期と思われる。こうして五八七年發願の飛鳥寺では、百濟の造寺工の指導により心礎に穿った舍利孔に佛舍利を安置するのである。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은창, "부여 구아리사지 심초석" 5 (5): 7-, 1964

      2 이병호, "부여 구아리 출토 조소상과 그 유적의 성격" 36 : 2007

      3 奈良國立文化財研究所, "飛鳥寺發掘調査報告" 奈良國立文化財研究所 1958

      4 大橋一章, "飛鳥の文明開化" 吉川弘文館 1997

      5 大橋一章, "革を[乍鳥の造佛技法の習得について, In 局窵正人先生古希祝賀論文集日本古代史叢考" 局窵正人先生古 希祝賀論文集刊行會 1999

      6 稻垣晋也, "舊中宮寺跡の發掘と現狀" 299 : 1973

      7 金容民, "百濟王興寺跡と含利器.莊嚴具の發掘成果, In 古代文化の源流を探る〜百濟王興寺から飛鳥寺へ" 2008

      8 大橋一章, "百濟.日本への南朝佛|夂美術の傳播と受容, In アジア地域文化學の構築(早稻田大學アジア地域文化 エンハンシング研究センタ一編)" 雄山閣 2006

      9 金容民, "王興寺跡と含利器.莊嚴具の發掘調査成果, In 古代東アジアの備夂と王櫂一王興寺から飛.寺へ(鈴木 靖民編)" 勉誠出版 2010

      10 佐川正敏, "王興寺と飛鳥寺の伽藍配置.木塔以楚装置.含利奉安形式の系譜, In 古代東アジアの佛敎と王櫂一王興寺から飛鳥寺へ(鈴木靖民編)" 勉誠出版 2010

      1 이은창, "부여 구아리사지 심초석" 5 (5): 7-, 1964

      2 이병호, "부여 구아리 출토 조소상과 그 유적의 성격" 36 : 2007

      3 奈良國立文化財研究所, "飛鳥寺發掘調査報告" 奈良國立文化財研究所 1958

      4 大橋一章, "飛鳥の文明開化" 吉川弘文館 1997

      5 大橋一章, "革を[乍鳥の造佛技法の習得について, In 局窵正人先生古希祝賀論文集日本古代史叢考" 局窵正人先生古 希祝賀論文集刊行會 1999

      6 稻垣晋也, "舊中宮寺跡の發掘と現狀" 299 : 1973

      7 金容民, "百濟王興寺跡と含利器.莊嚴具の發掘成果, In 古代文化の源流を探る〜百濟王興寺から飛鳥寺へ" 2008

      8 大橋一章, "百濟.日本への南朝佛|夂美術の傳播と受容, In アジア地域文化學の構築(早稻田大學アジア地域文化 エンハンシング研究センタ一編)" 雄山閣 2006

      9 金容民, "王興寺跡と含利器.莊嚴具の發掘調査成果, In 古代東アジアの備夂と王櫂一王興寺から飛.寺へ(鈴木 靖民編)" 勉誠出版 2010

      10 佐川正敏, "王興寺と飛鳥寺の伽藍配置.木塔以楚装置.含利奉安形式の系譜, In 古代東アジアの佛敎と王櫂一王興寺から飛鳥寺へ(鈴木靖民編)" 勉誠出版 2010

      11 中國社會科學院 考古研究所, "河北臨障縣業贼遺址東魏北齊佛寺塔期的發現與發掘" (10) : 2003

      12 "日本書紀"

      13 大橋一章, "奈良美術成立史論" 中央公論美術出版 2009

      14 大橋一章, "古代文化史のなかの飛鳥寺, In 古代東アジアの佛敎と王櫂一王興寺から飛鳥寺へ(鈴木靖民編)" 勉誠出版 2010

      15 朱岩石, "南北朝寺院遺跡と出土遺物, In 古代東アジアの佛敎と王櫂一王興寺から飛鳥寺へ(鈴木靖民編)" 勉誠出版 2010

      16 大橋一章, "勅願寺と國家官寺の造營組織" 222 : 1995

      17 小杉一雄, "六朝時代の佛塔に於ける佛舍利の安置に就いて" 21 (21): 1934

      18 大橋一章, "六世紀の日本における中國佛敎美術の受容百濟.日本への南朝佛敎美術の受容, In アジア地域文化學 の發展(早稻田大學アジア地域文化エンハンシング研究センタ一編)" 雄山閣 2006

      19 西川杏太郎, "中宮寺の歴史, In 大和古寺大櫬 1" 岩波書店 1977

      20 大橋一章, "中宮寺の創立について" 46 (46): 2001

      21 小杉一雄, "中國備夂美術史の研究" 新樹社 1980

      22 "三國史記"

      23 大橋一章, "クスノキ像の制作と南朝備夂美術の傳播, In 文化史學の挑戰(笠井昌昭編)" 思文閣出版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9 0.89 0.9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3 1.542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