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말기에 제정된 조선의료령(1944년)상 의사와 치과의사에게 부과된 공법상 의무체계의 법적 성격과 의미를 고찰함으로써, 식민지 시기 의료인에 대한 법적 통제 구조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말기에 제정된 조선의료령(1944년)상 의사와 치과의사에게 부과된 공법상 의무체계의 법적 성격과 의미를 고찰함으로써, 식민지 시기 의료인에 대한 법적 통제 구조를 ...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말기에 제정된 조선의료령(1944년)상 의사와 치과의사에게 부과된 공법상 의무체계의 법적 성격과 의미를 고찰함으로써, 식민지 시기 의료인에 대한 법적 통제 구조를 분석하였다. 조선의료령은 태평양전쟁 격화 속에서 조선총독부가 의료인력과 의료기관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고 의료자원의 효율적 동원을 통해 전시체제를 지원하고자 제정되었다. 본 연구는 특히 조선의료령이 ‘식민지 법제의 이중성’ 개념을 명확하게 보여준다는 점에 주목한다. 조선의료령은 표면적으로는 의료체계의 근대화와 효율화를 표방했지만, 단순한 의료행정 및 법체계의 정비를 넘어 실질적으로는 전시 총동원체제와 식민지 통치 강화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법적 장치였다. 이는 식민지 법제가 가지는 본질적 특성, 즉 ‘지배의 합리화’와 ‘통제의 강화’라는 이중적 성격을 잘 보여준다.
이 연구는 조선의료령 제9조부터 제17조까지에 규정된 의사와 치과의사의 공법상 의무체계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규정들은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의의를 갖는다. 첫째, 의료서비스의 질과 접근성을 보장하는 기능을 수행했다. 진료거부 금지의무, 직접진찰 의무, 진료록 작성·보존 의무 등이 그 예이다. 둘째, 의료인에 대한 식민권력의 통제 장치로서 기능했다. 전문과목 표방 허가제, 광고 규제, 면허취소와 업무정지 제도 등이 그 예이다. 셋째, ‘체력향상’을 위한 지도의무 등은 국민을 국가인력 자원으로 간주하는 전시체제의 논리를 반영했다.
이러한 조선의료령상 의무체계는 해방 이후 한국 의료법제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쳐, 진료거부 금지, 직접진찰 의무, 진료록 작성·보존 의무 등이 현행 의료법에도 유사하게 계승되었다. 그러나 전문과목 표방, 광고 규제, 면허 관리 등은 민주적 법치국가 원리에 따라 상당한 변화가 이루어졌다. 조선의료령의 경험은 의료인 규율이 본래의 목적인 의료의 질과 안전성 확보에 충실하기 위해서는 정치적 중립성과 절차적 정당성이 보장되어야 한다는 역사적 교훈을 제공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legal control structure of medical professionals during the colonial period by examining the legal nature and significance of the public law obligations imposed on physicians and dentists under the Joseon Medical Ordinance (194...
This study analyzes the legal control structure of medical professionals during the colonial period by examining the legal nature and significance of the public law obligations imposed on physicians and dentists under the Joseon Medical Ordinance (1944), which was enacted during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Joseon Medical Ordinance was established by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mid the intensification of the Pacific War to strengthen control over medical personnel and institutions and to support the wartime system through efficient mobilization of medical resources. This research particularly focuses on how the Joseon Medical Ordinance clearly demonstrates the concept of ‘duality of colonial legal systems’. While superficially advocating for the modernization and efficiency of the medical system, the ordinance was essentially a legal mechanism designed to achieve the goals of strengthening wartime total mobilization and colonial rule, beyond merely improving medical administration and legal systems. This reflects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colonial legal systems: the dual nature of ‘rationalization of domination’ and ‘reinforcement of control’.
The study specifically analyzes the public law obligations imposed on physicians and dentists as stipulated in Articles 9 through 17 of the ordinance. These provisions have significance in three aspects. First, obligations such as prohibition of refusal to provide medical care, direct examination requirements, and medical record documentation and preservation functioned to ensure the quality and accessibility of medical services. Second, systems including the permit system for specialization claims, advertising regulations, and license revocation and suspension mechanisms functioned as control devices of colonial authority over medical professionals. Third, the obligation to provide guidance for ‘physical enhancement’ reflected the wartime system's logic of regarding citizens as national human resources.
This system of obligations under the Joseon Medical Ordinance significantly influenced Korean medical legislation after liberation, with provisions such as prohibition of refusal to provide care, direct examination requirements, and medical record documentation being similarly preserved in current medical law. However, specialty claiming, advertising regulations, and license management have undergone substantial changes in accordance with democratic constitutional principles. The experience of the Joseon Medical Ordinance provides a historical lesson that political neutrality and procedural legitimacy must be guaranteed for the regulation of medical professionals to faithfully serve its original purpose of ensuring the quality and safety of medical care.
통상임금의 개념 및 판단 기준 - 고정성 폐기를 통한 통상임금 법리의 변경
고용상 성차별에 관한 미국법의 동향과 우리 법에의 시사점 - 임신으로 인한 차별을 중심으로